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Guide Ear&Bird's Eye/통일부 정책모니터링조사 패널(수집) (613)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스위스가 북한 핵실험에 따른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안에 따라 25일부터 대북 경제 제재에 착수했습니다. 스위스 정부는 경제 제재가 신속하게 이행돼야만, 대북 압박이라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스위스 연방 경제부의 오스마 비스(Othmar Wyss) 수출입 통제 및 제재 담당관으로부터 스위스..
남포시 강서군 보안서 습격사건 [2006-10-24 ] 2005년 8월 15일. 대집단체조 “아리랑”공연 개막을 앞두고 특별 경계까지 내려진 마당에 남포시 강서군 보안서에 정체를 알 수 없는 사람들이 뛰어 들었다. 저녁 9시. 검은 천으로 얼굴을 가린 여섯 명의 정체모를 사람들은 근무 중에 있는 보안원 세 명을 살..
“北 용천 폭발사고 구호품 빼돌려 팔고있다” 북한 관영기업이 2004년 4월 북한 용천 폭발사고 당시 한국 등 국제사회로부터 받은 무상 원조 물품을 주민들에게 고가에 팔아넘기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국 랴오닝(遼寧) 성 단둥(丹東) 시의 대북 구호단체 관계자들은 모포와 의약품을 비롯한 원조 ..
『최근 미국이 우리의 자위적인 핵시험을 부당하게 걸고들면서 반공화국 제재봉쇄를 실현해 보려고 악랄하게 책동하고 있는 때에 남조선당국은 그에 추종하여 우리에 대한 압살행위에 가담하려는 극히 위험천만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남조선당국은 미국의 강요에 따라 이미 북남 사이에 진행되어..
“개성공단 노동 법 국제 기준에 전혀 못 미쳐” 2006.10.02 미국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 인권단체인 휴먼 라이츠 워치(Human Rights Watch)는 2일 개성공단의 노동권에 관한 보고서에서, 개성공단의 노동 규정은 국제적 노동보호 기준에 전혀 미치지 못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방송듣기 오디오 자료 전송받기 ..
지난 3년간 개성공단에서 산업재해로 숨진 사람은 모두 세 명이며 다친 사람은 4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개성공단이 본격적으로 가동되면서 산업재해 건수도 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일 한국 통일부에 따르면 개성공단에서 지난 3년간 산업재해로 남한 근로자 한 명이 사망했고 17명이 부상을 ..
‘북한: 2007년과 그 이후’ - 미국 브루킹스 연구소 학술토론회 09/15/2006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는 북한문제가 핵심 의제로 다뤄졌는데요. 정상회담이 열린14일 이곳 워싱톤에 있는 민간정책연구기관인 브루킹스연구소에서는 ‘북한: 2007년과 그 이후’라는 주제의 학술 토론회가 개최돼 눈길을 끌었..
NGO “폴러첸 단식에 동참하자”…'폴러첸 지킴이' 결성 단식 10일째…외교부에 규탄성명서 전달 [2006-07-21 16:38] ▲NGO들은 21일 폴러첸씨의 단식농성에 동참하자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데일리NK‘북한민주화운동본부’(대표 강철환), ‘나라사랑어머니연합’(대표 권명호) 등은 21일 북한인권개선을 ..
LiNK, 중국 내 탈북자 보호소 45개로 늘려 2006.07.21 미국에 사는 한인청년들이 주축이 된 북한인권단체 링크 (LiNK)가 현재 중국에서 운영 중인 30개의 탈북자보호소를 45개로 늘리고, 이들에게 자본주의 생활에 필요한 교육을 시킬 계획입니다. 방송듣기 오디오 자료 전송받기 미국에 사는 한인청년들이 주..
남한의 보금자리: 성균관대 신문방송학과 탈북여성 김하늘 2006.05.10 남한에 정착한 탈북자 삶의 이모저모를 알아보는 ‘남한의 보금자리’ 오늘은 현재 남한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인 탈북여성 김하늘(가명)씨의 이야기입니다.김 씨는 지난해 방송됐던 남한의 문화방송 주말극 ..
북한영상가요 [고향의 봄] 북한영상가요 [고향의 봄]입니다. [2005.05.28] 북한영상가요 [아리랑] 북한영상가요 [아리랑] [2005.05.28] 북한영상가요 [노들강변] 북한영상가요 [노들강변]입니다. [2005.05.28] 북한영상가요 [도라지] 북한영상가요 [도라지]입니다. [2005.05.28] 북한영상가요 [축복하노라] 북한영상가..
1.휴전이후 피랍 한국인 486명 명단 북한정부는 휴전이후 남한 어부와 선원, 항공기 승객, 학생, 교사, 목사들을 비롯해 총 486명의 한국인들이 여전히 북한에 생존해 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A.피랍 선원 436명(어부. 어업인) (1)1955년 5월 28일 대성호 선원 10명 김장현(44세, 황해 옹진). 황득식(42세, 황해 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