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수소핵폭탄(핵탄두) 실험과 KN-08 (2002)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岸信夫防衛相は12日、北朝鮮が11日に発射したミサイルについて、変則軌道を描きながら最高速度マッハ10で飛んだとの分析を明らかにした。事実上、北朝鮮が極超音速ミサイルを発射したとの認識を示したことになる。防衛省で記者団に語った。極超音速ミサイルは日本のミサイル防衛(MD)で迎撃困難とされ、北朝鮮の脅威が現実に迫っていることを如実に示した。 北朝鮮が11日に発射したミサイルは1発で通常の弾道ミサイルより低い最高高度約50キロで飛翔(ひしょう)、日本の排他的経済水域(EEZ)外の日本海海上に落下した。政府は飛距離を700キロ未満としていたが、岸氏は「これ以上に及ぶ可能性がある」と説明した。 岸氏は北方向に水平移動する変則軌道を描いた可能性にも言及。北朝鮮の弾道ミサイルで上下方向の変則的な動きはこれまでにも確認されていたが、水平方向の軌道変化に日本政府が言及したのは初めてだ。 一方、北朝鮮は..

미국과 한국, 일본의 고위 국방 관리들이 13일 전화통화를 갖고 역내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이날 전화통화에는 미국 측에서 일라이 래트너 국방부 인도태평양 담당 차관보, 일본은 마스다 가즈오 방위성 방위정책국장, 한국은 김만기 국방부 국방정책실장이 참여했다고 미 국방부는 밝혔습니다. 미 국방부에 따르면 세 사람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 역내 문제와 세 나라의 안보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 등을 논의했습니다. 이들은 또 미-한-일 안보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면서 세 나라 국방장관 회담을 추진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미-한-일 국방장관 회담의 구체적인 날짜는 향후 상호 협의를 통해 결정하기로 했습니다. 앞서 미국과 일본의 외교 국방 수장은 지난 6일 외교-국방(2+2) 장관 회담 직후 발표한 공동..

국무부는 미국의 새 대북제재가 북한의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을 겨냥한 조치라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억제하고 확산 행위에 책임을 물리겠다며 추가 조치를 예고했습니다. 조은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12일 정례브리핑에서 대북 제재를 통해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을 억제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녹취: 프라이스 대변인] “These are important measures to constrain N Korea’s ballistic missile and nuclear program and it’s important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end a strong, unified message that the DPRK ..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주요 유럽 국가들이 일제히 북한의 지난 11일 미사일 발사를 강력히 규탄했습니다. 이들 국가들은 북한이 안보리 결의를 준수하고 추가 도발을 자제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프랑스 외교부는 12일 성명을 통해 북한이 지난 5일에 이어 또다시 극초음속 미사일이라고 주장하는 미사일을 발사한 것을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북한의 무기 개발은 국제 평화와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지적한 최근 유엔 안보리 비공개 회의 직후 발표된 미국과 프랑스 등 6개국의 공동성명과 전날 발표된 유럽연합의 성명 내용을 언급했습니다. [프랑스 외교부 성명] “France condemns the latest missile launch on January 10, less tha..

미국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응해 유엔에서 추가 제재를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제재 완화를 주장한 중국과 러시아가 어떤 반응을 보일지 주목됩니다. 함지하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주재 미국 대사가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와 관련해 유엔 안보리의 새 대북제재를 제안했습니다.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12일 자신의 트위터에 “국무부와 재무부의 오늘 제재에 더해 미국은 유엔 제재를 제안한다”면서, 이는 2021년 9월 이후 북한의 6번의 탄도미사일에 따른 것으로, 각각의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미국 국무부와 재무부는 북한의 미사일 부품 조달 등에 관여한 북한 국적자 6명과 러시아인과 러시아 회사 등을 미국 정부의 특별지정제재대상(SDN)으로 지..

미국의 전문가들은 북한이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고 주장한 극초음속 미사일이 실제로는 기동 탄두 재진입체 즉, 개량된 탄도미사일에 가까운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북한이 미사일 개발에 진전을 보일 수 있었던 이유로는 러시아가 의심스럽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박동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 카네기 국제평화재단의 안킷 판다 선임연구원은 12일 북한이 전날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고 주장한 극초음속 미사일은 “전면에 기동 탄두 재진입체(MRV)가 있는 탄도미사일”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안킷 판다 선임연구원] “So, the latest missile test, appears to be the same one that they tested last week, it's a ballistic missile with a..

국방부는 지난 11일 북한이 쏜 미사일의 대기권 내 활공 속도가 마하 10에 미치지 못한다고 평가하며 우리 군 자산으로 요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부승찬 국방부 대변인은 13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우리 군의 대응 능력에 대해서 우려를 표하는 분들이 많이 계시고 언론에서도 일부 보도가 나왔는데 명확히 말씀드리면 우리 군은 이번 발사체에 대해서 탐지뿐만 아니라 요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부 대변인은 또 “지난번에 이번 북한이 발사한 탄도미사일이 최대 속도가 마하 10 정도 된다고 공지한 바가 있다”며 “이는 상승 단계에서의 최대 속도, 즉 말하자면 일반 탄도미사일과 유사한 단계에서의 최대 속도가 마하 10이고 활공 속도가 10이라는 말은 아니다. 이 점 오해가 없기를 바란다”고 말했..

미국 정부가 중국과 러시아에서 북한 미사일 관련 물품을 조달한 북한 국적자 6명과 러시아인 등을 전격 제재했습니다. 재무부는 올해 첫 대북제재가 북한의 잇따른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라고 강조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재무부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겨냥한 독자 제재를 단행했습니다. 재무부 해외자산통제실(OFAC)은 12일 보도자료를 통해 러시아를 근거지로 두고 있는 최명현과 오영호, 중국에서 활동 중인 심광석, 김성훈, 강철학, 변광철 등 북한 국적자 6명과 러시아 국적자인 로만 아나톨리비치 알라르, 러시아 기업 파르세크(Parsek LLC)가 재무부의 특별지정제재대상(SDN)에 올랐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와 모스크바, 중국..

북한이 11일 진행한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 발사를 성공했다고 밝히며 이번 발사를 "최종 시험 발사"라고 표현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2일 "발사된 미사일에서 분리된 극초음속 활공 비행 탄두부가 600km 시점부터 재도약해 240km를 선회 기동을 하며 날아간 뒤 1000km 수역의 목표물을 명중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 5일 발사된 미사일 보다 300km 더 날아간 것이다. 선회 기동이란 진로를 바꾸며 날아가는 것을 뜻하며, 요격 미사일을 회피할 수 있다는 능력을 과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한국 군은 11일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이 마하 10의 속도로 700km 이상 비행한 것으로 분석했다. 김정은 참관... 김여정도 이례적 동행 지난해 8차례 진행했던 미사일 시험 발사에 한 번도 참..

북한이 어제 발사한 미사일이 극초음속 미사일이었다며, 연속해서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특히 1천 km 표적을 명중했고 앞선 발사 때와 달리 김정은도 직접 참관했다고 보도했다. 공개된 사진을 보면, 지난 5일 발사한 '원뿔형 탄두부'를 갖춘 미사일과 같은 기종으로 보인다. 신문은 "발사된 미사일에서 분리된 극초음속활공비행전투부가 600km부터 활공 재도약했고, 초기발사 방위각으로부터 목표방위각으로 240km를 선회 기동해 1000km 수역에 설정된 표적을 명중했다"고 전했다. 지난 5일 당시엔 '120km 측면 기동, 700km 표적을 명중했다'고 밝힌 것과 비교하면, 발사 성능이 높아진 것이다. 그러면서, "이번 시험 발사는 개발된 극초음속무기체계의 전반적인 기술적 특성들을 최종 확증하기 위해 진..

유엔 사무총장은 북한이 일주일도 채 안 돼 또다시 미사일을 발사한 것과 관련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유럽연합은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를 따를 때까지 대북 제재를 엄격히 이행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안소영 기자입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북한의 최근 미사일 발사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스테판 두자릭 유엔 대변인은 11일 밝혔습니다. 두자리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한 논평 요청에 이같이 전하며,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북한 지도부에 안보리의 모든 관련 결의에 따른 국제 의무를 준수하고 한반도 상황에 대해 다른 관련국들과 대화를 재개하라는 기존의 촉구를 재확인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두자릭 대변인]"The Secretary-General is..

미국 백악관이 북한의 최근 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면서 추가 도발을 자제가고 대화에 관여할 것을 북한에 촉구했습니다. 국무부도 엿새 만에 또다시 이뤄진 북한의 무력 시위를 강력히 규탄했습니다. 미 백악관은 북한의 최근 미사일 발사가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으로 역내와 국제사회에 위협을 제기한다고 규탄했습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11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조지아주 방문 도중 기내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국무부와 인도태평양 사령부가 간밤에 분명히 밝혔듯이, 우리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규탄한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녹취: 사키 대변인] “As the state department, INDOPACOM have made clear overnight, we condemn the DPRK..

북한이 주장하는 "조선반도 비핵화라는 것은 남북 영역뿐 아니라 조선반도를 겨냥하는 외부로부터의 모든 핵 위협을 근원적으로 청산하는 것입니다. 한미가 생각하는 ‘한반도 비핵화’는 ‘북한의 비핵화’가 아닙니까. 그런데 북한이 생각하는 ‘조선반도의 비핵화’는 한미가 생각하는 것이 아니에요. 영역에 관한 문제까지 될 수 있습니다만, 북한의 주장대로라면 오키나와와 괌까지 포함하게끔 돼 있습니다"고 하는 류현우 전 쿠웨이트 주재 북한 대리대사 말은 북한 전략 로켓군 배치도[미사일 사거리]와 일치하고 있습니다 북한 전략 로켓군 배치도[미사일 사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전방구역-남한전역 비군사구역 이북 50-90 킬로미터(km) 내 단거리 탄두미사일 배치 2.중앙구역-오키나와 주일미군 기지 비군사구역 이북 90-1..

미국 국무부는 11일 올해 들어 두번째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시험을 규탄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국무부 대변인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가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들을 위반하고, 주변국과 국제사회을 위협하는 행위라고 말했습니다. (The U.S. condemns the DPRK’s ballistic missile launch. This launch is in violation of multipl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and poses a threat to the DPRK’s neighbor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앞서 북한은 이날 오전 7시 27분께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1발을 발사했습니다. 지난 5일 자..

북한이 새해 들어 두 번째 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 지난 5일 탄도미사일 발사 이후 불과 엿새 만입니다. 한국과 일본 정부는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백성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11일 오전 동해상으로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한국 합동참모본부가 밝혔습니다. 합참은 “오전 7시 27분쯤 북한이 내륙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1발을 탐지했다”며 “추가정보에 대해서는 한미 정보당국이 정밀 분석 중에 있다”고 전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국가안전보장회의, NSC 상임위원회를 긴급 소집하고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NSC 상임위원들은 “북한이 연초부터 연속적으로 미사일을 시험 발사한 의도를 분석하고, 북한의 후속 동향을 보다 면밀히 주시하면서 필요한 대응 조치를 강구하기로 했다”고..

프랑스가 7일 북한의 최근 미사일 발사를 규탄했습니다. 프랑스 외교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북한이 지난 5일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고 극초음속이라고 규정한 미사일을 발사한 것을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에 역내와 국제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는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과 운반 체계 개발을 중단하고 유엔 안보리 의무를 준수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성명은 이어 프랑스는 파트너들과 함께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 목표를 추구하고 역내 긴장 완화를 위해 모든 당사자, 특히 한국과 북한 사이의 대화를 장려할 결의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프랑스는 5개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가운데 하나입니다. 앞서 지난 6일에는 니콜라 드 리비에르 유엔주재 프랑스 대사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

5일, 북한이 극초음속미사일 발사실험을 실시했다고 발표한 데 대해 한국 국방부 관계자는 극초음속미사일이라고 부르기에는 기술적으로 충분하지 않다는 견해를 나타냈습니다. 북한은 6일 국영 언론을 통해, 국방과학원이 극초음속미사일 발사실험을 실시해, '700킬로미터 떨어진 목표에 오차없이 명중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 국방부 관계자는 7일, 초기 분석결과를 밝혔습니다. 그에 따르면, 이번 미사일은 지난해 10월 '국방발전전람회'에서 공개된 것으로, 지난해 9월에 북한이 처음으로 발사한 극초음속미사일이라고 밝힌 '화성-8형'과는 다른 종류라고 분석했습니다. 아울러 최고 속도는 '극초음속'에 해당하는 마하6정도였으나 이를 유지할 수 없었고, 수평이동하면서 비행거리가 700킬로미터에 달했다는 북한의 주..

미국의 전문가들은 극초음속 미사일을 발사했다는 북한의 주장을 신뢰하기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이 이번에 발사한 발사체의 속도와 탄두부 모양 등이 극초음속 미사일의 특성과는 다르다는 겁니다. 박동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이안 윌리엄스 미사일 방어프로젝트 부국장은 “북한이 극초음속활공체(HGV) 같이보이고 극초음속활공체의 일부 특성을 공유하는 미사일을 개발하는 과정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윌리엄스 부국장] “They are on the path to developing some kind of maneuvering atmospheric missile that looks like a hypersonic glide vehicle and then shar..

5일 북한이 발사한 발사체에 대해 기시 방위상은 지금까지 북한에서 발사된 적이 없는 신형 탄도미사일로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기시 방위상은 6일 오전, 방위성에서 기자들에게 5일, 북한이 발사한 발사체에 대해 탄도미사일 1발로 통상보다도 낮은 최고 고도 50킬로미터로 비행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북한 노동당기관지 로동신문이 국방과학원이 극초음속미사일 발사실험을 실시했다고 전한 것에 대해, “종합적,전문적인 분석을 할 필요가 있어 현시점에서 확실한 것을 말하는 것은 삼가겠으나, 지금까지 북한에서 발사된 적이 없는 신형 탄도미사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이 극초음속미사일 발사실험이라고 발표한 것은 지난해 9월에 이어 두 번째인데, 기시 방위상은 현시점에서는 이것과는 다..

유럽연합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북한이 모든 미사일 시험발사에 대한 모라토리엄을 재개해야 한다고촉구했습니다. 1월 안보리 의장국인 노르웨이는 북한의 계속되는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개발에 우려를 표시했습니다. 안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럽연합(EU)은 5일 북한의 탄도미사일을 발사와 관련해 북한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모든 발사를 중단하고 모든 미사일 시험 발사에 대한 ‘모라토리엄’을 재개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EU 대변인] “The repeated launch of missiles by the DPRK goes against international efforts to resume dialogue and engage in actions to help its people. The ..

미국 국방부는 북한의 이번 탄도미사일 발사가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는 입장을 거듭 확인했습니다. [존 커비 미국 국방부 대변인] "We have every reason to believe it was a ballistic missile launch which, of course, is a violation of various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존 커비 국방부 대변인은 5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전날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된 질문에 “우리는 탄도미사일 발사라고 믿을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면서 “물론, 복수의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다만 “현 시점에선 추가할 만한 구체적인 내용이 없다”며 “그건 우리 시간으로 어제 밤에 일어났고..

북한이 5일 발사한 탄소미사일이 ‘극초음속 미사일’이라고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6일 “국방과학원은 1월 5일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 발사를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시험 발사에는 중앙위원회 군수공업부와 국방과학 부문의 지도 간부들이 참관했으며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불참했다. 통신은 “미사일은 발사 후 분리돼 극초음속 활공비행전투부의 비행구간에서 초기발사방위각으로부터 목표방위각에로 120㎞를 측면기동해 700㎞에 설정된 표적을 오차 없이 명중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통신은 “겨울철 기후조건에서의 연로암풀화계통들에 대한 믿음성도 검증했다”며 미사일 액체연료를 용기에 담아 발사할 때마다 끼워 넣어 쏘는 앰풀화(ampoule)된 연료장치를 사용했음을 밝혔다. 통신은 “극초음속 미사일 부문에서의 연이은 시험 성공은 ..

미국 인도태평양사령부는 북한이 한반도 시간으로 5일 오전 동해상으로 쏜 발사체를 탄도미사일로 규정하고, 관련 움직임을 인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인도태평양사령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동맹과 파트너와 긴밀히 논의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어 이번 발사는 당장 미국 측 인력이나 영토, 동맹들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는다면서도, 탄도미사일 발사는 북한의 불법 무기 프로그램이 야기하는 불안정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한국과 일본에 대한 미국의 방위 노력은 여전히 철통 같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5일 오전 8시 10분께 내륙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1발을 발사했다”며 “추가 정보에 대해서는 미-한 정보당국이 정밀분석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합동참모본부가 5일 오전 "북한이 동해상으로 미상 발사체를 발사했다"고 밝혔다. 합참은 "추가 정보에 대해서는 한미 정보 당국이 정밀 분석 중에 있다"며 "현재 우리 군은 추가 발사에 대비해 한미 간 긴밀한 공조하에 관련 동향을 면밀히 감시하면서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했다. 앞서 일본 해상보안청도 오전 8시13분 북한이 탄도미사일 가능성이 있는 발사체를 발사했으며 10분 후인 8시23분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바깥에 낙하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발사한 것은 지난해 10월 19일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발사한 이후 78일 만이다. 탄도미사일 발사가 사실이라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 행위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이번 발사에 "유감"이라는..

일본 정부는 여러 서방 국가들이 일본 주변 해역에서 실시하는 대북 제재 감시 활동이 효과적이라며, 앞으로도 관련 협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일본 외무성은 29일 영국, 프랑스, 캐나다, 독일, 호주, 뉴질랜드 등이 호위함과 초계기를 파견해 9월~11월 사이 벌인 대북 제재 감시 활동 결과에 대한 VOA 문의에 이같이 답했습니다. 일본 외무성은 “일본 주변 해역에서 관련 국가들의 항공기와 함정이 벌인 감시 정찰 활동은 북한 선박이 관여한 선박 간 환적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일본 정부는 향후에도 이런 국가들과 협력을 계속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의심 선박 관련 활동 횟수 등과 같은 세부 사안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북한 전문매체 ‘NK뉴스’는 ..

북한이 영변 핵 시설과 강선 단지 등에서 핵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고,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밝혔습니다. 북한의 계속되는 핵 개발은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는 점도 거듭 강조했습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영변 핵 시설에서 새로운 활동이 관찰되고 평산과 강선의 관련 시설에서도 지속적인 활동 징후가 포착됐다고 밝혔습니다.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24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IAEA 정기이사회에서 북한의 최근 핵 활동과 관련해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그로시 사무총장] “There are ongoing indications consistent with the operation of the 5MW(e) reactor at the Yongbyon site. ..

독일이 대북제재 회피 행위를 감시하기 위해 처음으로 호위함을 파견했습니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여파로 주춤했던 북한의 해상 불법 활동에 대한 감시가 다시 강화되고 있는데요. 전문가들은 북한은 물론 중국의 제재 위반을 저지하려는 목적도 있는 것으로 해석했습니다. 독일이 북한의 불법 선박간 환적 등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위반 활동을 감시하기 위해 호위함을 파견했습니다. 일본 외무성은 5일 보도자료를 통해 독일 해군 호위함인 ‘바이에른호’가 이달 중순부터 동중국해와 일본 근해에서 북한의 불법 해상 환적 활동에 대한 경계 감시 활동에 참여한다고 밝혔습니다. 독일 함정이 관련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일본 외무성은 유엔 안보리 관련 결의의 효과적인 이행을 보장하고 북한의 모든 대량살상무기(..

뉴질랜드가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위반 활동 감시를 위해 일본 해상에 항공기를 배치합니다. 뉴질랜드 외교장관은 이번 파견이 안보리 결의를 완전히 이행하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의 일환이라고 말했습니다 뉴질랜드 정부가 3일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 이행을 돕기 위해 공군의 P-3 해상초계기를 일본에 배치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뉴질랜드 공군의 P-3 초계기는 이달 중 일본의 가데나 공군기지에 배치돼 해상 항공 순찰 임무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뉴질랜드가 안보리 대북 결의 이행을 위해 항공기를 투입하는것은 지난 2018년 이후 이번이 5번째입니다. 나나이아 마후타 뉴질랜드 외교장관은 3일 “이번 파견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완전히 이행하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의 일환”이라며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

미국이 대북제재 유지 필요성을 재확인했다.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4일(현지시간) 중국과 러시아가 최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대북제재 완화 결의안 초안을 제출한 데 대해 "미국은 대북제재 체제에 전념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의 불법적이고 위협적인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기술 확보를 막기 위해 모든 유엔 회원국들은 기존의 안보리 결의에 따른 제재 이행 의무를 충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북한과의 지속적이고 진지한 외교를 추구한다"며 도발을 삼가고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아울러 대북 인도적 지원과 관련해서는 "미국은 북한의 인도적 상황을 우려하고 있으며 그들의 인도적 필요를 어떻게 지원할 수 있을지 동맹 및 파트너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과 러시아가 유엔 안보리에 또다시 대북제재 완화를 위한 결의안을 제출한 것은 미국과 한국 사이에 틈을 벌리기 위한 것이라고 미 전문가들이 말했습니다. 중국과 러시아가 미국의 대북정책을 약화시키려 한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미국 전문가들은 중국과 러시아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또다시 제출한 대북제재 완화 결의안이 채택되지 못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두 나라는 지난 2019년 12월 16일에도 대북제재 완화 결의안을 제출하고 두 차례 실무급 회의를 주재했지만, 안보리 이사국들의 충분한 지지를 확보하지 못해 결의안을 표결에 부치지 못했습니다. 1990년대 북한과 제네바 핵 협상과 미사일 협상 등에 나섰던 로버트 아인혼 전 국무부 비확산·군축담당 특별보좌관은 2일 VOA에 “그들의 이번 노력이 지난번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