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북, 탄도미사일 2발 발사…실패 1발 평양 인근에 떨어진 듯 본문

Guide Ear&Bird's Eye/북한[PRK]

북, 탄도미사일 2발 발사…실패 1발 평양 인근에 떨어진 듯

CIA bear 허관(許灌) 2024. 7. 1. 11:36

공중 폭발해 파편으로 흩어지는 북한 미사일

북한이 1일 새벽 탄도미사일 2발을 동북 방향으로 발사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발표했다.

합참은 국방부 출입기자단에 배포한 문자메시지를 통해 "군은 오늘 황해남도 장연 일대에서 오전 5시 5분과 15분경 동북 방향으로 발사된 탄도미사일 2발을 각각 포착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5시 5분경 발사된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은 600여km를 비행했고, 5시 15분경 발사된 탄도미사일은 120여km를 비행했으며, 제원에 대해서는 한미가 정밀분석 중"이라며 "우리 군은 북한 미사일 발사시 즉각 포착해 추적, 감시하였으며, 미일 측과 관련 정보를 긴밀하게 공유했다"고 전했다

합참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명백한 도발행위로 강력히 규탄한다"며 "우리 군은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 하에 북한의 다양한 활동에 대해 예의주시하면서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군 당국은 이날 발사된 탄도미사일 2발 모두 북한이 '지대지전술탄도미사일'이라고 부르는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사거리 300∼1천㎞)인 화성-11형(KN-23)으로 추정하고 있다.

북한은 작년 3월 14일에도 장연 일대에서 화성-11형 2발을 발사했고, 2발 모두 약 610㎞를 비행했다.

북한의 이번 탄도미사일 발사는 작년 3월 14일 발사와 동일 장소에서, 동일 사거리로, 동일 목표지점(청진 앞바다)으로 이뤄졌고, 북한이 2발의 미사일을 쏘면서 서로 다른 종류의 미사일을 시험했을 가능성이 작다는 점에서 2발 중 사거리가 짧은 1발은 화성-11형 발사 실패로 추정된다.

이성준 합참 공보실장은 국방부 정례 언론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1차 발사 미사일은 600여km를 정상 비행했지만, 2차 발사 미사일은 초기 단계에서 비정상적으로 비행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비정상 비행 중 폭발했다면 잔해가 내륙에 떨어졌을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이날 발사한 탄도미사일 2발 중 600여km를 비행한 미사일은 청진 앞바다에 낙하했지만, 120여km를 비행한 미사일은 평양 인근에 추락했을 가능성이 있다.

황해남도 장연에서 동북 방향으로 120㎞ 지점은 평양 동쪽 지역에 해당한다.

합참 관계자는 사거리가 짧은 미사일은 120여㎞ 비행 후 레이더에서 소실돼 "낙탄 지점을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면서도 "평양 쪽으로 갔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다만, 군 당국은 북한이 새로운 종류의 근거리탄도미사일(CRBM·사거리 300㎞ 이하)을 시험발사했을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고 있다.

이 실장은 "새로운 무기를 시험했을 가능성 또는 비정상 비행을 했을 가능성 등 여러 가능성을 모두 분석해야 한다"면서 "(사거리가 120여㎞인) 미사일이 SRBM(단거리탄도미사일)이라면 필요한 고도까지 올라가지 못했다"고 말했다.

북한은 화성-11형을 우크라이나를 침략한 러시아에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시험발사는 러시아 수출용 미사일의 성능 시험 목적일 가능성이 있다.

한미일의 첫 다영역 연합 훈련 '프리덤 에지'에 반발한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일 가능성도 있다.

북한은 지난달 27일부터 사흘간 진행된 프리덤 에지와 관련해 한미일이 '아시아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체계를 갖췄음을 보여준다면서 강력하게 규탄했다고 전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외무성 대외정책실 공보문을 통해 밝혔다

북한의 이날 탄도미사일 도발은 닷새 만이다.

북한은 지난달 26일 오전 5시 30분께 평양 일대에서 동쪽으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으며, 다음 날 관영매체를 통해 다탄두 능력 확보를 위한 '성공적' 시험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합참은 북한이 극초음속 미사일을 발사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면서, 초기 상승 단계부터 불안정하게 비행하다가 공중 폭발했기 때문에 북한 주장은 과장·기만이라고 평가했다.

북한은 최근 탄도미사일을 발사하고 대남 오물 풍선을 살포하는 등 복합 도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북한은 남측 민간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반발해 지난 5월 28일부터 지난달 26일 밤까지 총 7차례 대남 오물 풍선을 살포했다.

군 당국은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가 이어지던 지난달 9일 접경지역에서 심리전 수단인 대북 확성기를 일시 가동했지만, 그 후로는 가동하지 않고 있다.

합참은 "대북 심리전 방송은 즉각 시행할 준비는 돼 있다. 전략적·작전적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시행할 것이고 이는 북한의 행동에 달려있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혔다.

북, 탄도미사일 2발 발사…실패 1발 평양 인근에 떨어진 듯(종합) | 연합뉴스 (yna.co.kr)

 

북, 탄도미사일 2발 발사…실패 1발 평양 인근에 떨어진 듯(종합)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김지헌 기자 = 북한이 1일 새벽 탄도미사일 2발을 동북 방향으로 발사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발표했다.

www.yna.co.kr

북한, 탄도미사일 2발 발사… 1발은 실패해 평양 인근 낙하 가능성

1일 한국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북한의 탄도미사일(SRBM) 발사 보도를 시청하고 있다.

북한이 오늘(1일) 새벽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로 추정되는 발사체 2발을 쐈습니다. 두 발 중 한 발은 정상비행에 실패해 평양 인근 내륙에 떨어졌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황해남도 장연 일대에서 1일 오전 5시 5분과 15분께 동북 방향으로 발사된 탄도미사일 2발을 각각 포착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합동참모본부 (자료사진)

합참은 “5시 5분께 발사된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은 600여km를 비행했고, 5시 15분께 발사된 탄도미사일은 120여km를 비행했으며, 제원에 대해서는 한미가 정밀분석 중”이라며 “군은 북한 미사일 발사 시 즉각 포착해 추적, 감시했고 미일 측과 관련 정보를 긴밀하게 공유했다”고 전했습니다.

합참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명백한 도발 행위로 강력히 규탄한다”며 “군은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 하에 북한의 다양한 활동에 대해 예의주시하면서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 군 당국은 이번에 발사된 탄도미사일 2발 모두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인 북한판 이스칸데르 계열의 KN-23 즉 ‘화성-11형’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KN-23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장면. (자료화면)

북한이 2발의 미사일을 쏘면서 서로 다른 종류의 미사일을 시험했을 가능성이 작다는 점에서 2발 중 사거리가 짧은 1발은 화성-11형 발사가 실패한 때문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한국 군 당국은 첫 번째로 발사된 미사일은 600여km를 비행해 동해상인 함경북도 청진시 앞바다에 탄착한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두 번째로 발사돼 120km를 날아간 탄도미사일은 평양 인근 내륙에 추락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황해남도 장연에서 동북 방향으로 120km 지점은 평양 동쪽 지역에 해당합니다.

이성준 합참 공보실장의 브리핑 발언 내용입니다.

[녹취: 이성준 공보실장] “2차 발사한 북한의 미사일은 초기 단계에서 비정상적으로 비행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비정상 비행 중 폭발하였다면 잔해가 내륙에 떨어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북한은 작년 3월에도 장연 일대에서 화성-11형 2발을 발사했고, 2발 모두 약 610km를 비행해 청진 앞바다에 탄착했습니다. .

군 당국은 다만 북한이 사거리 300km 이하인 새로운 종류의 근거리 탄도미사일(CRBM)을 시험발사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 홍민 박사는 미사일이 내륙에 떨어졌기 때문에 발사 실패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홍민 박사] “같은 장소에서 발사했는데 120km 밖에 안 날아갔다면 해상에 떨어진 게 아니라 육지에 떨어졌을 가능성이 높거든요. 만약 의도적으로 짧은 거리를 쏜 시험을 했다면 굳이 거기서 쏠 이유가 없고 그렇기 때문에 실패일 가능성이 있다고 봐야겠죠.”

북한의 이번 도발은 지난달 27일부터 사흘간 제주 남방 공해상에서 실시된 미한일 3국의 첫 다영역 연합 훈련 ‘프리덤 에지’에 대한 반발 차원이기도 하다는 관측입니다.

지난달 29일까지 진행된 미한일 3국의 첫 다영역 연합 훈련 ‘프리덤 에지’ 중 F-18 슈퍼호넷이 이륙을 준비하는 모습.

북한 외무성 대외정책실은 지난달 30일 공보문을 통해 이 훈련을 ‘아시아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로 규정하고 “강력하게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장용석 박사입니다.

[녹취: 장용석 박사] “한미일 연합훈련에 대한 대응 성격이 1차적으로 있지 않나, 대개 훈련이 진행되는 도중에 도발할 수도 있지만 훈련 시작 전에 말을 막 뱉어놓고 훈련 끝나고 나서 자기들이 필요한 상응 조치를 가능한 범위에서 하는 건데 군사적 수요, 기술 개발이 됐던 훈련이 됐던 그런 것까지 염두에 두고 자기들이 가능한 범위에서 선택한 대응이 아닌가 생각이 들죠.”

북한은 화성-11형 미사일을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에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이번 발사가 러시아 수출용 미사일의 성능 시험 목적일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한국 내 민간 연구기관인 아산정책연구원 양욱 박사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쓰인 화성-11형의 공격 성공률이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며, 러시아와 기술 협력을 통해 개량된 미사일 시험발사를 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이 러시아 제공한 것으로 알려진 미사일의 파편

[녹취: 양욱 박사] “북한의 신형 무기들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돼서 그 실전 피드백을 받아서 다시 대한민국을 공격하기 위해서 쓰이는 것을 우리가 최악의 안보 상황이라고 보는데 만의 하나 개량된 게 발사된다고 하면 이것 자체가 북러 간에 이미 상당한 군사협력이 진행됐다는 의미가 될 수 있는 거죠."

북한의 이번 탄도미사일 도발은 닷새 만입니다.

북한은 지난달 26일 오전 5시 30분께 평양 일대에서 동쪽으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으며, 다음날 관영매체를 통해 다탄두 능력 확보를 위한 성공적 시험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한국 군 당국은 북한이 극초음속 미사일을 발사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면서 초기 상승 단계부터 불안정하게 비행하다가 공중폭발했기 때문에 북한 주장은 과장과 기만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한편 북한은 지난달 26일 밤 이후 대남 오물 풍선 살포를 중단했습니다.

북한은 한국 민간단체들의 대북 전단 살포에 반발해 지난 5월 28일부터 모두 7차례 한국으로 오물 풍선을 날렸고 특히 지난달 24일부터 사흘간 연속해서 주로 종잇조각들을 담은 풍선을 보냈습니다.

24일 한국 경기도 아파트 상가 인근에 떨어진 북한 풍선. 쓰레기로 보이는 내용물들이 내장되어 있다.

한국 군 당국은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가 이어지던 지난달 9일 접경지역에서 심리전 수단인 대북 확성기를 일시 가동했다가 이후 중단했지만 지난달 27일 북한의 풍선 살포가 지속되면 확성기 방송을 재개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민간 연구기관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문성묵 통일전략센터장입니다.

[녹취: 문성묵센터장] “북한도 대한민국 군이 확성기를 재가동하는 데 대해서 매우 부담을 느끼고 있고 그리고 한국의 대응을 염두에 두면서 도발 수위를 조절하고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장용석 박사는 북한이 오물 풍선을 보내지 않는 것은 장마철에 접어든 때문일 수 있다며 민간단체 대북 전단 살포에 대한 한국 내 비판 여론을 한층 고조시키려는 추가 도발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VOA 뉴스 김환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