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한·중·일 정상, 3국 공조 다짐 본문

'三國志[사람됨 교육장소-仁德政治]"/中韓日국가연합(漢字姓氏,兄弟國)

한·중·일 정상, 3국 공조 다짐

CIA Bear 허관(許灌) 2019. 12. 25. 19:00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 리커창 중국 총리, 아베 일본 총리가 24일 쓰촨성 청두 세기성 박람회장에서 한중일 정상회의 시작 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기자) 한·중·일 정상들이 중국 청두에서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와 교역 문제 등을 논의했습니다.

진행자)한·중·일 정상회의 소식부터 살펴보죠.

기자) 네, 24일 중국 쓰촨성 청두에서 제8차 한·중·일 정상회의가 열렸습니다. 3국 정상회의는 24일 당일 하루였지만, 3국 정상회의 전후로 23일과 24일 각국 간에 개별적인 양자회담도 진행됐고요. 또 부대 행사로 대규모 경제 회의인 '비즈니스서밋(Business Summit)도 함께 진행됐습니다.

진행자) 동북아 주요 3개국 정상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회의라 어떤 이야기들이 오갔을지 이목이 집중됐는데요.

기자) 네, 리커창 중국 총리와 문재인 한국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이날 회의 후 공동언론발표 시간을 가졌는데요. 3국 지도자들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따른 한반도 위기 상황과 자유무역, 인적, 물적 교류 활성화 등 3국 간 주요 현안들을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리커창 총리는 특히 3국 지도자들이 중요한 의제는 피하고 형식적인 이야기만 나눴을까 궁금할 수 있다면서, 3국 지도자들은 매우 솔직한 논의를 했으며, 충분한 합의를 이뤄 향후 10년을 바라보는 공동의 문서도 만들었다고 강조했습니다.

진행자) 그런데 3국 정상회의인데 중국에서는 왜 시진핑 국가 주석이 아니라 리커창 총리가 참석한 겁니까?

기자) 한·중·일 정상회의가 처음 태동한 게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한중일 3국 회의'에서였는데요. 처음부터 중국은 이 '아세안+3' 회의에 주석이 아니라 총리를 보냈기 때문입니다. 보통 중국의 주석은 국방이나 외교를 맡고, 내치나 경제는 국무원 총리가 나눠서 역할 분담을 해왔는데요. 이 때문에 경제 문제를 주로 다루는 정상 외교 행사에는 주로 총리가 참석해왔습니다. 2008년부터 한·중·일 정상회의가 정례화된 이래 중국의 주석은 양자회담을 진행하고, 3국 정상회의에는 총리가 참석하는 것이 관례화됐습니다.

진행자) 3국 정상의 공동 언론발표 내용 좀 더 살펴보죠.

기자) 네, 3국 정상들은 한반도의 비핵화와 동북아의 항구적인 평화를 실현하는 것이 3국의 공동의 목표라는 점을 재확인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대화와 협상만이 한반도 문제를 해결할 유일한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데도 의견이 일치했다면서 국제 질서와 가치에 따른 정치, 외교적 수단으로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역내에 장기적인 안전을 실현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진행자) 이번 정상회의에서는 또 3국 간 교역도 비중 있게 다뤄졌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이번 3국 정상 간 만남에서 북한 문제 외에 또 다른 주요 화두는 자유무역 문제였습니다. 현재 3국의 교역액은 세계 전체 규모의 5분의 1에 달하는데요. 리커창 중국 총리는 세 나라 간 자유무역협상(FTA)을 가속화하고 함께 지역의 안정과 평화 번영을 추구해가자고 역설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이 추진하고 있는 대규모 경제공동체 '역내포괄적동반자협정(RCEP)'은 더 높은 수준의 자유무역 원칙에 따른 공평하고 공정한 무역을 추구하는 자유무역협정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도 3국 간 경제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공동의 자유무역협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진행자) 또 어떤 이야기들이 나왔습니까?

기자) 세 나라는 앞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공동 노력하고, 환경보호와 해양 쓰레기 분야에서도 협력해나가기로 했고요. 과학기술과 인적 교류 등의 활성화도 도모하기로 다짐했습니다. 그 일환으로 3국은 청소년 만화대회를 비롯해 젊은이들이 좋아하는 행사들을 개최할 것이라고 리커창 총리는 밝혔습니다. 또 중국은 내년을 3국 과학기술의 해로 정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진행자) 문재인 한국 대통령은 어떤 말을 했습니까?

기자) 3국 정상회의가 2년 연속으로 개최된 것만으로도 큰 성과와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또 3국은 앞으로도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위해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해나갈 것이며, 3국의 협력을 통해 양자관계는 물론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해나가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문재인 한국 대통령은 또 다음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는 한국에서 개최된다면서 차기 의장국으로서 3국 협력의 성과가 국민의 삶을 이롭게 하도록 책임을 다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진행자)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발언도 좀 살펴볼까요?

기자) 네, 올해는 3국이 협력 관계를 맺은 지 20주년이 되는 해인데요. 아베 총리도 세 정상이 지난 20년간의 협력 과정을 평가하고, 향후 10년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눈 매우 뜻깊은 회의였다고 평가했습니다. 한편 아베 총리는 이 자리에서 북한에 피랍된 일본인 문제를 제기해 눈길을 끌었는데요. 아베 총리는 납치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위해 두 정상들에게 지원과 협력을 요청하고 일본의 입장에 대한 이해를 얻었다고 강조했습니다.

진행자) 이번 한·중·일 정상회의만큼이나 주목을 받았던 게 한일 정상 간 양자회담이었는데요.

기자) 그렇습니다.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3국 정상회의 폐막 후 양자회담을 가졌는데요. 양국이 지난 몇 달, 한국인 강제징용 문제, 수출규제, 양국 간 군사정보교환협정(GSOMIA) 문제 등을 놓고 첨예한 갈등을 벌이고 있던 터라 이번 정상회담에 관심이 쏠렸습니다.

진행자) 두 정상이 공식적으로 만난 게 15개월 만의 일이라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지난해 9월 뉴욕에서 열린 유엔 총회 이후 처음인데요. 두 정상은 당초 예정 시간이었던 30분을 훌쩍 넘겨 45분여 회담을 진행했습니다. 두 정상은 교착상태에 놓여있는 양국 간 관계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수출 규제 등 핵심 현안에서는 구체적인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