목록Guide Ear&Bird's Eye/한국전쟁과 유엔군 16개국 자료 발굴 (98)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11일 오전 11시 부산 남구 유엔기념공원에 잠든 6.25전쟁 참전 영웅을 위해 시민과 참전국 외교사절단이 사이렌이 울리자 머리를 숙이고 묵념했다. 유엔참전용사 국제추모의 날인 이날 열린 ‘턴 투워드 부산’은 매년 11월 11일 오전 11시 전 세계가 부산에 안장된 전몰장병을 향해 1분간 묵념하며 추모하는 행사다. 대한민국을 대표해서 참가한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과 앤드류 해리슨 유엔군 부사령관도 참전용사를 추모했다. 전몰장병을 국빈급으로 대우하는 의미를 담은 조포 21발도 발사됐다. 이날 행사에는 유엔 참전용사 후손과 외교사절 1000여명도 참가해 이들을 추모했다. 박 장관은 기념사에서 “73년 전 22개국의 도움을 받은 나라는 세계에 도움을 주는 나라가 됐다”며 “놀라운 성장의 바탕에는 자신의 가장 ..

‘한국전의 예수’로 불리는 에밀 카폰 신부의 신원이 70년 만에 확인된 이후 카폰 신부의 희생과 사랑에 다시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카폰 신부의 조카는 삼촌이 ‘영광의 귀환’을 한다며, 앞으로 삼촌의 값진 유산이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전쟁 당시 미군 군종 신부로 참전했다 전사한 에밀 카폰 신부의 조카인 레이먼드 카폰 씨는 70년 만에 삼촌의 신원이 확인됐다는 연락을 받은 지난 3월 이후 넉 달의 시간이 “경이로웠다”고 표현했습니다. [녹취:카폰 씨] “It's been an amazing, an amazing four months since March. Every time the phone rings I keep wondering. Gosh. What's the surprise goi..

‘한국전쟁의 성자’로 불리는 미국인 군종 사제 에밀 카폰(1916~1951) 신부가 7월 27일 유엔군 참전의 날을 맞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태극무공훈장’을 받았다. 문재인(티모테오) 대통령은 27일 청와대에서 열린 ‘유엔군 참전의 날 기념 유엔군 참전용사 훈장 수여식’에서 에밀 카폰 신부에게 태극무공훈장을, 호주 참전용사 콜린 니콜라스 칸 장군에게 국민훈장 석류장을 수여했다. 훈장은 카폰 신부의 조카인 레이먼드 카폰이 대리 수상했다. 문 대통령은 “카폰 신부는 부상자를 돌보고 미사를 집전하며 적군을 위해 기도하는 지극한 사랑을 실천했다”며 “포로가 된 극한 상황에서도 자유와 평화를 수호한 카폰 신부의 정신이 우리 국민 마음속에 영원히 기억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군종교구 김창중 신부 사회로 진행된 ..

한국에 생존해 있는 탈북 국군포로들 가운데 최고령인 이원삼 씨가 최근 별세했습니다. 한국전쟁 비극의 한 단면인 국군포로 문제가 남북한 모두에게서 잊혀져 가고 있는 가운데, 북한의 반인도 범죄를 규탄하고 국군포로의 명예를 회복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 내 최고령 탈북 국군포로인 이원삼 씨가 지난 14일 9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이 씨는 한국 군 창설 멤버 중 한 명이었는데 한국전쟁 당시 수도사단 이등상사로, 정전협정 체결 이틀 전인 1953년 7월 23일 동부전선에서 포로로 잡혔습니다. 이 씨는 2004년 탈북 전까지 약 50년을 북한에서 지냈습니다. 북한에서 결혼도 해 일곱 남매를 뒀습니다. 탈북 후엔 전쟁통에 헤어졌던 아내와 외아들을 다시 만나 경기도 의정부에서 함께 살았..

오늘(25일)은 한국전쟁이 발발한지 71년이 되는 날입니다. 미국의 한국전쟁 참전용사들은 한국전쟁이 남긴 값진 유산은 자유와 민주주의라며, 한국의 눈부신 발전상은 전쟁에서 누가 승리했는지 명확히 증명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공산 독재정권 치하에 있는 모든 북한 주민이 한국인들처럼 속히 자유와 번영을 누리길 기원한다고 밝혔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전후 한국을 방문했던 미군 참전용사들의 이야기를 들어 봤습니다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군의 기습 남침으로 시작된 한국전쟁은 한반도를 폐허로 만들고 수많은 희생자와 상흔을 남겼습니다. 당시 공산주의의 확산을 막고 한국인들을 돕기 위해 파병된 미군 등 유엔군 참전용사들은 당시의 참혹한 상황과 대비되는 비약적인 경제 발전을 이룬 오늘의 한국을 보며 참전의 의..

한국전쟁 정전협정 67주년과 유엔군사령부 창설 70주년을 맞아 전직 주한미군사령관들은 유엔사가 한반도 방위에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들은 미국 주도 인도태평양 전략과 유엔사의 연계성은 일축했습니다. 빈센트 브룩스 전 주한미군사령관은 27일 유엔군사령부가 앞으로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관여할 것이라는 일부 한국 매체의 분석을 일축했습니다. [녹취 : 브룩스 전 사령관] “I don't think those two are related. It would b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ommitted to action for the Korean Peninsula conditions there, That's Command’s mandate. To change..

한국전쟁 당시 북한에 억류돼 강제노역한 탈북 국군포로들이 북한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내 승소했다. 북한과 김 위원장을 상대로 제기된 최초의 손해배상 소송이 법원에서 받아들여진 것이다. 서울중앙지법 민사47단독 김영아 판사는 7일 국군포로 출신 한모(86)씨와 노모씨가 북한과 김 위원장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했다. 김 판사는 북한과 김 위원장이 공동해 한씨와 노씨에게 각 2100만원씩 지급하라고 판단했다. 아울러 “원고 청구를 인용하는 취지”라고 덧붙였다. 승소 판결이 나오자 법정에는 박수가 터져나왔다 한씨 등은 국군으로 1950년 6·25전쟁에 참전해 포로로 잡혀간 뒤 내무성 건설대 등 강제노역을 했다고 주장하며 2016년 10월 손해배상 청구..

(1회) 돌아오지 못한 국군포로들 ◆아직도 北 억류된 채 참혹한 삶 국군포로의 귀환, 시간이 없다 1954년 교화소(교도소)의 어느 날 밤. 잠자리에 누울 시간이지만 대한민국 이등중사(하사) 출신 김성태(현재 89세)씨는 눕지 못한 채 앉아있어야 했다. 그가 있는 곳은 사방 1m 크기의 징벌 독방. 몸을 움직이는 것 자체가 불가능했다. 대소변도 자리에서 해결해야 했다. 밥도 제대로 먹지 못하고 씻지도 움직일 수도 없으니 사람의 몰골이 아니었다. 김씨가 독방에 갇힌 이유는 탈주였다. 김씨는 수감된 교화소를 탈출했지만 잠복해 있던 북한 경비대원들에게 체포돼 징벌 독방에 갇혔다. 눕지도 못하는 독방 생활은 15일이나 이어졌다 국군포로 출신 김씨는 21일 세계일보 취재팀과 만나 당시를 떠올리며 “(그 안에선) ..

6·25전쟁 70주년을 맞아 25일 경기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열린 기념식에는 전쟁 당시 유엔군으로 참전했던 22개국 정상의 영상 메시지가 울려 퍼졌다. 청와대는 “6·25전쟁 참전국들과의 국제적 연대를 재확인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 트럼프 “공산주의 막기 위해 싸운 모든 분께 감사와 경의” 15번째 순서인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시그니처 복장인 빨간 넥타이를 매고 나와 “지금 바로 백악관 로즈가든에 있다. 내 옆이 오벌 오피스(백악관 내 집무실)이다. 여러분 또한 아주 특별한 곳에서 인생의 특별한 시기를 맞고 있다. 바로 6·25전쟁 70주년”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산주의를 막아내기 위해 용감하게 싸운 모든 분께 감사와 경의를 표한다”며 “여러분은 매우 특별한 사람들”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
한국전 미군 참전용사로 최근 작고한 보이드 왓츠 씨의 안장식이 7일 한국 부산에 있는 유엔기념공원에서 열렸다. 한국전쟁 초기 북한군의 남하를 막는데 큰 공을 세운 미군 참전용사가 한국 부산에 있는 유엔기념공원에 안장됐습니다. 한국전쟁 이후에도 두 차례나 더 한국에서 복무했..
모건 오테이거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 모건 오테이거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한국전쟁 69주년 기념일인 25일, 미-한 동맹을 강조하며 “이 날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습니다. 오테이거스 대변인은 이날 트위터에 “한국전쟁 기념일은 동맹군의 이타적인 용맹함과, 과거와 미래 침략..
한국 전쟁 당시 북한에 억류됐던 미군 포로들. (자료사진) 한국전쟁 당시 공산 진영 측에서 북한에 억류된 미군 포로 가운데 폴란드 계 미군 포로를 포섭하려 했다는 내용의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특히, 농민과 노동자 계급 출신들을 별도로 분류 관리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한국전쟁..
1952년 9월 18일 한국전쟁에 참전중인 중공군이 전전선에 걸쳐 전술적 반격을 실시하였다. 중공군은 미군과 한국군의 전선 취약부분을 선정, 단단히 준비를 갖춘 뒤 압도적 병력수 우위를 앞세워 공격하였다. 연대급이 고립되어 방어하는 지역을 군단병력이 공격하는 식이었다. 중공군은 ..
한반도 핵문제를 주도하고 있는 6개국 남한(한국), 미국, 일본등 자유진영과 북한(조선), 소련, 중국(중공) 등 공산진영으로 구분되어 한국 전쟁을 수행했다 자유진영-한국과 미국, 일본등 한국 - 590,911명(전쟁 참가 병력) 미합중국 - 302,483명( 전쟁 참가 병력) 일본-전쟁 물자와 재정 지원국[..
유엔군의 평양 탈환을 환영하는 대회를 열고 있는 평양시민들 "소련의 붕괴 이후 베일에 싸여 있던 한국 전쟁 관련 비밀 문서가 공개된 이후, 한국 전쟁의 원인은 남조선로동당 박헌영의 설득을 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일성이 대규모의 대한민국 침입을 계획하고 스탈린의 재..
유엔군의 인천상륙작전으로 38선 월경과 평양점령 입장(유엔군)이냐 인천상륙작전(사진) 1950년 6월 25일 비가 내리는 평화로운 새벽의 정적을 송두리째 뒤흔드는 야포와 자동화기의 굉음과 함께 북한 인민군의 남침이 시작되었다. 침략군은 이내 38선을 넘어 반 무방비 상태의 대한민국 경..
1950년 6월 28일 서울 시내에 진입한 북한군의 소련제 T-34 전차/조선일보 DB 1.남침(남한) 북한군은 "선제 타격 전략"으로 불리는 전쟁 개시 작전계획에 따라,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에 인민군은 242대의 전차를 앞세우고 38선을 넘어 옹진, 개성 , 동두천, 춘천 , 인악(仁岳) 등지의 육로와, 동해..
서울을 점령한 중국 인민해방군 모습(사진) 1950년 10월 19일 중국 인민해방군이 압록강 도하를 시작했다. 이날 이후 중공군 18개 사단이 압록강을 통해 한반도로 진입, 한국전에 개입했다. 이 날은 38선을 돌파한 유엔군이 평양에 입성한 날이다(백선엽 장군이 지휘하는 국군 1사단은 이보다..
Soldiers of the Chinese People's Liberation Army carry coffins containing remains of soldiers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CPV) dead in the 1950-53 Korean War, during a handover ceremony at the Inchon International Airport of South Korea, March 20, 2015 Chinese Ambassador to South Korea Qiu Guohong covers with a Chinese national flag a coffin containing remains of a sol..
朝鮮戰場上的那些最美的志願軍女兵(寫眞) 한국전쟁(6.25 동란) 중 북한을 지지하고 도왔던 국가들은 어떤 나라들입니까? 공식적으로 중국(중국 인민해방군)과 체코슬로바키아등 2개국 1950년도 한국전쟁 당시 북한이나 중국(중공)은 유엔이 인정한 나라가 아닌 비공식 국가이며 남한(한국)..
서울에서 24일 열린 '6.25 남침의 진실' 세미나. 왼편에서 세 번째가 선즈화 중국 화동 사범대 교수 (코리아정책연구원 제공) 중국에서 6.25전쟁의 역사적 진실을 밝히는 학계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전쟁이 북한의 남침임을 공개적으로 확인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정부..
조선중앙통신은 30일 김정은이 6.25 전쟁당시 참전했던 중공군과 관련이 있는 ‘중국인민지원군열사능원’과 ‘성흥혁명사적지’를 돌아본 상황을 상세하게 전하면서 북중 친선을 강조했다. 특히 6.25 전쟁당시 중공군 전사자들을 모아놓은 ‘중국인민지원군열사능원’에 대해서 북한과..
Chinese veterans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s veterans attend the celebrating ceremony to mark the 6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Armistice Agreement in Pyongyang, DPRK, on July 29, 2013 Chinese veterans Dai Shihui (2nd, R), Hou Jianye (2nd, L) attend the celebrating ceremony to mark the 6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Armistice Agreement in Py..
In June 1950, a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as coming to terms with the aftermath of World War II, a new conflict broke out on the Korean peninsula - and the Cold War turned hot for the first time. 1950년 6월 25일 비가 내리는 평화로운 새벽의 정적을 송두리째 뒤흔드는 야포와 자동화기의 굉음과 함께 북한 인민군의 남침이 시작되..
President Barack Obama arrives for a wreath laying ceremony to commemorate the 60th anniversary of the signing of the Armistice that ended the Korean War, at the Korean War Veterans Memorial in Washington, D.C., Saturday, July 27, 2013. Walking with the President are, from left: Gen. Jung Seung-jo, chairman of the Republic of Korea’s joint chiefs of staff; and Special Envoy ..
7월 27일 '유엔군 참전·정전 60주년 기념식'에서 축사를 하는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 한국 정부가 ‘유엔군 참전의 날’로 공포한 7월 27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 6.25 전쟁에 참가했던 한국 국가유공자들과 유엔 참전용사들이 모였습니다. 이 행사는 유엔참전국과 참전용사에 대해 최고..
북한이 27일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병식을 진행하여 한국전쟁 정전60주년을 경축했습니다. 김정은 북한 최고지도자와 북한 당과 정부, 군대의 지도자들이 참석했습니다. 열병식은 오전 10시에 시작되었습니다. 최룡해 북한인민군 총정치국장은 축사에서 북한은 경제와 문화건설 그리고 ..
Chinese Vice-President Li Yuanchao (front) lays a wreath at the Cemetery to the Fallen Fighters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CPV) in Hoechang County, South Phyongan Province,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July 26, 2013. Li Yuanchao on Friday visited the Korea-China Friendship Tower and the Cemetery to the fallen Chinese fighters in the DPRK to mourn ..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잠수함 도발에 대비해" 한국과 미국은 19일부터 24일까지 동부 수역에서 합동 대 잠수함훈련을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측은 미국과 한국이 최근에 북한을 상대로 한 밀집한 군사훈련은 용인할 수 없는 군사도발이며 반도의 긴장정세를 가심화할 것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