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平和大忍, 信望愛./韓中日 동북아역사(한자언어문화권) (342)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EMYg/btrcus6h0zV/8JEHCIpl6Kc5zwa7V0LBe0/img.jpg)
지난 15일, 중국침략 일본군 제731부대 범죄증거전시관은 일본군 제731부대(이하 731부대) 2대 부대장이었던 기타노 마사지(北野政次)가 미국 포트 데트릭 기지 소속 수사관에게 조사를 받은 후 미군 측에 건넨 자백서 17페이지를 공개했다. 이 자백서는 처음으로 공개된 자료로, 기타노 마사지가 731부대를 5개 측면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진술한 동시에 세균무기 연구와 사용 및 인체실험을 자백했다. 중국침략 일본군 제731부대 범죄증거전시관 진청민(金成民) 관장은 “1945년 8월 일본이 투항하자 기타노 마사지는 상하이를 떠돌다 포로수용소에 갇혔는데, 연합국총사령부(SCAP) 정보부의 조정으로 1946년 1월 9일 일본으로 인도되었다. 일본으로 돌아온 그는 포트 데트릭 기지에서 파견한 일본 세균전 관련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HQOIc/btq0A1Sksr7/EK6gkThkSetsInyQQ35dDk/img.webp)
이번 주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부 장관이 일본을 방문했습니다 “미국의 전통적 우방, 일본” 일본은 아시아에서 미국의 대표적인 우방국입니다. 하지만 두 나라는 한때 적국이기도 했습니다. 두 나라는 19세기 중반에 외교 관계를 수립했고, 1912년에는 친선의 상징으로 일본이 미국 정부에 3천 여 그루의 벚꽃 나무를 보내기도 했습니다. 특히 미국 하와이는 사탕수수밭에서 일하기 위해 건너온 일본인 이민자들이 대거 정착한 오랜 이민 역사도 갖고 있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 때는 미국과 일본이 함께 연합군의 일원으로 참전하며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데요. 하지만 일본이 만주사변을 일으키면서 두 나라 관계는 급속히 악화하기 시작했습니다. 만주사변은 1931년 당시 일본제국이 중국 북동부와 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P6pZN/btqWQ9lFdU4/y9o2d2kPoG8ywF2TRdgCCk/img.png)
지난 8일 중국 공안부는 ‘2020년 전국 성명 보고’를 발표했다. 호적 인구수를 기준으로 2020년 중국의 ‘백가성’(百家姓)은 2019년과 비교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왕’(王), ‘리’(李), ‘장’(張), ‘류’(劉), ‘천’(陳)이 차례대로 5위 안에 들었으며 5대 성씨 인구의 총수는 전국 호적 인구 총수의 30.8%를 차지했다. 2020년 12월 31일까지 2020년 출생으로 호적 등록을 마친 신생아는 총 1003만 5천 명이며 그중 남자아이가 529만 명(52.7%), 여자아이가 474만 5천 명(47.3%)이다. 2020년 ‘백가성’ 중 가장 많이 등록된 신생아 성씨는 ‘리’로 총 72만 6천 명이며 가장 적은 성씨는 ‘구’(顧)로 1만 7천 명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687lM/btqLVbh2b0s/AYAKcbCuodhGpZ4ss9Jxm1/img.webp)
최근 시진핑 국가주석 등 중국 지도부가 대대적으로 한국전쟁을 미제의 침략에 맞선 정의로운 승리로 주장하는 데 대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전쟁은 스탈린과 마오쩌둥의 지원으로 북한 정권이 일으킨 것으로 이미 입증됐고, 미군 참전도 유엔 결의에 따라 합법적으로 이뤄졌기 때문에 중국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는 지적입니다. 모건 오테이거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23일 인터넷 사회관계망 서비스인 ‘트위터’에 중국 지도부의 한국전쟁 왜곡 주장을 공개적으로 반박하는 글을 올렸습니다. “중국 공산당은 70년 전 한국전쟁이 단순히 발발했다고 주장하지만, 사실은 1950년 6월 25일에 마오쩌둥의 지지를 받은 북한이 남침했다”는 겁니다. 이어 “자유 국가들이 이에 맞서 싸우자 중국 공산당은 압록강을 건너 수십만 명의 병..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wMWAt/btqJhIItSpA/hJjT7p0DjkJRRkKBoUxykK/img.jpg)
중국은 1950년에 발발한 한국전쟁에서 대규모 ‘인민의용군’을 파견해, 미국을 중심으로 한 유엔군과 싸웠는데, 10월로 참전 70주년을 맞습니다. 이를 앞두고 중국은 북한과 국경을 접하는 중국 동북부 랴오닝성 단둥에 있는 한국전쟁 기념관을 약 6년간 리모델링해 20일부터 일반공개가 시작됐습니다. 기념관은 전시 공간이 5배로 확대됐고 김일성 주석이 참전을 요청하기 위해 직접 써서 보냈던 편지 등 1600여 점이 전시돼 있습니다. 또 기념관 부지 내에는 한국전쟁 당시의 탱크와 전투기 등도 전시돼 있습니다. 전시실 입구에는 “중국과 북한은 피로 맺어진 우호관계”라는 시진핑 국가 주석의 말이 걸려 있습니다. 중국은 “중국이 군사 지원해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선전함으로써 북한과의 전통적 우호관계를 강조하려는 목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Duzfc/btqH4tNJpVw/MRFtnVmyUKn56J3PUJAB1k/img.jpg)
국제적십자위원회(ICRC)가 한국전쟁 발발 직후 남북한 모두에 인도적 지원을 제의했지만 북한은 응답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제적십자위원회는 한국 내 북한군 포로수용소를 160차례 방문해 수감자들에게 식량과 담배를 공급하며 인도적 지원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국제적십자위원회 ICRC가 의사결정 기록을 70년 후 공개하는 원칙에 따라 최근 한국전쟁 기록물 일부를 공개했습니다. 스위스 공영매체인 ‘스위스인포’(Swissinfo)는 5일 입수한 자료를 통해 국제적십자위원회가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된 한국전쟁 발발 직후 남북한 당국 모두에 전보를 보내 지원을 제의했지만 북한 외무성은 아무런 응답이 없었다고 전했습니다. ICRC는 1949년 새롭게 확대-보완된 4개 제네바협약에 따라 인도적 지원, 억류 수감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ytuj/btqF1AHrOiP/Wt5wRkEXTs5y4CY7tzocE0/img.jpg)
리처드 닉슨이 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전을 앞두고 출마했을 때 헨리 키신저는 공화당 경선에서 닉슨의 가장 강력한 경쟁자인 넬슨 록펠러 후보 캠프에 있었다. 닉슨이 공화당 후보가 되자 키신저는 록펠러의 권유와 추천에 따라 닉슨 캠프에 들어왔다. 둘은 공화당이라는 같은 울타리 안에 있다는 점을 빼고는 여러 점에서 달랐다. 닉슨이 미국 정치 주류에서 비껴나 있는 서부출신인데 반해 키신저는 뉴욕시장을 지낸 록펠러의 참모이던 경력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미국 주류 동부 출신과 가까웠다. 닉슨이 매카시스트라는 비난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강력한 반공주의자였던 반면 독일 이민자 출신인 키신저는 공화당의 정치 스펙트럼에서는 닉슨과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었다. 물과 불처럼은 아니지만 물과 기름 못지않게 외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eRs21/btqFmvgSIsC/dx9b7vJFlQ0TBcHfONmlmk/img.gif)
“ 한반도는 중국 외교에 있어서 하나의 함정이었다. ...... ......16세기 말에 명나라는 세차례 군대를 파견하여, 조선군대와의 공동작전으로 조선을 침입한 일본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군대와 싸움을 하여 일본군을 조선에서 몰아내었다. 청나라는 조선과 계속 특수한 관계를 유지하였고 이 때문에 일본과 갑오전쟁(청일전쟁)이 일어나 조선의 종주권을 일본에게 양보하도록 강요받았을 뿐만 아니라, 타이완(대만)을 할양하고 일본에 거액의 배상을 지불하도록 압박받는 커다란 대가를 지출하였다. 1950년 한국의 남북 양쪽의 군사충돌이 다시 한번 중국을 전쟁의 진흙탕으로 끌고 들어갔다. 마침내 미국으로 하여금 처음으로 승리하지 못한 전쟁에 서명하도록 강요하였지만, 이 전쟁은 중미 양국을 더욱 더 대립하도록 만들었고, 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66aVy/btqFdnVLJA7/WudcX7mnWjsBvpTns6Ugh0/img.jpg)
올해로 70주년을 맞은 6·25전쟁이 북한의 남침(南侵)으로 시작됐음을 인정한 구(舊)소련의 1960년대 기밀문서가 발견됐다. 구소련 외무성이 1966년 8월 9일 작성해 소련공산당 중앙위원회 대외연락부 부부장이었던 올렉 라흐마닌(1924~2010)에게 보고한 ‘1950~1953년 조선전쟁과 휴전담화에 대하여’라는 제목의 문서다. 해당 문서는 “김일성은 미국이 남조선을 위해 참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았고 스탈린과 마오쩌둥으로부터 무력통일에 통과를 받도록 간절히 노력했다”며 “김일성이 1950년 3~4월에 모스크바를 방문했을 때 스탈린은 조선인들의 계획을 최종적으로 승인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북한 당국은 6·25전쟁 발발 70주년을 맞이한 지금까지 ‘남침’을 인정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북한 당국이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bYksT/btqE7nCdwYs/vHAVAIiO4M3b2FTEBQd5l0/img.jpg)
전쟁이 끝난 뒤 빈 들판에서 갓난아기를 등에 업은 여자아이가 슬프게 울고 있다. 박수근 그림에서 튀어나온 듯한 이 아이의 사진은 궁핍한 전후(戰後), 부모 없이 어린 동생을 돌봐야 했던 어린 누이들의 신산함을 그대로 전해주고 있다. 황량한 시골에서 벌거벗고 검게 그을린 채 울고 있는 어린이의 사진도 있다. 전쟁이 일어난 지 두 달 뒤, 피란길에 홀로 버려진 듯 안타까운 광경이다. 6·25 전쟁 70주년을 맞아 미공개 사진 300여 장을 수록한 사진집 ‘끝나지 않은 전쟁 6·25’(눈빛)가 출간됐다. 미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사진과 영국·중국·러시아·북한 등 출판사가 아카이브를 구축해 수집한 사진들로 엮었다. 전쟁 발발 직후 남한으로 진격한 북한 탱크, 긴박한 낙동강 전선, 인천상륙작전 때 함정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xXesQ/btqE6wsRIgg/Pelnk5wLSeKwy3rndeTRc0/img.png)
두만강과 압록강 맞은 편에는 중국 길림성 조선족 연변자치주와 장백 자치현이 있다 남한(대한민국)과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길림 연변조선족 자치정부(길림성 조선족 연변자치주와 장백 자치현)등 한민족(조선족)의 3개 정부가 존속하고 있다 1.길림성 조선족 연변자치주 옌볜 조선족 자치주(연변조선족자치주, 延邊朝鮮族自治州)는 중화인민공화국 동북 지역 지린 성(吉林省)의 자치주이다. 중심지는 연길(延吉)이다. 자치주의 면적은 43,474 km2, 2009년 인구는 217만9천명이다. 이 곳은 80만명의 재중동포가 거주하는 중국 최대의 조선족 거주 지역이다. 자치주 전체 인구 가운데 조선족 인구 비율은 36.7%이며, 조선족이 전체인구의 2%에 불과한 둔화 시를 제외한 연변 지역의 조선족 인구비율은 4..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1Xmt/btqE6Muq9rD/DYw72OJH55i1VJ72RKqV0k/img.jpg)
6·25전쟁 발발 초기 소련군이 38선 일대 사단을 포함해 한국군을 전방위로 감청했다는 사실이 담긴 문서가 공개됐다. 북한의 남침에 소련이 깊숙이 개입했다는 점을 보여주는 증거로 당시 소련군의 한국군 감청이 문서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북한군 노획문서 자료집을 23일 발간했다. 2권 분량의 자료집은 1942년 창설된 미군 특수부대 연합군번역통역국(ATIS)이 6·25전쟁 당시 입수한 북한군 노획문서를 완역해 분석한 것이다 ○ “1948년 철수했다”던 소련, 실제론 北 남침 개입 공개된 문서 중 가장 눈에 띄는 자료는 북한군 소련고문관이었던 무르진 중위가 작성한 ‘무르진 감청보고서’다. 100쪽 분량 보고서에는 6·25전쟁이 발발한 1950년 6월 25..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nXGAb/btqEODzDqF5/LmBNKTfgDoWihAQsmiuDk1/img.jpg)
한국전쟁의 주도세력은 북한 노동당 내부 만주파(동북항일연군 내부 제 88독립저격여단)이다 만주파(滿洲派)란 북한에서 김일성과 함께 동북항일연군에서 항일유격대 활동을 한 인물들을 가리킨다. 김일성이 지휘했던 부대인 동북항일연군 1로군 제 6사에서 활동하지 않은 동북항일연군의 요인들 중에서도 최용건 등 같이 만주파에 포함된 인물들이 있다(김일성과 함께 만주에서 빨치산 활동을 한 출신자들로 이루어진 세력. 주요 인물로 김일성, 김책, 최용건, 최현, 김일 등이 있다) 이 만주파는 해방이후 갑산계 소련계 남로당계 등을 정권투쟁에서 몰아내고 북한의 정치·군사 분야를 이끌어가는 핵심세력이 되었으며 북한의 현대사는 김일성과 만주파를 따로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 8월 종파사건 이전까지 김일성은 북한과 조선로동당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Hfl1w/btqEbQGtSh7/WWzcKN7pq2jIQCHhoLWcz1/img.jpg)
5.18 광주민주화 운동이 발생한지 40년을 맞았다. 당시 광주에서 일어난 일은 외부로 잘 알려지지 못했다. 계엄당국의 보도검열 때문에 신문이나 방송 등을 통해 소식이 전해질 수 없었다. 당시 신군부의 계엄사령부는 1980년 5월 31일 ‘광주폭동사태’로 규정 ‘무장폭도에 의한 살상파괴 방화 약탈과…’로 발표했다. 발표직후 천주교 광주대교구는 ‘군은 유혈사태를 유발하여 놓고 그 책임을 광주시민에게 전가…’ 와 같은 내용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후 6공화국이 들어선 1988년 2월 정부는 ‘폭동’이 아닌 ‘민주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규정했다. 1980 년 5월 당시 본보기자(황종건, 김녕만)들이 기록한 광주 모습을 통해 그때의 실상을 다시 한번 되새겨 보고자 한다. -base@donga.com- 광주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xAZJ/btqD9NV1AWX/un5XuJz2jaypNkZSJJ6pik/img.webp)
1941년 6월부터 1945년 5월까지 약 4년간 계속 된 위대한 애국 전쟁에서 군인과 함께 최전선에 다녀왔다 전장 카메라맨들의 모습이 있었다. 그들은 때로는 참호와 탱크에서, 심지어 전쟁에 휩싸인 도시에서 현지 분위기를 계속 전했다 1941년 6월 22일 독일군의 소련 침공을 라디오에서 알 시민의 모습에서 1945년 5월 2일 독일 국회 의사당 제압 순간까지 약 300명의 전장 카메라맨들에 의해 카메라에 담았다 . 그들이 남긴 기록들은 75년의 세월이 지난 지금도 전장에서 싸운 병사들의 용기와 업적을 보여주고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d1NdS/btqDRxySbS2/xEYxeJaYTg4K92SFpNtTnk/img.jpg)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여성이 직접 군사행동에 참여한 국가는 세계에서 소련 뿐이었다. 전쟁 초기에 막대한 수의 소련 병사가 전사했고(공식 통계에서 약 2700 만명), 조국이 어려움에 빠진 것을 알게 된 여성들은 자원해서 군의 행동에 참여하고 전선에 가서 남자처럼 싸웠다. 여성들은 인원 부족 의용군이나 게릴라 부대를 보충하고 육상과 해상, 공중에서 남성을 대신하여 임무를 수행하고 싸웠다. 1.여성의 동원(動員) 구소련군에 처음으로 여성의 전투부대가 등장한 것은 바로 제2차 세계대전 중이었다. 1942 년 여성의 대량 동원이 3회 열렸다. 첫 번째 동원은 10만명의 여성이 대공방위(対空防衛)임무를 할당했다. 두 번째 동원은 3만명의 여성이 전선에 보내졌다. 이것은 통신부대의 임무 수행을 위한 것이었다. 세 번..
아우슈비츠(Auschwitz) 포로들은 소련군 의사와 함께 석방 되었다(사진) 75년 전, 1945년 1월 27일, 소비에트 군대는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를 해방시켰다. 수감자들은 갑자기 생명에 대한 희망을 가졌다. 해방자들은 공포의 그림을 가지고 있었다. 사진 : 소비에트 군대의 해방 전(前) 아우슈..
“권력을 향한 싸움이 시작된다” 1953년 소련의 절대 권력자 스탈린이 갑작스럽게 쓰러진다. 권력을 향한 치열한 암투가 시작되고 스탈린의 장례식이 거행되는 운명의 날은 밝아온다. 독재자와 그의 사후 권력을 잡기 위한 쟁탈전에 폭소가 터진다. 오는 18일 개봉하는 영화 '스탈린이 죽..
일본 공산당 깃발은 박애, 우애, 동무의 상징 빨강색(공산주의 상징 붉은 색) 바탕에 하나로 합쳐진 민주주의 혁명, 민주 통일전선 , 국제 통일 전선, 일본 공산당 건설을 각각 나타내는 4 개의 적기(赤旗)에 농민과 노동자를 나타내는 벼 이삭, 기어(톱니바퀴)... 일본 공산당 (日本 共産黨,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연방(소련)은 동등한 권리를 가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자발적 협회의 기초 위에서 형성된 연방국가이다: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The Russian Soviet Federated Socialist Republic)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The Ukrainian Soviet Socialist Republic..
"1978년 12월 12일에 실시된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은 여당을 누르고 승리했다 특히 사무총장인 나로서는 나이 많은 국장들을 지휘하여 역사상 처음으로 야당의 승리를 일궈낸 것이기에 내심 자부심도 느꼈고 사실 칭송도 많이 받았다 신민당은 이 선거를 '유신체제 6년의 공과를..
두만강과 압록강 맞은 편에는 중국 길림성 조선족 연변자치주와 장백 자치현이 있습니다 1950년 10월 19일 중국 인민해방군이 압록강 도하를 시작했다. 이날 이후 중공군 18개 사단이 압록강을 통해 한반도로 진입, 한국전에 개입했다. 이 날은 이해 10월 초 38선을 돌파한 유엔군( 한국군은 1..
전두환 회고록 2 권 청와대 시절은 개혁개방정책 실용주의 노선으로 자본주의민주주의 혁명 운동의 첫발로 평가할 수 있는 책이다 개혁개방정책이 민간 자본주의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지만 민주화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다 최초의 무역수지 흑자 전환, 88서울올림픽 유치, 최초의 평화적 ..
1943년 10월 5일 야전 훈련 후 촬영한 제88독립저격여단(국제여단, 각 민족 빨치산 부대) 대원 사진. 제1열 좌로부터:바탈린( N. S. Batalin, 巴达林, 소련), 정치 부여단장 이조린(李兆麟, 일명 張壽籛[张寿篯], 중국), 왕일지(王一知, 주보중 부인), 여단장 주보중(周保中, 중국), 김일성(金日成, ..
1932년 3월 1일 만주국 건국이후 만주지역 항일운동은 만주국 협화회(의회) 조선족 협화회(만주국 의회 조선족 의원, 조선족 자치조직)를 파악해야 잘 이해할 수 있다 만주국 협회(만주국 의회)는 만주족과 한족, 몽골족, 한민족(조선족), 일족(야마토 민족의 연합정부 오족협화를 의미한다 ..
"센카쿠열도(尖閣列島) 또는 댜오위다오 및 부속 도서(钓鱼岛及其附属岛屿)는 중일 분쟁지역이지만 실효지배는 일본 영토이다" 1996년 10월 18일 일본의 역사학자인 이노우에 키요시(井上淸)가 중국과 일본 간의 영유권 분쟁 지역인 조어도(釣魚島) 및 그 부속도서를 중국의 고유한 영토라..
1974년 일본 요코하마항에 북한 선박 만경봉호가 나타난다. 이 소식에 접한 조총련 본부는 긴장된 분위기에 휩싸인다. 한편 조총련 내부의 의장 한덕수와 부의장 김병식 사이의 보이지 않는 세력다툼은 만경 봉호의 선장 강명수의 등장으로 새로운 양상이 전개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덕..
1947년 7월 서울의 미소공동위원회에서 담소하는 미소 양군 대표: 좌로부터 미군정청 사령관 하지 중장, 소련측 대표 레베데프 소장과 스티코프 중장 [사진] Ⅰ.소련 군정 북한 최고지도자 스티코프 중장(中將) 테렌티 포미치 시티코프(러시아어: Терентий Фомич Штыко..
1950년 10월 북중(朝中)연합군 창설과 중국 인민해방군 한국전쟁 개입[김일성과 팽덕회 모습] 한국전은 우리나라에서 벌어졌지만 이 전쟁의 두 주역 장군을 꼽으라면 미국의 더글러스 맥아더와 공산 중국의 펑더화이다. 둘 다 상대방의 허점을 기습적으로 타격하여 위급하던 전세를 단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