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Guide Ear&Bird's Eye6/산업의 쌀 반도체(5G. 인공지능, 자율주행. 태양광 재생에너지 등 ) (198)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2VMdk/btsL3Q5hIIK/SZnY8JMGdQ1eG56aKtDpqK/img.png)
삼성전자는 2024년 4분기 매출 75.8조원, 영업이익 6.5조원을 기록했다고 31일 밝혔다. 전년 동기보다 매출은 11.8% 늘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7조원(2023년 4분기 2.82조원→2024년 4분기 6.49조원) 늘었다. 전 분기 대비로 매출은 4.2% 줄었고, 영업이익은 2.7조원(2024년 3분기 9.18조원→2024년 4분기 6.49조원) 줄었다. 2024년 연간으로는 매출 300.9조원, 영업이익 32.7조원을 기록했다. 연간 매출은 2022년에 이어 역대 두번째로 높다. 아래는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콜 전문이다. 참가자는 박순철 CFO 부사장, 김재준 메모리 부사장, 권혁만 시스템LSI 상무, 노미정 파운드리 상무, 허철 삼성디스플레이 부사장, 다니엘아라우호 MX 상무, 노경..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jqX9k/btsL08rULUC/MrzZfiTBUhL9SJO4JecVN0/img.webp)
중국에서 개발된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DeepSeek)가 애플 앱스토어 다운로드 순위 1위를 차지했다.이에 투자자들은 놀라움을 숨기지 못했고, 일부 기술주마저 급락하기도 했다.지난 1월 20일 출시된 이 앱은 출시 직후 AI 전문가들의 관심을 빠르게 사로잡았고, 기술 업계를 넘어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를 두고 "미국 기업들에게 있어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집중해야 한다는 경종"이라고 말하기도 했다.딥시크의 특별함은 업계 선도 모델인 오픈AI가 개발한 것과 유사한 AI 모델을 훨씬 적은 비용으로 개발한 데 있다. 딥시크 회사는 고성능 칩을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전했다.이로 인해 반도체 제조 대기업 엔비디아의 시장 가치는 현지시간 월요일 단 하루..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VOLRx/btsLLOfyIgK/H4mKMVsjo7e4ULlwMXtBIK/img.png)
미국 정부가 13일, 일부 동맹국을 제외한 나라들에 AI(인공지능) 반도체 수출 물량을 제한하는 규제를 발표했습니다.미 상무부는 이날 전 세계를 3개 등급으로 나눠 미국의 첨단 AI 반도체 판매 상한을 차등 적용하는 ‘확산 통제 프레임워크’를 공개했습니다.지나 레이몬도 상무장관은 “동맹국에 혜택을 제공하면서도 첨단 AI 시스템을 적대적 사용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중점을 둔다”고 새로운 규제의 목적을 설명했습니다.◾️ 중국·북한·러시아 등이번 조치에 따라, 미국의 적대국으로 AI 반도체 수출·이전은 이전과 같이 전면 금지됩니다.대상 국가는 중국(홍콩·마카오 포함), 북한, 러시아, 이란, 벨라루스, 아프가니스탄, 미얀마 등입니다.◾️ 동맹국은 수출·이전 가능20개 동맹국으로의 수출은 자유롭게 유지됩니다.영국..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9az47/btsLHlEJM0V/idqMuQPKNJn9r95kxyBK7K/img.jpg)
AI, 인공지능의 이용이 전세계에서 급속히 확산되는 가운데, 미국의 반도체 대기업 엔비디아는 로봇이나 자율주행에 사용되는 AI 개발에 적합한 새로운 기반기술을 무상으로 제공한다고 발표했습니다이것은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가 7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규모의 기술박람회 'CES'에 앞서 6일 밝힌 것입니다.새로운 기반기술은 로봇이나 자율주행에 사용되는 AI 개발에 도움이 되도록 개발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이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실제로 로봇이나 자동차를 창고나 도로 등에서 움직이지 않아도 시뮬레이션된 환경에서 AI에 중력이나 충돌 영향 등의 물리적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어 AI 개발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엔비디아는 또, 도요타 자동차와의 연대를 강화해, 자율주행 등..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ALiJo/btsLqBhcrz3/zykiS76q0qJPd2HRk9BxA1/img.jpg)
미국 정부가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대규모 반도체 생산시설을 짓고 있는 삼성전자에 47억4500만 달러(약 6조9000억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확정된 보조금 규모는 지난 4월 예비거래각서(PMT)를 서명할 때 발표했던 64억 달러(약 9조2000억원)에서 약 26% 줄어든 규모다.미 상무부는 20일(현지시간) “예비거래각서 체결과 부처 차원의 실사를 거쳐 반도체법에 의거해 삼성전자에 대한 보조금 액수를 결정했다”며 “보조금은 삼성전자가 향후 수년간 370억 달러(약 53조원) 이상을 투자해 텍사스 중부에 위치한 현재의 반도체 생산시설을 첨단 반도체 개발 및 생산 거점을 만드는 것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것”이라고 밝혔다.지나 러몬도 상무장관은 이와 관련 “삼성전자에 대한 투자를 통해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duwUb/btsK44QbImQ/avgoH1zl3cFKucKRp7Q6d0/img.png)
미국 상무부가 2일 중국에 대한 첨단 반도체 수출통제 강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미 상무부 산업보안국(BIS)은 이날 웹사이트에 게재한 관보에서 “차세대 첨단 무기체계와 군사적으로 중요한 응용 분야인 인공지능(AI) 및 첨단 컴퓨팅에 사용될 수 있는 개량형 반도체를 생산하는 중국의 역량을 더욱 약화시키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규칙을 발표했다”고 밝혔습니다.이번 조치는 중국 군 현대화에 필요한 기술을 조달하고 생산하는 중국의 능력을 저해하기 위한 상무부의 노력을 강화하는 사전 조치 성격이라고 상무부는 덧붙였습니다.이 규칙에는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총 24종의 제조장비와 3종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신규 통제와 AI 개발의 핵심 부품인 고성능 반도체 고대역폭메모리(HBM) 그리고 중국 군 현대화에 관여된 중국 반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woa8D/btsKT4wLSAz/yqpKEWMFZzkWJXzn24Mw6k/img.png)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이 본격화되며 테크 분야의 투자자들이 더이상 기술 뿐만 아니라 거시경제적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하드웨어 중심의 자본 집약적 투자로 인해 경기 변화가 투자 수익률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23일 로이터에 따르면 내년에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등의 주요 테크 기업들이 AI 인프라 구축에 약 2천억 달러(한화 약 280조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 2021년 대비 약 두 배에 달하며 주로 생성형 AI 기술 개발에 따른 것이다.특히 이러한 투자 증가는 하드웨어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지난 2010년대의 소프트웨어 중심 기술 개발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하드웨어는 초기 투자 비용이 크고 경기 둔화 시 조정이 어려운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wgpBj/btsKTEkQMy1/ua1wKQMdY9kMJ8t4k2S4TK/img.jpg)
엔비디아가 삼성전자의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 HBM3E의 8단과 12단 제품 인증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삼성전자의 HBM 인증을 ‘패스트트랙’에 놓고 처리하고 있다고 했다.블룸버그에 따르면 황 CEO는 23일(현지시각) 홍콩 과학기술 대학교에서 열린 행사에서 AI 반도체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삼성전자의 HBM 인증을 ‘패스트트랙’에 놓고 처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황 CEO는 이날 홍콩 과학기술대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엔비디아가 그동안 삼성전자의 AI 메모리칩 납품 승인을 미뤄왔는데 인증 작업에 속도를 내면서 삼성전자가 재도약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황 CEO는 삼성전자에서 5세대 고대역폭 메모리(HBM)인 HB..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lgs43/btsKuUAjWGt/UynddIrppu7m40SvSrytgK/img.png)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으로 매출 79.1조원, 영업이익 9.18조원의 2024년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전사 매출은 전분기 대비 7%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기존 최대는 2022년 1분기 77.78조원이다.MX는 스마트폰 신모델 출시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13% 개선되었으며, DS부문은 하이엔드(High-end) 메모리의 판매 증가로 전분기 대비 3% 상승했다.매출 총이익은 30조원으로, MX의 플래그십 중심 매출 확대로 전분기 대비 소폭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DS부문의 인센티브 충당 등 일회성 비용 영향 등으로 전분기 대비 1.26조원 감소한 9.18조원을 기록했다.DS부문의 일회성 비용은 전사 영업이익과 시장 컨센서스의 차이보다 더 큰 규모였다.삼성전자는 기술 경쟁력 확보를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MmwL/btsKb2mgAmZ/wMaMlVLU7nWaYwWFOOKPm1/img.jpg)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12나노급 ‘24Gb GDDR7(Graphics Double Data Rate) D램’ 개발을 완료했다.* 12나노급 공정은 5세대 10나노급 공정을 의미함* Gb(Gigabit, 기가비트)‘24Gb GDDR7 D램’은 업계 최고 사양을 구현한 제품으로, PC, 게임 콘솔 등 기존 그래픽 D램의 응용처를 넘어 AI 워크스테이션, 데이터센터 등 고성능 제품을 필요로 하는 분야까지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제품은 24Gb의 고용량과 40Gbps 이상의 속도를 갖췄고, 전작 대비 ▲용량 ▲성능 ▲전력 효율이 모두 향상됐다.* Gbps(Gigabit per second): 1초당 전송되는 기가비트 단위의 데이터* 전작 ‘16Gb GDDR7 D램’삼성전자는 이번 제품에 12나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lNTJN/btsJ0Psso0b/VXhGbIdjdvbzGTicNlJmjK/img.jpg)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대만의 TSMC가 예상을 뛰어넘는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TSMC는 인공지능(AI) 수요에 힘입어 올해 7~9월 236억 2천200만 달러(약 31조8천66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밝혔다.LSEG의 시장 전망치 233억 3천만 달러(약 31조4천721억원)를 웃도는 것으로, 작년 동기의 173억 달러(약 23조3천377억원)에 비해서는 36.5% 성장한 수치다.지난 7월 실적 발표 때는 올해 3분기 매출을 224억~232억 달러로 예상했다.이 같은 실적은 각국 정부와 기업이 AI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경쟁하면서 AI 관련 지출이 계속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을 강화해주는 것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은 평가했다.TSMC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mU2Rk/btsJZRSfbhQ/pWQT1kElOvsY6bMtCizob0/img.jpg)
올해 노벨상에서 인공지능(AI) 연구자들이 잇따라 수상자로 등극하면서 AI가 현대 과학의 전면에 등장하고 있다.세계 최고 권위의 노벨상 수상은 2022년 11월 챗GPT로 열풍이 불기 시작한 AI가 인간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과학으로 공식 인정을 받기 시작한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그동안 주로 순수 학문 분야에 수여돼던 노벨상 무대의 중심에 AI가 서게 된 셈이다.9일(현지시간)까지 발표된 과학계 노벨상 3개 부문 가운데 AI는 생리의학상을 제외한 2개 부문을 '접수'했다. AI 연구 분야의 노벨상 수상은 이번이 처음이다.이날 발표된 화학상 수상자로 AI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의 아버지로 더 잘 알려진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인 데미스 허사비스와 딥마인드 연구원 존 점퍼(39)가 이름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uwRzO/btsJWydFN5t/6Wch5q03aHYaDd4rbxXSF1/img.jpg)
삼성전자가 4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외부 리더급 인재들을 초청해 주요 사업 방향 및 연구 분야를 소개하고 기술 트렌드에 대해 논의하는 ‘2024 테크 포럼’을 개최했다.올해로 6회째를 맞이하는 테크 포럼은 실리콘밸리 마운틴뷰에 위치한 삼성 리서치 아메리카(Samsung Research America, SRA)에서 진행했다.이번 행사에는 미국 현지 글로벌 기업의 리더급 개발자와 삼성전자 대표이사 한종희 부회장,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용석우 사장, 네트워크사업부장 김우준 사장, 삼성리서치장 전경훈 사장, 글로벌마케팅실장 이영희 사장, 경영지원실장 박학규 사장 등 총 90여 명이 참석했다.참석자들은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쉽고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AI)’을 주제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sR87a/btsJVYxrgQb/FADrxPeAZvlIQB7nfHoxLK/img.jpg)
삼성전자가 업계 최고 성능∙최대 용량의 PC용 SSD PM9E1 양산을 시작했다.삼성전자는 8채널 PCIe 5.0 기반 PM9E1에 8세대 V낸드와 자체 설계한 5나노 기반 컨트롤러를 탑재해 업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구현했다.*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기존 SATA 전송 속도의 성능 한계를 극복한 고속 인터페이스 규격. PCIe 5.0은 기존 PCIe 4.0 대비 대역폭이 2배로 커진 32GT/s를 지원하는 차세대 PCIe 통신규격이번 제품은 연속 읽기ㆍ쓰기 속도가 각각 초당 최대 14.5GB(기가바이트), 13GB로, 전작 ‘PM9A1a’ 대비 2배 이상 향상됐다.14GB 크기의 대형 언어 모델(LLM)을 SSD에서 D램으로 1초 만에 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HjR8J/btsJQDfjWkR/dR8mKcI1kiT6tQKf6I5an1/img.jpg)
삼성전자가 PCIe 4.0 기반의 고성능 소비자용 SSD 제품인 ‘990 EVO Plus’를 출시했다.‘990 EVO Plus’는 8세대 V낸드와 5나노 컨트롤러를 탑재해 업계 최고 수준의 성능과 전력 효율을 갖췄다.이번 제품의 연속 읽기·쓰기 속도는 각각 최대 초당 7,250MB(메가바이트), 6,300MB로, 전작 ‘990 EVO’ 대비 각각 45%, 50% 향상돼 업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자랑한다.* 연속 읽기 속도: 스토리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불러오는 속도연속 쓰기 속도: 스토리지 메모리에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속도이를 통해 전력 효율이 70% 이상 개선돼 같은 전력으로 데이터를 더 빨리 전송할 수 있게 됐다.이번 ‘990 EVO Plus’는 고용량 4TB(테라바이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PmjSq/btsJLtkjMGO/PzUsL6qpAHURUDdJyhmk8k/img.jpg)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8세대 V낸드를 적용한 PCIe 4.0 차량용 SSD AM9C1 개발을 완료했다.*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기존 SATA 전송 속도의 성능 한계를 극복한 고속 인터페이스 규격삼성전자는 주요 고객사에게 업계 최고 속도 256GB(기가바이트) 샘플을 제공하고 본격적인 시장 확대에 나섰다.이번 256GB 제품은 각각 4,400MB/s, 400MB/s의 연속 읽기∙쓰기 속도를 제공하고 전작 대비 전력효율은 약 50% 개선되어 차량 내 온디바이스 AI 기능 지원에 최적화됐다.* 비교 대상 제품은 자사 차량용 SSD ‘AM991’* SLC 모드(SLC mode): TLC 대비 성능이 좋고 신뢰성이 높은 SLC 파티션을 제공해 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la3ia/btsJDd94pOc/Tml78xGECWUUqCNLNZQFHk/img.jpg)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서버에 쓸 수 있는 1테라비트(Tb·1기가바이트의 125배) 용량의 QLC 9세대 V낸드를 업계 최초로 양산했다고 12일 밝혔다. 낸드는 데이터 저장용으로 쓰는 메모리 반도체로, 이를 수직으로 쌓은 것을 V낸드라고 한다. 여기에 하나의 셀(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에 4비트까지 담을 수 있는 게 QLC 구조다.이번 제품은 앞선 세대 낸드플래시 제품보다 데이터 쓰기 속도는 두 배 빨라졌고, 소비 전력은 최대 50% 감소한 것이 특징이다. 삼성전자는 AI 학습용 SSD(대용량 저장장치) 수요가 폭증하는 만큼, 고용량 고성능 낸드 시장에서 우위를 굳힌다는 전략이다.삼성전자는 지난 4월 TLC(셀당 3비트 저장) 9세대 V낸드를 최초 양산한 데 이어 QLC 제품까지 최초로 시장에 선보였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S2lYR/btsJv9rsgau/KNzZb9tYMpGB5C3lOkVOE0/img.png)
엔비디아가 연말부터 출하할 예정인 인공지능(AI) 반도체. 엔비디아에 따르면, 블랙웰은 같은 전력을 소모하면서 이전 모델보다 3~5배 많은 연산을 처리할 수 있고, 그래픽처리장치(GPU)끼리 데이터를 직접 주고받을 수 있는 NV링크의 성능도 10배 이상 개선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lecf1/btsJtxzpTIF/xHpKr7VQLouRehOQhKlN41/img.png)
미국과 영국, 유럽연합(EU) 등이 인공지능(AI) 기술 사용에 관한 첫 국제 협약에 서명했습니다. 진행자) 인공지능(AI) 기술 관련 소식입니다. AI 기술 사용과 관련해 처음으로 국제 조약이 체결됐군요?기자) 그렇습니다. 미국과 영국, 유럽연합(EU) 등이 5일 유럽평의회(Council of Europe)가 만든 AI 협약에 서명했습니다. 해당 협약은 AI 기술 사용과 관련해 법적 구속력을 가진 최초의 국제 조약입니다.진행자) AI 협약을 만든 기구가 유럽평의회군요?기자) 네, 유럽평의회는 유럽의 인권과 민주주의, 법치주의를 옹호하기 위해 지난 1949년 출범한 국제 기구인데요. EU 회원국 27개 나라를 포함해 총 46개 회원국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유럽평의회는 앞서 57개국과 함께 수년에 걸쳐 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1wiqw/btsJpfyvUwk/j2mKGn7hPbKGA8IJg44wlK/img.jpg)
기술주 전문 운용사인 I/O 펀드는 엔비디아(NAS:NVDA)의 시가총액이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2일 비즈니스인사이더(BI)에 따르면 I/O 펀드의 베스 킨딕 애널리스트는 현재 2조9천억달러 규모인 엔비디아의 시총이 장기적으로 10조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차세대 AI칩인 블랙웰이 성장세를 견인할 것으로 전망했다.킨딕 애널리스트는 엔비디아의 실적이 여전히 매우 좋다며, 실적 발표 전에 나왔던 투자자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기에 충분했다고 평가했다.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한 인터뷰에서 회사가 수율 개선을 위해 큰 변화를 줬으며 블랙웰로부터 수십억달러의 이익을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킨딕은 블랙웰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유지하면서 "월가 전문가들이 내년 실적 추정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3xW7M/btsJn9E8NHK/AKObZw17VCywVm9OkrXvY0/img.jpg)
엔비디아가 28일(현지시간) 2분기(5-7월, 회계연도 기준 2025년 2분기) 실적발표를 통해 올 연말 출시할 AI 가속용 GPU '블랙웰'(Blackwell) 생산 절차 중 일부를 개선했다고 밝혔다.블랙웰은 엔비디아가 'GTC 2024'에서 공개한 차세대 AI 가속용 GPU로 오는 4분기부터 공급 예정이다. 대만 TSMC의 4나노급 공정(N4P)으로 만든 반도체 다이(Die) 두 개를 연결해 만든 칩이며 2천80억 개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했다.이달 초 미국 디인포메이션과 대만 공상시보는 소식통을 인용해 "블랙웰 출시 시기가 생산 과정 중 발견된 문제로 내년 1분기로 지연됐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엔비디아는 "블랙웰 시제품이 여전히 공급되고 있으며 생산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이날 콜렛 크레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05YJL/btsJnXYWriN/tvF8P8Ek9DKjopTdqnVPFk/img.jpg)
삼성전자가 퀄컴의 프리미엄 차량용 플랫폼인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 (Snapdragon® Digital Chassis™)’ 솔루션에 탑재되는 차량용 메모리 LPDDR4X에 대한 인증을 획득하며 본격적인 제품 공급을 시작했다.* LPDDR4X: Low Power Double Data Rate 4X삼성전자는 차량용 반도체 분야에서 퀄컴과 첫 협력을 시작하며 LPDDR4X를 글로벌 완성차 및 자동차 부품 업체 등에 장기 공급할 수 있게 됐다.삼성전자는 퀄컴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 솔루션에 최대 32GB(기가바이트) LPDDR4X를 공급하여 프리미엄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시스템을 지원한다.* IVI: In-Vehicle Infotainment. 차 안에 설치된 장비들이 차량 상태와 길 안내 등 운행..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jigRP/btsJlYFrruN/AN1zjBjMbGiBkVg73Nsad1/img.jpg)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로 10나노급 6세대 1c 미세공정을 적용한 16Gb(기가비트) DDR5 D램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SK하이닉스는 “10나노급 D램 기술이 세대를 거듭하면서 미세공정의 난이도가 극도로 높아졌으나, 당사는 업계 최고 성능이 입증된 5세대(1b) 기술력을 바탕으로 설계 완성도를 높여 가장 먼저 기술한계를 돌파해냈다”며, “연내 1c DDR5의 양산 준비를 마치고 내년부터 제품을 공급해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성장을 이끌어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SK하이닉스는 1b D램의 플랫폼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1c를 개발했다. 이를 통해 공정 고도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줄이는 것은 물론, 업계 최고 성능 D램으로 인정받는 SK하이닉스 1b의 강점을 가장 효율적으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9Bxt/btsI8QZRwOE/tVvUlDCeGScUZtY4yHGBek/img.jpg)
삼성전자가 업계 최소 두께 12나노급 LPDDR5X D램 12∙16GB(기가바이트) 패키지 양산을 시작하며 저전력 D램 시장에서의 기술 리더십을 확고히 했다.이번 제품의 두께는 0.65mm로 현존하는 12GB 이상 LPDDR D램 중 가장 얇다삼성전자는 업계 최소 크기 12나노급 LPDDR D램을 4단으로 쌓고 패키지 기술, 패키지 회로 기판 및 EMC 기술 등 최적화를 통해 이전 세대 제품 대비 두께를 약 9% 감소, 열 저항을 약 21.2% 개선했다.* 4단(Stack) 구조: LPDDR D램 칩 2개가 1단으로 총 4개의 단으로 패키지 되어있는 구조* EMC(Epoxy Molding Compound): 수분,열,충격 등 다양한 외부환경으로부터 반도체 회로를 보호하는 회로 보호재또한 패키지 공정 중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EpSg/btsIStd6ARY/PUkJqMJAgjEGNGGtT33vCK/img.jpg)
삼성전자가 고용량 1TB(테라바이트) 마이크로SD 카드 2종 ‘PRO Plus’와 ‘EVO Plus’를 출시했다.이 제품은 업계 최고 용량인 1Tb(테라비트) TLC(Triple Level Cell) 8세대 V낸드를 8단으로 쌓아 패키징해 테라바이트급 고용량을 구현하고, 제품 내구성을 강화했다.* TLC(Triple Level Cell): 하나의 셀에 3bit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구조삼성전자가 2015년에 첫 출시한 ‘PRO Plus’와 ‘EVO Plus’ 라인업은 ▲용량 ▲속도 ▲안정성 ▲호환성을 모두 갖춘 마이크로SD 카드로, 고성능∙고용량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들에게 최적의 솔루션이다.▲게임 콘솔 ▲드론 ▲액션 카메라 ▲태블릿 등 마이크로SD 카드 슬롯이 있는 모든 기기들과 호환 가능해 크리에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nWCQS/btsISJmNckU/idg1NlHFKUlQmNKuoJzyRk/img.jpg)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으로 매출 74.07조원, 영업이익 10.44조원의 2024년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전사 매출은 전분기 대비 3% 증가한 74.07조원을 기록했다. DS부문은 메모리 업황 회복으로 전분기 대비 23% 증가하고, SDC는 OLED 판매 호조로 증가했다.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3.84조원 증가한 10.44조원을 달성했다. IT 시황이 회복되는 가운데 메모리 분야 고부가가치 제품 수요에 대한 대응으로 DS부문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대폭 상승했다. MX는 주요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으로 수익성이 다소 하락했다.미래 성장 동력을 위한 적극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하며 2분기 8.05조원의 연구개발비를 집행했다. [2분기 실적]DS(Device Solutions)부문 매출 28.56조원, 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CgGXd/btsILU4x5vz/YjnUkql073KVbm2KIAfJoK/img.jpg)
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메모리(HBM) 공급 증가에 힘입어 2분기 영업이익이 반도체 슈퍼 호황기였던 2018년 이후 6년만에 5조원대에 진입했다. 매출 또한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냈다. 이 같은 실적은 인공지능(AI)향 메모리 특화 고대역폭메모리(HBM)과 고용량 DDR5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매출 비중이 늘면서 수익성이 개선된 덕분이다.SK하이닉스는 메모리 수요 개선에 따라 하반기에도 실적 상승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회사는 올해 HBM 매출은 전년 보다 300% 성장하고,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Enterprise SSD, eSSD) 매출은 전년 보다 4배 성장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 영업이익 5.5조원 '어닝 서프라이즈'...하반기도 상승세SK하이닉스는 25일 실적발표를 통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PjcTF/btsIIgE7r4g/e79fyQKnueff11RDVy0CE0/img.jpg)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으로 데이터양이 급증하자 메모리를 확장하는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CXL)’가 주목받고 있다. 고대역폭메모리(HBM)가 빠르게 연산하는 기술의 집약체라면, CXL은 대용량을 구현하는 기술로 요약된다. 아직 초기 단계인 CXL 시장 규모는 2028년까지 158억 달러(약 22조원)로 성장할 전망이다.삼성전자는 18일 서울 중구 태평로빌딩에서 CXL 기술 현황을 소개했다. CXL은 기존 D램과 공존하며 시스템 내 대역폭과 용량을 확장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기존 서버에서 사용하던 D램은 대규모 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한계가 있는데, CXL은 용량을 확장해 이를 극복할 수 있다.CXL은 두뇌 격인 중앙처리장치(CPU)와 메모리 반도체를 잇는 도로를 늘리는 기술로 비유된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0H5vf/btsIGEsSqyR/yGwT4tNIgh7gIjhQLIKhT1/img.webp)
삼성전자가 대만 반도체 설계 기업인 미디어텍(MediaTek)과 업계 최고 속도인 10.7Gbps LPDDR5X D램 동작 검증을 완료했다.* Gbps(Gigabit per second): 1초당 전송되는 기가비트 단위의 데이터* LPDDR5X: Low Power Double Data Rate 5X 삼성전자는 미디어텍과의 이번 동작 검증을 통해 저전력∙고성능 D램 시장에서의 기술 리더십을 확고히 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하반기 출시 예정인 미디어텍 최신 플래그십 모바일AP '디멘시티(Dimensity) 9400'에 LPDDR5X 기반 16GB 패키지 제품 검증을 완료하고 고성능 모바일 D램 상용화에 앞장선다. 삼성전자가 지난 4월 개발한 10.7Gbps LPDDR5X는 이전 세대 대비 동작 속도와 소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cb92D/btsIDdWZQxB/AHALXpY5Sab1jmBpShFjsk/img.jpg)
삼성전자가 이달 16일(현지시간) 지식 그래프 기술을 보유한 영국 스타트업 '옥스퍼드시멘틱 테크놀로지스(Oxford Semantic Technologies)'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옥스퍼드시멘틱 테크놀로지스는 2017년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 3인이 공동 창업한 스타트업으로, 데이터를 사람의 지식 기억 및 회상 방식과 유사하게 저장, 처리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지식 그래프'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지식 그래프'는 관련 있는 정보들을 서로 연결된 그래프 형태로 표현해 주는 기술이다. 데이터를 통합하고 연결해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빠른 정보 검색과 추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런 특징으로 정교하고 개인화된 AI를 구현하는 핵심 기술 중 하나로 꼽힌다. 또한 실생활에 사용되는 기기에서 끊임없이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