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사거리 400km 방사포는 이례적… 단거리 탄도미사일과 방사포 차이 사라지는 추세” 본문

수소핵폭탄(핵탄두) 실험과 KN-08

“사거리 400km 방사포는 이례적… 단거리 탄도미사일과 방사포 차이 사라지는 추세”

CIA Bear 허관(許灌) 2019. 8. 26. 22:32


북한이 지난 24일 '초대형 방사포'를 시험발사하는 모습을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사진에서 차륜형 발사대에 4개의 관이 식별된다.

북한이 지난 24일 시험발사한 발사체를 ‘초대형 방사포’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달 들어서만 벌써 5번째 발사입니다. 전문가들은 이 방사포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요?

북한은 관영매체를 통해 지난 24일 발사한 방사포에 대해 ‘세계적인 최강의 우리식 초대형 방사포’, ‘세상에 없는 또 하나의 주체 병기’라고 주장했습니다.

이 방사포는 전날 시험발사에서 380km를 비행했습니다.

최고 고도는 97km, 최고 속도는 마하 6.5 이상이었습니다.

한국항공대 장영근 교수는 이같은 수치는 정상적인 탄도 궤적이라며, 이제 탄도미사일과 방사포의 기술적인 차이는 없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일반적으로 방사포의 사거리는 200km 이하라며, 24일 발사한 방사포는 380여 km를 비행한 만큼 상당히 위협적이라고 장 교수는 지적했습니다.

[녹취: 장영근 교수] “(사거리) 400km까지 간다는 것은 방사포가 엄청 크게 확장한 거죠. 그러니까 먼저 번에는 방사포를 이렇게 낮게 쏠 수 있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이고 엊그제 쏜 것은 사거리 400km까지 나갈 수 있다, 그래서 초대형이다 이러는 것이고. 굉장히 위협적인 거죠. 그 자체로”

장 교수는 사거리 400km면 한국 타격용으로 볼 수 있다며, 북한이 방사포와 탄도미사일을 혼합해 한국을 향해 쏠 경우 각기 특성이 다른 만큼 요격이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방사포는 외형상으로는 최근 잇달아 발사된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와 유사해 보입니다.

하지만 정점고도와 사거리 등에 차이가 있고 지난달 31일과 이달 2일 발사된 대구경 조종 방사포보다 구경이 더 커 보인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김동엽 교수의 설명입니다.

[녹취: 김동엽 교수] “발사체라고 이야기기하죠, 날아가는 미사일 같이 생긴 발사탄의 모습은 (지난번에 쏜 것과) 유사해요. 얼핏 보기에 생김새는 비슷한데 지경이 좀 커진 게 아닌가 생각돼요. 북한이 지난 두 번 쏜 것은 대구경이라고 했고 이번에 ‘초’자를 붙인 게 아닌가 생각되는데 그래서 뭔가 좀 이런 측면에서 구경이 달라진 게 아닌가, 더 굵어진 게 아닌가…”

김 교수는 실제 발사한 사진을 보면 이동식 미사일발사대 차량에 탑재된 발사관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며 지난번에는 3개까지 두 열로 6개의 관이었지만 이번에는 4개의 관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방사포는 원래 지역제압용으로, 한꺼번에 대량으로 목표물을 제압하는 용도였지만 이젠 달라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녹취: 이춘근 선임연구위원] “앞에 있는 적에게 값싼 무기를 대량으로 발사해서 지역을 제압할 때 쓰거든요. 그니까 가격이 저렴하고 그 대신에 탄도 중량이 좀 작아요. 방사포는 직경이 작기 때문에 속도도 약간 느리잖아요. 그러니까 사용 목적이 좀 다르거든요. 근데 이번 같은 경우엔 방사포가 계속 개량이 돼서 예전에 못했던 유도도 가능해지고 그러면서 직경이 좀 커지니까 위력도 커졌단 말이에요. 탄도 중량도. 그러니까 미사일과 경계가 많이 흐트러진다고요. 요즘 그런 추세에요.”

북한이 최근 잇따른 시험발사로 공개한 신형 무기는 3가지입니다.

단거리 탄도미사일 KN-23과 신형 전술지대지미사일 그리고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 등입니다.

KN-23은 사거리 약 690km에 고도는 최대 60km이며 고체연료를 사용합니다.

러시아의 이스칸데르 미사일을 개량해 만든 미사일로 요격이 까다롭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신형 전술지대지미사일은 사거리 약 400km, 고도 48km로, 미국의 에이태킴스 미사일과 모양이 유사합니다.

무한궤도 형태의 발사차량과 사각형 발사관 2개를 장착하고 있으며 2발 연속 발사가 가능합니다.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는 사거리 250km에 고도 30km, 중국의 WS-2 다연장로켓과 유사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김동엽 교수는 전체적으로 봤을 때 중국의 WS-2계열로 특히 D형이 400~450km 비행이 가능하다며 중국의 WS를 상당 부분 받아들여 역설계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 교수는 아울러 이같은 북한의 잇따른 무기체계 시험발사는 미국이 만든 틀 속으로 들어가지 않고 자신들의 노선을 지키겠다는 당당함으로 받아들여진다고 분석했습니다.

[녹취: 김동엽 교수] “자신들의 안보에 대한 주민들의 우려, 군 사기의 문제 이런 것들을 잡는 대내적인 정상적인 통치 차원으로 봐야겠지요. 이런 것들을 통해 하노이 이후 김정은 위원장이 가지고 있던 통치력의 누수 현상, 통치력 삐걱거림을 다 잡고 다시 내부적으로 할 거 다 하면서 북-미 협상도 나간다 이런 두 마리 토끼 잡기 위한 차원에서 이번 발사는 대내적인 메시지, 의도가 더 크다고 봐야겠지요.”

북한의 24일 시험발사는 이달에만 벌써 5번째로, 올해 들어서만 9번째 발사에 해당합니다.

VOA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