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라이시 대통령 급사로 이란 소용돌이 속으로 본문

Guide Ear&Bird's Eye/이란

라이시 대통령 급사로 이란 소용돌이 속으로

CIA bear 허관(許灌) 2024. 5. 21. 08:48

20일 이란 테헤란 시내 발리에아스르 광장에서 열린 애도식에 시민들이 나와 헬기 추락 사고로 사망한 에브라힘 라이시 대통령의 포스터를 들고 애도하고 있다.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이 지난 19일 헬리콥터 추락으로 사망한 것으로 20일 확인되면서, 국제사회 주요 인사들이 애도의 뜻을 표하고 있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라이시 대통령의 ‘비극적 죽음’이 이란 국민에 있어 엄청난 상실이라며 중국은 좋은 친구를 잃었다고 밝혔다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전했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라이시 대통령을 ‘뛰어난 지도자'로 칭하며 애도를 표했다고 스푸트니크 등 현지 매체들이 전했습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엑스(X·옛 트위터) 계정을 통해 “이란 대통령의 비극적인 죽음에 깊은 애도를 표한다”고 밝히고 “인도와 이란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라이시 대통령의 헌신을 언제나 기억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모디 총리는 또한 “라이시 대통령의 가족과 이란 국민들에게도 진심 어린 조의를 전한다”며 “인도는 슬픔의 시기에 이란과 함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 주요국가들의 공식 반응은 아직 알려지지 않은 가운데, 서방 진영에서는 샤를 미셸 유럽연합(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이 조의를 표했습니다.

미셸 상임의장은 “라이시 대통령과 (호세인) 아미르압둘라히안 외무장관, 다른 일행들의 죽음에 EU는 진심 어린 애도를 표한다”고 엑스 계정을 통해 밝히고 “유가족들에게도 조의를 전한다”고 썼습니다.

◾️중동 정세 향방 주목

중동 주요 지도자들도 애도 입장을 잇따라 공개했습니다.

무함마드 시아 알수다니 이라크 총리는 성명을 통해 “깊은 슬픔과 애도를 표한다”고 밝혔습니다.

셰이크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카타르 군주(에미르)는 “라이시 대통령과 일행이 가슴 아픈 헬기 사고로 숨진 데 대해 진심 어린 애도를 표한다”며 “유가족들이 이 상황을 견딜 수 있는 인내와 위안을 달라고 알라신에게 빌겠다”고 밝혔습니다.

예멘의 친이란 반군 후티 지도부인 최고혁명위원회의 무함마드 알리 알후티 위원장도 애도 메시지를 올렸습니다.

또한 이란의 지원을 받아온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와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도 애도 성명을 냈습니다.

하마스는 성명에서 라이시 대통령과 호세인 아미르압둘라히안 외무장관을 가리키며 “이 지도자들은 시온주의자(이스라엘)를 상대로 한 우리의 정당한 투쟁을 지원하고 팔레스타인의 저항에 값진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고 칭송했습니다.

한편, 7개월 넘게 진행 중인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이란 대통령 사망이라는 변수가 어떻게 작용할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전쟁 확산의 열쇠를 이란이 쥐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지난달 시리아 수도 내 이란 영사관을 이스라엘이 공습해 장성 2명 등 7명이 하자, 이란은 이스라엘을 향해 미사일과 드론 130여 기를 발사했습니다.

이란이 사상 처음으로 이스라엘 본토를 대규모 공격한 사건이었습니다.

◾️대내외 강경파

라이시 대통령은 성직자이자 검사 출신으로, 지난 2021년 8월 이란의 제8대 대통령에 취임했습니다.

영국 유력 매체 이코노미스트는 20일자 보도를 통해, 당시 대선이 ‘부정 선거’였다고 평가했습니다.

라이시 대통령은 대내외 정책에서 ‘강경파’로 꼽히며, ‘온건파’로 분류된 전임자 하산 로하니 전 대통령과 여러모로 비교됐습니다.

이란 국내에서는 임기 2년차인 지난해 이른바 ‘히잡 시위’가 전역으로 확산하자 사망자 수백 명을 발생시키며 유혈 진압했습니다.

대외적으로는 지난달, 사상 처음으로 이스라엘 본토를 공격하기도 했습니다.

이란은 내부적으로 반정부 시위와 사상 최저치까지 폭락한 자국 통화 가치, 부정부패 등으로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라이시 대통령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권력 투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라이시 대통령은 대미 정책에서도 강경파로 꼽혀왔습니다.

백악관은 라이시 정부 출범 당시, 이란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의 상대는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라며 라이시 대통령을 배척했습니다.

VOA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