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북 군인들, 돈 받고 민간경비에 고용돼 본문
중국을 인접한 북한 지역에서 군인이 행인들을 검신하는 단속 현장이 포착됐다. 사진은 주민의 증명서와 짐을 검사하는 군인의 모습.
앵커: 북한 인민군 부대들이 개인의 윤전(輪轉)기재(차량)나 화물들을 안전하게 지켜주고 돈을 받는 사설 경비업까지 손을 뻗히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문성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최근 자유아시아방송과 연계가 닿은 함경남도의 한 소식통은 “써비(대여)차를 타고 장진군에서 양강도 삼수읍까지 장사물건들을 싣고 왔다”며 “오는 도중 밤이 되면 주변 군부대에 들어가 차를 세우고 잠도 현지 군인들이 안내해주는 여인숙에서 잤다”고 전했습니다.
“군부대들에 자동차와 화물의 경비를 맡기려면 돈이 꽤나 들지만 자동차와 화물을 다른 곳에 대고 알아서 지키는 것 보다 훨씬 안전하다”며 “군인들이 돈을 받고 자동차와 화물만 지켜주는 것이 아니라 값이 저렴한 여인숙도 직접 소개해 준다”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자동차 보관료는 보통 적재량 6톤의 중국 ‘동풍(凍風)호’ 자동차를 기준으로 짐이 없으면 시간당 북한 돈 2천원, 짐이 있으면 시간당 4천원이고 하룻밤 숙박비용은 1인당 북한 돈 4천원이며 식사는 모두 자체로 해결해야 한다고 소식통은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요즘은 공장기업소 명의를 빌려 쓰는 개인소유의 자동차들도 인민보위대가 무장보초를 서는 공장기업소라든지, 아니면 주변 군부대들에 시간당 돈을 내고 주차하고 있다”며 “그 외엔 자동차와 화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방법이 없다”고 소식통은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 5일 양강도의 한 소식통은 “군부대들이 단순히 자동차를 보관해주는 것만이 아니다”라며 “혜산시 송봉동에 있는 혜산여객버스사업소와 혜산장거리운송사업소들은 자동차가 적게는 30대, 최대 60대 이상이 있어 군부대까지 가서 세워놓기가 불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운송사업소에 있는 자동차들은 대부분 공장기업소의 명의를 빌려 쓰는 개인 자동차들”이라며 “혜산장거리운송사업소의 경우만 해도 매일 저녁 8시부터 다음날 아침 7시까지 주변에 있는 8총국 병사 7명이 운송사업소까지 나와 교대로 경비를 서주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처럼 매일 밤 자동차 경비를 서게 하려면 자동차 주인들이 돈을 모아 한 달에 북한 돈 35만원, 중국인민폐로 270위안을 내야 한다”며 “일단 돈만 받으면 마당에 자동차를 몇 대 세우든 군부대 지휘관들은 상관을 하지 않는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혜산시 주둔 8총국의 경우 이렇게 받은 돈의 30% 정도를 부대의 유지관리를 위해 쓰고 나머지는 대대장과 정치지도원이 나눠 갖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경비를 서는 병사들에게는 자동차 주인들이 술이나 음식을 따로 챙겨주고 있어 병사들 역시 경비일을 마다하지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 남녀징병제 국가로 남자 10년간, 여자 7년간 군 복무
공식적은 북한 군은 120만명이다. 실질적으로 군복무를 하고 있는 수는 한국과 비교했을 때 절반 이상인 70만명이 많다. 북한의 나머지 군인들은 민간 업무에 종사하고 있다.
이 민간 업무란 양돈, 어획, 광산, 공장 등에서 일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무임급으로 일을 시키는 것이다
북한 무상교육 중학교 졸업생 중 30%이내 학생들이 개인의 능력과 유상교육기관 대학에 진학한다
중국은 직업군인 지원 모병제이지만 북한은 남녀 징병제국가로 중학교 졸업 후 남자는 10년간, 여자는 7년간 현역군인이나 다른 군복무형태 직장 등지에서 군복무를 해야 한다
통계에 따르면, 2012년 북한 인민군 병사의 수는 120만 명으로 이 중 여성 군인은 15% 약 17만명에 달했다. 북한의 인구는 약 2400만명으로 1000명에 7명이 여성 군인, 인민군 군인 100명에 15명이 여성 군인 셈이다
북한정부는 북한 아동들의 영양부족으로 인민군 입대 신체 조건을 "키 138cm이상, 몸무게 43Kg 이상"으로 실행하고 있다
14세때 징병명부 등록, 15세때 신체검사, 16세부터 인민군 입대를 하고 있다
병역 근무 자리 비리가 북한 군부내 가장 큰 비리로 알려지고 있다
매관행위는 인민군을 감시하는 총정치국 정치 지도원이라는 유리한 자리에는 5 천 ~ 2 만 달러 (약 50 만 ~ 200 만 원), 지방 관리는 약 5 천 중국 위엔화 (약 8 만원)에 직위를 사고 파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소식통은 "공직에 붙으면 뇌물을 받을 처지에 놓이게 1주일에 의거을 회수 할 수 있다고 된다"고 말했다
현역군인이나 군(軍) 경력이 없으면 원칙적 북한 노동당 당원이 될 수 없다
북한 노동당 당원은 군인이다[先軍정치와 국방위원회]
북한은 14세가 되는 해 징병대상자로 등록된 후, 16세 때 징병검사를 받는다. 이듬해 17세에 정식으로 입대한다. 복무기간은 남성 보병부대 10년 특수부대 13년, 여성 보병부대 5년 특수부대 7년. 복무 중 의무적으로 경제활동에 투입되므로, 북한 인민군은 농업, 공업과 공공기업체 기능도 겸하고 있다. 이들은 제일 거대한 생산집단이며, 동시에 소비집단이다. 전역 후 계급에 상관없이 60세까지 예비역으로 복무한다. 2000년대 들어 병무행정이 원활히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단, 대학입시를 통해 대학에 들어가거나 예술가, 운동 선수, 징병검사를 통한 심신 상태나 자질 문제가 있는 사람은 징병되지 않는다. 징병되지 않는다고 다 같은 대우를 받는 것이 아니다. 예술가와 운동선수는 장교에 준한 대우를 받는 반면 심신 또는 자질에 문제가 있어서 징병되지 않은 사람은 적대계층으로 분류되어 평생 차별을 당한다
'-미국 언론- > 자유아시아방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 간부층 "남조선 물품 많이 좋습네다" (0) | 2017.06.18 |
---|---|
미 대학생 억류로 ‘북한 여행’ 논쟁 (0) | 2017.06.18 |
한국 대통령이 된 월남자의 아들 (0) | 2017.05.21 |
오바마 대북지원 약속 100만불 지난달 전달 (0) | 2017.05.08 |
HRW “북 인권 유린 책임자 처벌” 재차 촉구 (0) | 2017.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