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북아프리카 지역 (457)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북아프리카 리비아의 수도 트리폴리에서 민병조직간의 충돌이 격화돼 지금까지 민간인을 포함한 39명이 사망했습니다. 이러한 사태에 대해 서방 국가가 공동성명을 내고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리비아는 7년 전 중동의 민주화운동인 '아랍의 봄'으로 카다피 정권이 붕괴된 뒤 수도..
statue of the muzzle and bayonet of an AK-47, given to Egypt by North Korea, honors the military partner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북한이 이집트에 주둔한 AK-47의 총구와 총검 동상은 양국의 군사 협력 관계를 기념하고 있습니다] 슬로바키아에 무역회사를 차리고 이집트에 미사일과 부품 등을 팔아온 북한 부부 요..
이집트의 이브라힘 마흐라브 총리(사진) 이집트의 이브라힘 마흐라브 총리가 이끄는 내각이 12일 전격 사퇴했습니다. 마흐라브 총리 내각은 그 동안 부패의혹혐의로 조사를 받으며 언론의 질타를 받아왔습니다. 하루 전에는 농업부 장관이 부패 혐의로 체포됐습니다. 압델 파타 엘시시 ..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확장공사가 완료돼, 6일 각국 정상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한 기념식이 열렸습니다. 1869년에 개통된 수에즈 운하는 아시아 측의 홍해와 유럽 측의 지중해를 연결하는 해상교통의 요충지인데, 이번 확장공사로 선박의 통과에 걸리는 시간이 대폭 단축됩니다. 이집..
이집트 동부의 시나이 반도 인근 해상을 항해중이던 이집트 해군 순시선이 이슬람과격파조직 IS에 충성을 맹세한 무장세력의 습격을 받고 화염에 휩싸여, 군과 무장세력 간의 충돌이 더욱 확산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집트군은 16일 동부 시나이 반도 인근 지중해에서 자국 해군 ..
이집트에서 4년 전 ‘아랍의 봄’이라 불리는 민주화 운동이 일어나 정권이 붕괴될 때까지 여당 본부로 사용됐던 건물의 철거 공사가 시작돼, 30년에 걸친 독재 지배의 상징이 이제서야 겨우 모습을 감추게 됐다며 시민들이 기뻐했습니다. 당시 이집트의 집권당 국민민주당의 본부 건물..
로드리게스 미군 사령관은, 혼란이 계속되는 북아프리카 리비아에서 이슬람 과격파조직 IS '이슬람국가'가 훈련시설을 만들어 전투원을 육성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리비아에서는 3년 전 '아랍의 봄'이라고 불리는 민주화운동으로, 독재지배를 계속해..
Both liberals and Muslim Brotherhood supporters joined the protest in Tahrir Square 이집트에서 3년 전에 일어난 민주화운동 '아랍의 봄'으로 축출된 무바라크 전 대통령이 반정부 시위 참가자의 살해를 지시한 혐의를 받아 열린 재판에서 사실상 무죄판결이 나옴에 따라, 판결에 불복하는 젊은이들이 항의시..
Tunisians hope the election will strengthen post-revolutionary changes in the country. 중동의 민주화운동 '아랍의 봄'의 발원지인 북아프리카의 튀니지에서 대통령선거 투표가 일본시간으로 23일 치러집니다. 튀지니에서는 4년 전, 실업 중인 청년들이 경찰에 항의하는 분신자살을 계기로 독재정권에 항거하..
이집트 대통령 선거에서 쿠데타를 주도한 압델 파타 엘시시 전 국방장관이 압도적인 지지로 당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집트 당국은 오늘 잠정개표 결과 엘시시 후보가 유효 투표의 93%를 득표했다고 밝혔습니다. 엘시시의 유일한 경쟁 후보인 좌파정치인 함딘 사바히는 약 3%의 득표..
지난해 7월 군부에 의한 사실상의 쿠데타로 무함마드 무르시 전 대통령이 해임되고 과도정부에 의한 통치가 계속되고 있는 이집트에서, 지난 3일, 대통령 선거전이 시작됐습니다. 이번 선거전은 쿠데타를 지휘한 압델 파타 엘시시 전 국방상과 좌파계 정치인이자 전 언론인인 함딘 사바..
알제리에서는 17일, 대통령선거 투표가 실시됩니다. 6명이 출마한 이번 선거에서는, 부테플리카 현 대통령의 4선이 확실시되고 있습니다. 부테플리카 대통령은 1999년 대통령에 취임한 이래, 선진국과의 관계개선과 시장경제로의 이행에 힘써 왔습니다. 하지만, 77세의 고령으로, 건강상태..
11월 법정 피고인석에 서 있는 무르시 전 대통령 (자료사진) 이집트 검찰이 무함마르 무르시 전 대통령에게 지난 2011년 시민봉기 당시 탈옥을 주도하고 교도관을 살해한 혐의를 추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무르시 전 대통령은 다른 혐의와 관련된 재판에 더해 세 번째 재판을 받아야 합니다...
18일 이집트의 안전정세는 전반적으로 완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충돌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집트 제1부총리 겸 국방부장인 싸시는 18일 발표한 연설에서 이집트군은 국민들이 념원에 따라 지도자를 선택하는 자유를 지켜줄 것이라고 하면서 군부측은 국..
Egypt crisis: How the military grew so powerful 이집트에서는 시위대와 치안부대의 충돌로 800명 이상이 숨진 가운데 임시정부를 주도하고 있는 압델 파타 엘시시 국방상이 시위대의 강제 해산 이후 처음으로 공개석상에서 강연을 하고 무슬림형제단에 의한 항의행동을 테러행위라며 강력하게 단속..
이집트 과도정부 총사퇴와 거국 과도정부 구성으로 이집트 유혈사태 해결(미국등 선진국과 이집트 다수 국민들의 입장) 이집트 유혈사태에 따른 사망자가 800명을 넘어선 가운데 이집트 정부가 17일(현지시간) 무슬림형제단 및 이들 지지세력과의 화해는 없을 것이라고 천명했다. 군부가 ..
터키와 이스라엘, 알제리 등 이집트 밖 곳곳에서 이집트 군부의 시위대 강경 진압을 규탄하는 시위가 열렸다. 군부의 무력으로 축출된 무함마드 무르시 전 이집트 대통령을 지지하는 터키인 수만 명은 17일(현지시간) 터키 각 지역에서 이집트 군부의 유혈 진압을 규탄하는 시위를 벌였다..
이집트 군인과 경찰이 17일(현지시간) 카이로 람세스 광장 인근의 파테 모스크(이슬람 사원)로 피신한 수백 명의 시위대를 모두 해산했다고 일간 알아흐람 등 현지언론이 보도했다. 이집트군은 이날 오후 수니파 최대 종교기관 알아즈하르의 중재로 파테 모스크 안에 있는 시위대를 해산..
이집트 군부가 국민사회주의 입장보다는 국민자유쥬의 입장을 견지해야 국민사회주의(국가사회주의) 입장에서 권력을 장악하고자는 하는 것은 반란행위(이집트 국가반란행위)이다. 민간인 대량 학살행위는 국제 범죄행위이며 유엔에서 조사하여 연합군 주도로 학살 책임자 체포하여 ..
이집트 과도정부가 시위대를 강제 해산한 것과 관련해 터키 등 민주화가 진행되고 이슬람 색채가 강한 국가들은 과도정부를 비난하는 반면, 사우디아라비아 등 민주화가 더딘 국가들은 과도정부를 지지하고 있어, 중동 각국 정부에서 양분된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이집트..
"이집트 군부는 정치개입을 중단하고 민간인 학살을 중지하라 (세계 각국 귀가 빙빙 돌아가는 사람들 머리소리함 입장)" 이집트 군부가 국민사회주의 입장보다는 국민자유쥬의 입장을 견지해야 국민사회주의(국가사회주의) 입장에서 권력을 장악하고자는 하는 것은 반란행위(이집트 국..
군에 의한 사실상의 쿠데타가 발생한 이후, 혼란이 계속되고 있는 이집트에서 임시 정부가 이슬람조직 등의 항의시위를 강제적으로 해산할 자세를 보인데 대해, 미국과 EU/유럽연합은 강한 우려를 나타내는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중재를 통해 계속해서 노력하겠다는 생각을 강조했습니..
이집트를 방문하고 있는 미 국무차관 번스는 4일 이집트 과도정부 베부라비 총리와 국방장관인 시시 제1 부총리를 만났습니다. 이와 함께 시시 부총리도 미국 하겔 국방장관과 전화통화를 했습니다. 이날 이집트를 방문하게 되는 미국 공화당 상원 린세 게레엠 의원도 이집트 군부측이 ..
혼란이 계속되고 있는 이집트에서는 대통령직에서 축출된 무르시 씨를 지지하는 무슬림형제단의 회원 수 천명이 수도 카이로의 광장에서 연좌 농성을 계속하고 있어 임시정부는 시위대가 해산하지 않을 경우 강제로 해산시킬 자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이집트 군의 최고..
국제테러조직 알카에다의 지도자인 자와히리 용의자로 보이는 남자가 3일까지 인터넷상에 음성성명을 발표하고, 지난달에 이집트에서 발생한 사실상의 쿠데타를 격렬히 비난했습니다. 성명 속에서 자와히리 용의자로 보이는 남성은, "친미파인 군부와 세속파가 결탁해 무르시 정권을 ..
군부에 의한 사실상의 쿠데타가 발생한 지 한달이 지난 이집트에서는 2일 밤에도, 무르시 씨의 지지자와 치안부대가 충돌하는 등 긴박한 정세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집트에서는 지난달 3일, 군부에 의한 사실상의 쿠데타로 무르시 씨가 대통령직에서 해임된 후, 무르시 씨의 지지자와 ..
오는 3일로 이집트에서 군이 무함마드 무르시 대통령을 축출한지 한 달이 됩니다. 오늘 해설에서는 정국 혼란이 이어지고 있는 이집트 정세의 향방에 대해, 도시샤대학 글로벌 스터디즈 연구과의 나이토 마사노리 교수의 이야기를 들어보겠습니다. 무르시 대통령에 반대한 사람들은 '혁..
이집트에서는 8일, 대통령직에서 해임된 무르시 씨의 지지자와 치안부대가 격렬히 충돌해, 사실상의 쿠테타가 발생해 하루 사망자로서는 가장 많은 42명이 사망했습니다. 이집트에서는 지난3일에 군이 무르시 대통령 해임을 발표하자 각지에서 무르시 씨의 지지자들이 군에 대한 항의 행..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3일 이집트 정세에 관한 성명을 발표하고, 군이 개입해 헌법의 효력을 일시 정지시키고 무르시 대통령을 해임시켰다는 발표에 대해 강한 우려감을 표명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성명에서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부에 될수록 조속히 모든 권한을 넘겨줄 것을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