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연개소문[淵蓋蘇文]'삼국사기열전에는 그의 성을 천(泉)이라 했으나 이는 당 고조의 이름자인 연(淵)을 피하여 천으로 표기한 중국문헌에 의거했기 때문' 본문
연개소문[淵蓋蘇文]'삼국사기열전에는 그의 성을 천(泉)이라 했으나 이는 당 고조의 이름자인 연(淵)을 피하여 천으로 표기한 중국문헌에 의거했기 때문'
CIA Bear 허관(許灌) 2006. 11. 18. 14:54
?~665(보장왕 24). 고구려 말기에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던 재상. |
〈삼국사기〉 열전에는 그의 성을 천(泉)이라 했으나 이는 당 고조의 이름자인 연(淵)을 피하여 천으로 표기한 중국문헌에 의거했기 때문이다.
그의 시조가 샘[井] 또는 물[水]에서 태어난 연유로 연을 성으로 삼았다 한다. 개소문은 개금(蓋金)이라고도 하는데 금(金)의 음(音)인 '소'·'쇠'를 한자로 옮긴 것으로 생각되며, 〈니혼쇼키 日本書紀〉에는 이리가수미(伊梨柯須彌)라고 기록되어 있다.
1923년에 발견된 천남생묘지(泉男生墓誌)에 의하면 할아버지는 자유(子遊), 아버지는 태조(太祚)로 모두 막리지(莫離支)를 역임했다고 한다. 동부(東部 : 또는 西部) 대인(大人)이었던 아버지가 죽자 연개소문이 뒤를 잇게 되어 있었으나 성품이 잔인하고 모질다 하여 지위를 계승하지 못하다가 귀족들에게 간청하여 겨우 승인을 받았다.
642년(영류왕 25) 천리장성 축조를 감독하는 임무를 맡았는데, 그가 아버지의 지위를 이은 뒤 흉포하고 잔인하여 귀족들이 영류왕과 비밀리에 의논하여 그를 죽이려 했다. 그러나 이를 먼저 간파한 그는 동부의 군사를 모아 사열하는 체하며 귀족들을 초청한 뒤 급습하여 죽였다. 그리고 궁궐로 쳐들어가서 영류왕을 살해하고 왕의 조카인 장(臧 : 보장왕)을 왕으로 옹립한 뒤 자신은 대막리지가 되었다.
이 정변에서 죽은 자가 100여 명에 달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귀족들에 대한 대대적인 숙청이 단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정치적·군사적 실권을 장악한 그는 5개의 칼을 차고 다니며, 외출할 때는 의장대를 앞세우고 대단한 위엄을 부렸다.
그러나 안시성(安市城) 성주는 그에게 굴복하지 않아 연개소문이 군사를 내어 성을 쳤으나 함락되지 않자 성주의 지위를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그가 정변을 통해 권력을 장악할 당시 동아시아의 정세는 매우 긴박했다. 즉 수나라를 이어 중국의 통일왕조로 등장한 당나라가 세력을 강화하여 고창국(高昌國)과 돌궐(突厥)을 멸망시키고 서서히 동쪽으로 압력을 가해오고 있었다. 고구려에서 천리장성을 쌓은 것도 이에 대한 대비책이었다. 또 남쪽에서는 백제와 신라의 충돌이 격화되면서 신라는 당과 적극적인 연결을 모색하고 있었다.
이러한 때 정권을 잡은 그는 왕에게 도교를 수용할 것을 건의하여 당나라에서 도사(道士)를 맞이하고 〈도덕경〉을 전해받기도 했으나, 대외적으로는 시종일관 강경한 노선을 견지했다. 백제의 공격으로 대야성(大耶城 : 지금의 합천)이 함락되어 위기를 느낀 신라의 김춘추(金春秋)가 직접 고구려를 방문하여 협상을 시도했으나 이를 거부했고, 당에서 사농승(司農丞) 상리현장(相里玄奬)을 사신으로 보내 신라에 대한 공격을 그칠 것을 요구했으나 신라에게 빼앗긴 고구려의 영토 500리를 회복하기 전에는 전쟁을 그만둘 수 없다는 입장을 취했다.
당 태종은 다시 사신 장엄(蔣儼)을 보냈으나, 연개소문은 그를 굴실에 가두었다. 이에 당 태종은 644년(보장왕 3)에 연개소문의 시역(弑逆)을 성토한다는 명분을 걸고 군사를 내어 직접 고구려 침략에 나섰다. 고구려의 장군 고연수(高延壽)와 고혜진(高惠眞)이 고구려군과 말갈군으로 구성된 15만의 구원군을 이끌고 출전했으나 안시성 동남쪽에서 대패하고 말았다(→ 안시성전투). 당은 요동지방에 있는 고구려의 일부 성을 함락시키고 안시성을 포위했다. 당군은 필사적으로 안시성을 공격했으나 안시성의 완강한 저항으로 함락에 실패하여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당에서는 이후에도 몇 차례 군사를 파견하여 고구려를 공격했으나 성과가 없었다. 태종이 철수하면서 연개소문에게 활과 의복을 보냈으나 그는 이를 받고도 사례하지 않았으며 이후 비록 당에 사신을 보내 글을 올렸지만 정중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는 강력한 권력을 배경으로 수년에 걸쳐 계속되는 당과의 투쟁을 주도하면서 신라에 대해서도 공세를 계속했다. 그러던 중 신라와 당이 연합하여 백제를 멸망시킨 뒤, 661년 다시 고구려를 침략해 소정방(蘇定方)이 이끄는 군대가 평양성 부근까지 접근하기도 했다. 이때 그는 아들 남생(男生)을 압록강에 보내 당군이 건너지 못하도록 막았으나 강이 얼자 건너온 당군에게 고구려군이 패하여 남생은 겨우 몸을 피하기도 했다. 이듬해 방효태(龐孝泰)가 이끄는 당군이 다시 침입하자 연개소문은 직접 사수(蛇水) 언덕에서 접전을 벌여 적군을 몰살시켰다.
그러나 그의 대외 강경정책은 고구려의 국력을 소모시키기도 했고, 그의 사후에 내부 결집력이 약화되고 정치적 혼란이 초래될 소지를 안고 있었다. 결국 665년에 그가 죽자 곧 장남 남생과 남건(男建)·남산(男産) 등 아들들 사이에서 불화가 일어났고, 남생은 당에 투항했다. 그의 동생 연정토(淵淨土)도 12성(城)을 이끌고 신라에 투항했고, 이들 성에는 신라군이 배치되었다.
*연개소문의 권력장악 과정 5세기에 전성기를 맞았던 고구려가 정치적 혼란에 빠지는 때는 6세기부터였다. 안장왕이 귀족들에게 피살되면서, 그 동생 안원왕 이후에는 귀족세력이 왕위 계승에 간섭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국가 운영의 실권은 자연히 국왕으로부터 귀족에게로 넘어갔다. 귀족들은 타협을 통해 대립한 세력간에 균형을 유지하고자 했지만, 대대로의 교체 등 중요한 고비 때마다 서로 군사 대결을 벌이곤 했다.
이런 상황에서 고구려가 대외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한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양원왕때 고구려가 신라 진흥왕에게 한강과 원산만 지역의 남쪽 영토를 빼앗긴 것은, 바로 이러한 내부 분열 때문이었다.
귀족세력이 한때나마 단결을 보인 때는 다행스럽게도 수의 침략기였다. 영양왕은 이때의 단결에 힘입어 수의 침략을 물리칠 수 있었다. 그러나 영류왕 시대에 들어 당과의 대립이 장기화되면서, 귀족들은 다시 당에 대한 강경파와 온건파로 갈라지게 되었다. 100여 년에 걸친 불안정한 귀족 연립 정권을 붕괴시킨 것은 신진귀족 출신인 연개소문이었다. 642년, 연개소문은 군대 새열식을 이용하여, 100여 명의 대신들과 영류왕ㅇ을 살해하고, 보장왕을 세움으로써 권력을 장악했다. 당에 대한 대표적 강경파인 연개소문의 집권은 당과 신라를 긴장시켰다.
신라의 김춘추가 고구려에 와서 연개소문을 만난 것은 바로 이때였다. 고구려의 새로운 실력자 연개소문과 손을 잡고 백제의 공격을 막아 보고자 한 것이었으나, 연개소문은 이를 거절했다. 다라서 김춘추의 청병 외교는 당나라 쪽으로 돌려지게 된다. 연개소문의 당에 대한 강경책은 결국 당 태종의 대군 침략을 불러들였다. 그러나 안시성의 승리로 연개소문의 일인 독재체제는 오히려 더욱 강화되었다. 고구려에 대한 정면 공격에 실패한 당 태종은 작전을 바꾸어 신라와의 연합을 꾀했다. 이 같은 상황하에서 김춘추와 비밀협약이 맺어졌고 나 당 군사동맹이 약속되었다 |
*중국 역사의 북방민족 나라 水나라. 淸나라 |
'-平和大忍, 信望愛. > 韓中日 동북아역사(한자언어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부시 전(前)대통령. 고르바초프 전(前)소련대통령. 헬무트 콜 전(前)독일총리가 독일통일 공로상 첫 수상자로 선정 (0) | 2006.11.24 |
---|---|
발해 건국자 고왕(高王) 대조영(大祚榮) (0) | 2006.11.18 |
동아시아 알센터:베이징의 "공자묘" (0) | 2006.11.13 |
세계로 부는 한류열풍: 드라마 '주몽' (0) | 2006.11.13 |
시대의 불꽃!! 가짐 없는 큰 자유--- 제정구선생:) (0) | 2006.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