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북, 현역군인 중동 건설현장 파견 증가 본문
북한 노동자들이 일하고 있는 쿠웨이트 싸바흐 알 아흐마드 지역의 공사현장. 모래바람 때문에 건물 뒤쪽은 보이질 않는다
당장 월급을 주지 않아도 되고 현지에서 통제가 쉽다는 이유 때문에 중동지역에 노동자로 파견되는 북한 현역군인 수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쿠웨이트에 현재 파견돼 일하고 있는 북한 노동자 수는 대략 3천200여명.
한때는 4천명 가까이 됐던 북한 노동자 수는 지난해부터 줄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쿠웨이트를 비롯한 중동 지역 건설현장에 노동자 신분으로 투입되는 북한 현역 군인의 수는 오히려 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중동지역 건설현장 사정에 밝은 현지 소식통은 9일, 중동지역에 진출해 있는 북한의 건설회사인 남강건설과 철현건설을 통해 들어오는 북한 군인들의 수가 최근 2-3년동안 부쩍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남강건설은 쿠웨이트에 800여명, 그리고 카타르에 750여명의 북한 노동자를 파견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또한 철현건설은 지난 2010년 쿠웨이트에 현역군인 70여명을 파견한 이후 계속해서 그 수를 늘리고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남강건설이 쿠웨이트와 카타르에 파견한 1천500여명의 현역 군인 노동자들은 모두 공병대 소속 20대 현역 군인들이라고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쿠웨이트의 경우 전체 북한 노동자 가운데 30% 가까이가 현역 군인이란 겁니다.
북한 당국은 이들을 중동지역으로 보낼 때 민간인 신분으로 위장하기 위해 파견 전에 머리를 기르게 하는 것으로도 알려졌습니다.
특히, 해외 노동자로 파견되는 북한 현역 군인들에게는 현지에서 일하는 기간에 따로 임금을 주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현지에서도 군체계를 따르기 때문에 통제가 쉬워 그 수를 점점 늘리는 추세라는 분석입니다.
하지만, 부작용도 있습니다.
혈기왕성한 20대인데다 과격한 북한 현역 군인들이 일반 노동자들의 일감을 빼았는 바람에 가뜩이나 힘들게 일하고 있는 일반 북한 노동자들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습니다.
일반 북한 노동자들은 이들 현역 군인 노동자들을 ‘무식한 깡패’라는 의미인 러시아어 ‘마흐노’라고 부르며 접촉을 피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자유아시아방송-
*북한 남녀징병제 국가로 남자 10년간, 여자 7년간 군 복무
공식적은 북한 군은 120만명이다. 실질적으로 군복무를 하고 있는 수는 한국과 비교했을 때 절반 이상인 70만명이 많다. 북한의 나머지 군인들은 민간 업무에 종사하고 있다.
이 민간 업무란 양돈, 어획, 광산, 공장 등에서 일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무임급으로 일을 시키는 것이다
북한 무상교육 중학교 졸업생 중 30%이내 학생들이 개인의 능력과 유상교육기관 대학에 진학한다
중국은 직업군인 지원 모병제이지만 북한은 남녀 징병제국가로 중학교 졸업 후 남자는 10년간, 여자는 7년간 현역군인이나 다른 군복무형태 직장 등지에서 군복무를 해야 한다
통계에 따르면, 2012년 북한 인민군 병사의 수는 120만 명으로 이 중 여성 군인은 15% 약 17만명에 달했다. 북한의 인구는 약 2400만명으로 1000명에 7명이 여성 군인, 인민군 군인 100명에 15명이 여성 군인 셈이다
북한정부는 북한 아동들의 영양부족으로 인민군 입대 신체 조건을 "키 138cm이상, 몸무게 43Kg 이상"으로 실행하고 있다
14세때 징병명부 등록, 15세때 신체검사, 16세부터 인민군 입대를 하고 있다
병역 근무 자리 비리가 북한 군부내 가장 큰 비리로 알려지고 있다
매관행위는 인민군을 감시하는 총정치국 정치 지도원이라는 유리한 자리에는 5 천 ~ 2 만 달러 (약 50 만 ~ 200 만 원), 지방 관리는 약 5 천 중국 위엔화 (약 8 만원)에 직위를 사고 파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소식통은 "공직에 붙으면 뇌물을 받을 처지에 놓이게 1주일에 의거을 회수 할 수 있다고 된다"고 말했다
현역군인이나 군(軍) 경력이 없으면 원칙적 북한 노동당 당원이 될 수 없다
북한 노동당 당원은 군인이다[先軍정치와 국방위원회]
북한은 14세가 되는 해 징병대상자로 등록된 후, 16세 때 징병검사를 받는다. 이듬해 17세에 정식으로 입대한다. 복무기간은 남성 보병부대 10년 특수부대 13년, 여성 보병부대 5년 특수부대 7년. 복무 중 의무적으로 경제활동에 투입되므로, 북한 인민군은 농업, 공업과 공공기업체 기능도 겸하고 있다. 이들은 제일 거대한 생산집단이며, 동시에 소비집단이다. 전역 후 계급에 상관없이 60세까지 예비역으로 복무한다. 2000년대 들어 병무행정이 원활히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단, 대학입시를 통해 대학에 들어가거나 예술가, 운동 선수, 징병검사를 통한 심신 상태나 자질 문제가 있는 사람은 징병되지 않는다. 징병되지 않는다고 다 같은 대우를 받는 것이 아니다. 예술가와 운동선수는 장교에 준한 대우를 받는 반면 심신 또는 자질에 문제가 있어서 징병되지 않은 사람은 적대계층으로 분류되어 평생 차별을 당한다
'-미국 언론- > 자유아시아방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 빨리 벗어나야 할 6.25전쟁의 거짓말 (0) | 2016.06.26 |
---|---|
연쇄 핵심층 탈북에 난감해진 대남부서 (0) | 2016.06.13 |
북, ’무수단’ 미사일 또 실패 (0) | 2016.05.31 |
조나선 폴락 브루킹스 연구소 선임연구원“북, 갈수록 중국에 정치적 부담” (0) | 2016.05.30 |
농촌지원 지시에 북 농민들 불만 (0) | 2016.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