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미얀마 대지진 1644명 사망 발표 본문
일본 시간으로 28일 오후 발생한 미얀마 중부가 진원인 규모 7.7의 대지진에서는 격렬한 흔들림에 휩쓸린 제2의 도시 만달레이와 수도 네피도 등에서 큰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미얀마에서 실권을 쥐고 있는 군은 29일 밤, 이번 지진으로 미얀마 국내에서 1644명이 사망하고 3408명이 부상했다고 밝혔습니다.
현지에서는 지금도 각지에서 무너진 주택 등의 밑에 남겨진 사람들이 다수 있는 것으로 보이며 피해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구조 활동이 난항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제적인 지원이 요구되는 가운데 28일, 러시아 비상사태부는 구조대와 재해 구조견 등을 파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또, 중국도 잇따라 구조팀을 파견하고 있으며 인도 정부도 29일, 의약품과 지원물자와 함께 군 의료팀을 수송기로 파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한편 이번 지진으로 이웃나라 태국의 수도 방콕에서도 건설 중이던 고층 빌딩이 무너져 현지 당국에 따르면 지금까지 9명이 사망했으며 70명 이상과 연락이 닿지 않고 있습니다.
현장에서는 밤새도록 군과 구조대 등이 잔해를 제거하는 등 수색 활동이 진행 중입니다.
또, 현지 당국에 따르면 방콕에서는 이외에도 2000채 이상의 건물에 금이 갔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아울러 이번 지진으로 인해 건물의 안전성에 대해서도 향후 조사를 계속해갈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람들의 울음소리가 들려요'...미얀마 지진 공포를 목격하다
미얀마에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하면서 국민은 충격에 휩싸였다.
28일(현지시간) 미얀마에서 발생한 지진의 진앙은 사가잉시에서 북서쪽으로 16km 떨어진, 만달레이시 인근에서 발생했다. 이번 지진으로 중국과 태국에서도 진동이 느껴졌고, 건축 중이던 건물이 무너지기도 했다.
만달레이에서 학교 선생님으로 일하는 한 여성은 BBC 버마어 서비스와의 인터뷰에서 지진이 처음 일어났을 때 다른 동료들과 함께 학교 행정실에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처음에는 테이블 밑으로 숨었지만, 나중에는 모든 것이 우리 위로 떨어졌다"라고 말했다.
그는 지진이 계속되는 동안 겨우 야외로 나갈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학교 건물이 흔들리고 벽이 갈라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라며 "(지진이) 정말 강해서 너무 무서웠다"라고 했다.
지진 발생 몇 시간 후 그는 집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하지만 집 벽에는 금이 갔고, 집 근처 호텔을 포함한 여러 건물이 무너졌다.
그는 BBC에 "아이들이 아직 건물 안에 있어 어머니와 친구들이 울부짖는 소리가 들린다"라며 "정말 절망적인 장면"이라고 말했다.
미얀마의 상업 중심지인 만달레이를 비롯해 사가잉, 바고, 네피도, 마궤 지역과 샨주 북동부 지역에 모두 비상사태가 선포됐다.
많은 지역에서 병원, 호텔, 학교, 주택 등의 건물이 무너졌고 구조대원들은 생존자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만달레이의 한 언론인은 지진 후 소규모 여진이 계속됐다고 말했다.
그는 "무너진 건물에 생존자가 거의 없고, 구조대원도 많지 않다"라며 "대응이 매우 느리기 때문에 사망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만달레이 학교 교사는 "모든 사람의 얼굴에서 슬픔이 느껴진다"라며 "사람들이 고통받는 모습을 지켜봐야 한다"라고 전했다.
"정말 제 인생에서 최악의 순간 중 하나입니다. 이번 지진은 재앙이었어요. 도움이 필요합니다."

미얀마 군사 정부는 인도주의적 지원이 시급하다며 국제사회에 이례적으로 지원을 요청했다.
만달레이시와 가까운 샨주에 사는 한 주민은 지진이 발생했을 때 밖에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뭐라고 할 말이 없다. 사방에서 사이렌 소리만 들릴 뿐, 그 충격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없다"라고 했다.
지진이 발생할 당시 오래된 모스크인 슈웨 포 쉐인에 있던 한 사람은 건물이 무너졌고 "간신히 탈출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모스크 전체가 무너져 내렸고, 상황이 나아지길 기대하기 어렵다"라며 "많은 사망자와 실종자가 발생했고, 아직도 더 많은 사람들이 잔해 아래에 깔린 상태"라고 덧붙였다.
미얀마는 2021년 쿠데타 이후 군사 정권이 통치하고 있어 정보 접근이 어려운 상태다.
국가가 거의 모든 지역의 라디오, 텔레비전, 인쇄 및 온라인 매체를 통제하고 있으며 인터넷 사용도 제한되고 있다.
게다자 이번 지진으로 인해 여러 지역에서 정전이 발생해 통신이 두절됐다.

기욤 다가로는 진앙에서 약 600km 떨어진 미얀마 남부 양곤에서 영어 교사로 일하고 있다. 그는 지진이 발생했을 때 학생들과 함께 운동장에 있었고, 즉시 학생들을 책상 밑으로 피신시켰다고 말했다.
"나무가 흔들리는 것을 느낄 수 있었고, 건물 안에 전등이 흔들리는 것을 느낄 수 있었고, 발밑에서 진동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는 정전으로 인해 만달레이에 있는 친구나 가족과 연락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유일하게 할 수 있는 건 기도하는 것 뿐"이라며 "우리는 통제 밖의 상태라고 느낀다"라고 덧붙였다.

미얀마 군부가 발표한 수치에 따르면 사망자는 지금까지 1600명대로 급증했고 부상자는 3400여 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 수가 1만 명을 넘을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만달레이에 있는 구조팀의 한 대원은 BBC에 피해 규모가 "엄청나다"라고 말했다.
구조팀은 "정확한 사상사 수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적어도 수백 명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네피도에 있는 1000개 병상 규모 종합병원의 한 의사는 AFP통신에 현장에서 약 20명이 사망하고 많은 사람들이 다쳤다고 말했다.
피해 규모가 드러나자 미얀마 당국은 네피도 종합병원을 '대량 사상자 발생 지역'으로 지정했다. 병원 밖 환자들은 들것에 누워 임시로 만든 스탠드에 연결된 정맥주사를 맞고 있다.
만달레이 공항 내 여러 건물이 무너진 후 만달레이행 항공편도 일시 중단됐다.
전문가들은 미얀마는 2021년 쿠데타로 군사 정부가 정권을 장악한 후 내전이 발생하면서 지진 이전부터 인도주의적 상황이 매우 악화한 상태였다고 말한다.
내전으로 인해 35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집을 잃었고 기아는 이미 우려할 만한 수준에 이르렀다. 유엔(UN)은 올해 미얀마 인구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약 2000만 명이 도움이 필요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미얀마 지진: '사람들의 울음소리가 들려요'...충격에 휩싸인 사람들 - BBC News 코리아
미얀마에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한 후 미얀마 국민들은 충격에 휩싸였다고 입을 모았다. 일부는 무너진 건물의 여파를 목격했으며, 구조 작업이 더디다고 호소했다.
www.bbc.com
미얀마 강진으로 13명의 중국인 부상...미얀마 강진 사망자 천명 이상으로 급증
미얀마 주재 중국 대사관은 30일, 지난 28일 미얀마에서 발생한 강진으로 현재 13명의 중국인이 다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지금 치료 중이라고 밝혔다.
미얀마 주재 중국 대사관에 따르면 지진 발생 후 미얀마 주재 중국 대사관과 영사관은 즉각 비상 대응 메커니즘을 가동하여 비상 대응과 영사 보호 작업에 총력을 기울였다.
미얀마 주재 중국 대사관은 29일 17시까지 수백 건의 중국인의 도움 요청을 접수하고 처리했으며, 수십 명을 도와 실종된 친척과 친구를 찾아주었다. 부상자들은 현재 모두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중국의 여러 구조대가 구조 장비와 물자를 가지고 미얀마 지진 재해 지역으로 긴급 파견됐다.
한편 29일까지 미얀마 강진으로 1007명이 숨지고 2389명이 다친 것으로 집계 됐으며 사망자 수는 계속 늘어 날 것으로 보인다.
'Guide Ear&Bird's Eye30 > 미얀마[버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얀마 쿠데타 4년, 주일 미얀마 대사관 앞에서 항의 시위 (0) | 2025.02.02 |
---|---|
미얀마 친 민주 반군 돕는다...군사 정부 군인 스파이는 누구? (0) | 2025.02.01 |
미얀마 국가비상사태 6개월 또 연장…선거 연기 (0) | 2025.02.01 |
ASEAN 외교장관회의, 미얀마에 특사 파견해 폭력 중단 등 요구 방침 (0) | 2025.01.20 |
미얀마 군부, 수감자 6천여 명 석방...외국인도 포함 (0) | 202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