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미국 언론-/자유아시아방송 (513)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앵커: 북한이 미국과 중국간 고조되고 있는 갈등을 이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상황이라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북한이 한국 등 다른 주변국과 달리 지리적, 정치적으로 유리한 전략적 이점을 가지고 있다고 미국 내 외교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습니다. 보도에 한덕인 기자입니다. 최근(5월 28일)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가 홍콩 국가보안법을 표결에 부쳐 통과시킨 이후 미국이 홍콩의 특별지위 박탈 및 홍콩 자치권 조사 등을 거론하는 등 미중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극에 달한 미중관계를 바라보는 제3국의 관점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미국의 외교 전문가들은 미중 갈등이 많은 주변국에 큰 고민을 안기는 사안이라고 지적하면서, 북한은 이들 가운데 미중 간 갈등을 자신의 이점으로 활..

앵커: 북한의 일부 간부들과 주민들은 남한 탈북자단체들의 대북전단 살포를 비난하는 김여정의 담화가 노동신문에 게재된 사실에 놀랍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다수 북한주민들은 대북전단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데 담화내용을 공개함으로써 대북전단의 존재가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고 소식통들은 밝혔습니다. 관련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익명을 요구한 평양시의 한 간부 소식통은 4일 “오늘(4일)자 노동신문에 남조선 내 탈북자들에 의한 대북 삐라(전단지) 살포 소식이 실려 주민들이 놀랍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면서 “당에서 의도했던 안 했던 간에 노동신문이 탈북자들의 대북 정보유입 활동을 상세히 설명하는 효과를 가져온 셈”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노동신문에 실린 담..

앵커: 북한 측 협박성 발언에 한국 정부가 대북전단 규제법을 만들겠다고 즉각 밝혔는데도 북한 당국은 바로 다음날 남북연락사무소부터 폐지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에 대해 미국 전문가들은 한국 측이 북한에 “한국은 협박하면 된다”는 잘못된 확신을 심어준 결과라고 분석했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통일전선부는 5일 한국 민간단체의 대북전단 살포를 재차 문제삼으며 첫 순서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부터 철폐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통일전선부는 이날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이 4일 발표한 대북전단 살포 비난 담화문에서 지적한 내용들을 집행하라는 지시가 내려졌다며 이같이 발표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 정부가 대북전단 살포를 막을 법안을 마련하겠다고 하지만 이것은 고단수의 변명이라고 일축했습니다. 미국의..

앵커: 한국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은 대북전단 규제법이 ‘김여정 하명법’이자 위헌이라고 지적하며 한국 정부를 규탄했습니다. 서울에서 서재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5일 대북전단 살포 등 접경지역에서의 긴장을 조성하는 행위에 대해 법적으로 규제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한국 정부. 한국의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은 이날 부대변인 논평을 내고 대북전단을 규제하는 법은 헌법이 보장하는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위헌적 소지가 있다고 지적하며 관련 법안 추진을 중단할 것을 한국 정부에 촉구했습니다. 미래통합당 소속 의원 4명도 한국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북전단 살포 금지법은 ‘김여정 하명법’이자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라며 한국 정부를 규탄하는 성명서를 발표했습니다. 조태용 미래통합당 의원: 한국 정부는 헌법의 가치..

앵커: 북한이 4일 발표한 대북전단 비난 담화는 한국 내 남남 갈등과 한미 관계 악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미국의 전문가가 진단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해군분석센터(CNA)의 켄 고스 국장은 4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의 전단 살포 중단 요구를 통한 한국에 대한 강력한 압박은 예측된 수순(entirely predictable)이었다고 말했습니다. 고스 국장: 북한은 경제적 이유가 아니라 정치적∙전략적 측면에서 한국과 거리를 두기 위해 모든 노력을 하고 있다고 봅니다. 미국과 다시 협상에 나서기 전까지는 한국을 멀리하려는 것이 북한의 전략적 입장입니다. (It’s part of NK’s strategic position to push away from SK until NK is a..

앵커: 한국 정부가 대북전단 살포 중단을 위한 법률을 준비한다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국제인권단체는 한국 정부가 이러한 접근을 재고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휴먼라이츠워치(HRW)의 필 로버트슨 아시아담당 부국장의 견해를 지예원 기자가 직접 들어봤습니다. 기자: 북한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탈북민의 대북전단 살포 비난 담화를 내놓은 것을 전반적으로 어떻게 보십니까? 로버트슨 부국장: 김여정 담화는 일부 대북전단이 실제로 북한에 도달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김여정 제1부부장이 이토록 큰 문제로 삼는다면, (북한 당국의) 우려에 (대북전단이) 일정 부분 원인이 된다는 것이죠. 탈북민 단체들은 북한 당국의 이러한 반응이 그들의 활동이 효과가 있다는 점을 보여주기 때문에 기쁘게 생각할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

앵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미국의 관심을 끌기위해 일련의 도발에 나설 것이란 미국 전직 고위 국방관리의 전망이 나왔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의 전임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 국방장관 후보로 유력하게 거론됐던 미셀 플러노이 전 국방부 정책담당 차관은 2일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주최한 코로나19가 국가안보에 미친 영향에 대한 화상 토론회에 기조 연설자로 참석했습니다. 플러노이 전 차관은 코로나19가 북핵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문에 우선 코로나19가 북한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쳤는지는 알지 못한다고 답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 문제로 북한의 계속적인 핵과 미사일 개발, 특히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 문제에 대한 ..

사랑하는 북녘 동포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4월 11일부터 태양절에 금수산궁전에도 안 나타나고 20일 동안 사라져 화제가 됐던 김정은이 5월 2일에 순천린비료공장에 얼굴 한번 보이고 또 20일 동안 사라졌습니다. 40일 동안 어디 있는지도 모르는 국가 지도자가 세계에 그 어디에도 없습니다. 지금이 팔자 좋게 놀고 있을 때입니까. 대북 제재로 경제 사정은 바닥으로 달려가고 있고 또다시 고난의 행군이 다가오는데, 국경을 꽉 막아놓고 자기는 사라졌습니다. 물론 김정은 지금 어디에 얼굴 비춰도 창피하긴 할 겁니다. 명색이 나라인데 돌아가는 게 어디 있습니까. 4월 15일까지 원산갈마관광지구 완공한다고 했는데 이미 공사가 중단됐습니다. 만들어봐야 또 쓸 데도 없습니다. 양덕은 어디에 쓰려고 그렇게 열심히 만들었고,..

앵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갑작스런 사망과 같은 급변사태로 북한 정권이 무너지면 미국과 중국이 북한 핵무기를 놓고 쟁탈전을 벌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민간 연구기관 미국기업연구소(AEI)의 오리아나 스카일라 마스트로 객원연구원은 25일 영국 매체 ‘디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와의 인터뷰에서 김정은 위원장 사망 시 예상되는 정치상황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마스트로 연구원은 북한 정권의 변화로 북한 내부가 불안정해지면 미국이 북한의 핵무기 제거를 위해 북한 진입을 시도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특히 현재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북한을 비핵화할 수 있는 기회라고 판단할 경우 북한 본토에 진입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마스트로 연..

앵커: 국제사회의 제재 속에서도 핵개발에 나서 핵을 포기하지 않는 북한이 중동 국가 이란의 본보기가 되고 있다고 이스라엘 전문가들이 주장했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스라엘 국방부 정보국장을 역임한 아모스 야들린(Amos Yadlin) 이스라엘 국가안보연구소 소장은 20일 미국 브루킹스연구소와 공동으로 주최한 ‘중동에서의 북한 역할’이라는 주제의 화상회의에서 이란은 ‘중동의 북한’이 되길 원한다고 말했습니다. 야들린 소장은 북한이 미국과 어떻게 긴장완화를 했는지, 북한이 국제법을 위반하는 불량 행동들(rogue behaviors)을 어떻게 처벌받지 않고 지속할 수 있는지 등을 이란이 배우려 한다고 밝혔습니다. 야들린 소장: 이란은 북한처럼 국제사회에서 고립되길 원하지 않으면서도 핵을 보유한 ‘중..

앵커: 천안함 폭침 직후 시행된 한국 정부의 독자적 대북제재, 5·24조치가 올해로 10년째를 맞았습니다. 한국 정부는 현재 5·24 조치가 남북 교류에 더 이상 장애가 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2010년 3월, 한국 서해 백령도 인근에서 북한의 어뢰 공격을 받아 침몰한 한국 해군의 1,200톤급 초계함인 천안함. 이 공격으로 천안함에 타고 있던 한국 해군 장병 46명이 목숨을 잃었고, 한국 정부는 즉각 대응에 나서 독자적 대북제재인 이른바 ‘5·24조치’를 시행했습니다. 5·24조치에 따라 개성공단을 제외한 남북교역이 중단됐고, 북한 선박의 한국 해역 운항과 개성공단·금강산을 제외한 방북, 그리고 북한에 대한 신규투자가 불허되는 한편 인도적 지원을 제외..

앵커: 미국의 다수 한반도 전문가들은 한국 정부의 해상 군사훈련 연기 결정이 날씨가 아닌 다른 이유, 즉 남북관계를 고려한 정치적 이유 때문이 아니겠냐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군사전문가인 미국 민주주의수호재단(FDD)의 데이비드 맥스웰 선임연구원은 한국이 북한을 의식해 해상군사훈련을 연기했다는 주장에 대해 한국 청와대가 언짢을 수 있겠지만 “그러한 인식은 현실(perception is reality)”이라고 말했습니다. 맥스웰 연구원은 18일 전자우편으로 자유아시아방송(RFA)에, 기상악화를 이유로 군사훈련을 연기했다고는 하지만 남북관계를 고려해 훈련 연기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이 문제와 관련해 우리가 고려해야 할 것은 “북한 당국의 협박 외교가 ..

앵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북한의 제재위반 관련 불법 해상활동 경고문을 발표하고 북한의 신종 사이버 공격 악성코드를 공개했습니다. 또 북한을 '대 테러 비협력국'으로 재지정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북한 핵문제 등과 관련해 미국이 여전히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의 마크 피츠패트릭 전 국무부 비확산담당 부차관보는 15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최근 미국 행정부의 일련의 조치들은 미국 정부가 북한에 대해 강경(tough)한 입장으로 선회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피츠패트릭 전 부차관보: 지난 2년 간 미북 관계는 부침이 있었지만 미국은 북한에 부드러운(nice) 입장을 견지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조치들은 그 입..

앵커: ‘코로나 19’가 미중 갈등의 새로운 변수로 등장하면서, 양국 관계가 신냉전이라 할 정도로 악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중 두 정상은 최근 친서 외교를 통해 우호 관계를 과시한 반면, 미북 남북관계는 여전히 교착 국면에서 뚜렷한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미북 대화, 남북 관계에 대한 기대를 버리고, 전략적 이해에 따른 북중 관계 강화에 나섰다는 분석이 제기되는 가운데, 미중 갈등이 악화할수록 남북관계 개선을 추진하려는 한국의 역할도 쉽지 않을 전망인데요. 미국 대선을 앞두고 ‘미중 갈등의 악화’와 ‘북중 관계의 강화’ 등이 한반도 정세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이성현 한국 세종연구소 중국연구센터장, 김흥규 한국 아주대학교 중국정책연구소장의 견해를 들어왔습니다...

사진은 북한의 2019년 '평양 블록체인·암호화폐 회의' 웹사이트. 앵커: 미국과 한국 정부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강 상태를 예의 주시하고 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긴장하며 지켜보고 있는 또 다른 곳이 있습니다. 바로 암호화폐 업계인데요. 북한이 보유한 암호화폐가 상당하기 때문입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최근 코인텔레그래프, 비트코이너엑스 등 암호화폐 전문 온라인 매체들은 김정은 위원장의 건강 상태에 대한 무성한 추측과 소문들을 두고, 갑작스럽게 김정은이 사망하는 등 북한에서 불안정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북한 측이 암호화폐를 대량 매각할 가능성 때문에 암호화폐 업계에서 불안해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매체들은 북한이 현재 수억 달러에 달하는 가상화폐를 보유하고 있는데 한꺼번에 매각할 경우 암..

폼페이오 장관이 29일 미국 국무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강이상설과 관련해 할 말이 없다며 말을 아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29일 미국 국무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사망할 경우에 대비해 미국이 계획을 세우고 있느냐’는 질문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어제 한 말에 덧붙일 것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7일 “김정은 위원장이 어떻게 지내는지 알고 있으며, 머지 않아 알려질 것”이라고 한 데 대한 28일 추가 질문에 “그 문제에 대해 언급하고 싶지 않다, 김정은 위원장이 잘 있기를 바란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자신과 미국의 협상단, 트럼프 대통령 모두 미북협상 당시 김정은의 여동생, ..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2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 질의에 답하고 있다. 앵커: 정경두 한국 국방부 장관은 한미 정보당국이 18일째 나타나지 않고 있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관련한 북한 동향을 일 단위로 공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29일 한국 국회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선 18일째 잠행 중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행적을 둘러싼 논의가 이뤄졌습니다. 정경두 한국 국방부 장관은 이 자리에서 미국과 한국의 정보당국 간에는 물론 주한미군과도 김정은 위원장의 건강 등과 관련된 정보를 신속하게 공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정경두 한국 국방부 장관: (미국과도 김정은 위원장 건강 정보 등을 공유하고 있습니까?) 당연히 한미 정보당국은..

브루킹스연구소가 28일 주최한 화상 행사에 참석한 박정현 브루킹스연구소 한국석좌(좌)와 수미 테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선임연구원. 앵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건강 상태를 둘러싼 온갖 추측이 무성한 가운데, 미국 CIA, 즉 중앙정보국 한 전직 관리는 김정은 위원장이 조속히 공개활동을 재개하는 것이 그에게 더 이득이 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지예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CIA 전직 관리들은 북한에 대한 정보망이 최근 몇 년새 일정 부분 향상되긴 했지만, 북한은 여전히 정보를 얻기 가장 어려운 국가(the hardest of the hard target country)라고 평가했습니다. 지난 9년 동안 CIA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및 관련 정세를 담당했던 박정현 브루킹스연구소 한국석좌..

탈북민 출신인 미래통합당 태구민(태영호) 당선인은 23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강 이상설'에 따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 지도체제 가능성과 관련, 김정은 위원장의 숙부인 김평일 전 주체코 북한대사를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2007년 2월 폴란드 나레프시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개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이복동생인 김평일 당시 주 폴란드 북한 대사(오른쪽)의 산업시설 시찰 모습. 앵커: 최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강 이상설이 확산하며 여러 관측이 제기되는 가운데 이러한 소문이 사실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미국과 한국이 북한 정권의 붕괴와 같은 유사시 비상 상황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보도에 한덕인 기자입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강을 둘러싼 여러 소문이 퍼지자 급..

12일 당중앙위원회 본부청사에서 열린 노동당 정치국 회의 현장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오른손을 들고 있다. 진행에 정영입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 4월 15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할아버지인 김일성 전 주석 시신이 안치된 금수산태양궁전 참배에 불참하면서 신변이상설에 휩싸였습니다. ‘백두혈통’의 적자임을 자처해온 김정은이 금수산 기념궁전 참배를 보류할 만큼 불가피한 사정이 있었는지, 미국 CNN등 주요 외신들도 비중 있게 다루기도 했는데요, 과체중, 고도 비만의 경고음에도 불구하고 평소 담배를 즐겨 피우던 김정은 위원장의 불참에 내린 첫번째 논란은 신병이상 설이었습니다. 또 김정은 위원장이 사라지면 누가 북한 권력을 잡게 되며, 과연 북한 인민들에게 자유로운 삶이 보장되겠는지, 북한 내부 주민들도 관..

지난 16일 서울 강남갑에 출마한 미래통합당 태구민(태영호) 후보가 강남구 선거사무실에서 당선이 확실시 된 뒤 소감을 말하던 중 눈물을 흘리고 있다. 앵커: 요즘 남한의 제21대 총선에 출마해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태영호 전 영국주재 북한대사관 공사가 중국 주재 북한 무역간부들 속에서 화제의 중심이 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탈북 간부의 남한정착성공을 두고 북한 간부들이 부러움과 함께 동요하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이 밝혔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손혜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 대련(다롄)에 주재하는 북한의 한 무역간부 소식통은 19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영국 (북한)대사관에서 탈북한 태영호 공사가 지난 15일 남한에서 진행된 총선에서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소식을 인터넷으로 보았다”면서 “요즘 이 소식은 무역간부..
16일 서울 강남갑에 출마한 미래통합당 태구민(태영호) 후보가 강남구 선거사무실에서 당선이 확실시 되자 지지자와 함께 만세를 부르고 있다 앵커: 지난15일 열린 한국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태구민이라는 이름으로 출마한 태영호 전 영국주재 북한 공사 그리고 비례대표 후보로 출사표..
올해 11월에 개최되는 미국 대통령 선거가 조 바이든 전 부통령(왼쪽) 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구도로 결정됐다. 앵커: 올해 11월에 개최되는 미국 대통령 선거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조 바이든 전 부통령 간 양자 대결 구도로 치러질 전망입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
한국 총선 도전 탈북민들의 정보를 활용한 북한 해킹 시도가 포착됐다. 사진은 서울 강남갑에 출마한 미래통합당 태구민(태영호) 후보가 9일 오후 서울 강남구 논현동 일대에서 유권자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는 모습. 앵커: 북한이 제21대 한국 국회의원 선거에 나선 탈북민들과 관련..
트럼프 행정부에 대북제재 강화를 촉구하는 서한을 발송한 코리 가드너 상원의원(왼쪽)과 밥 매넨데즈 상원의원. 코리 가드너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 동아시아태평양∙국제사이버 안보정책 소위원회 위원장(공화당)과 밥 매넨데즈 미 상원 외교위원회 민주당 간사는 지난달 31일 미국 트..
빨간색 선이 북한이 주장하는 북방한계선(NLL)이며 파란색 선이 남한이 주장하는 북방한계선(NLL)이다 MC: 지난 연평도 포격 사건 때 남한군의 대응타격을 받은 북한군 병사들이 크게 혼쌀 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그래서인지 한국군과 맞서기를 꺼린다고 하는데요, 자세한 소식 최민석 기..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국립대전현충원 고 한주호 준위 묘역에서 참배하고 있다. 고 한주호 준위는 2010년 3월 천안함 피격사건 당시 희생자 탐색구조작업을 펼치다 사망했으며, 이후 충무무공훈장이 추서됐다. 앵커: 문재인 한국 대통령이 북한의 도발에 맞서 나라를 지키다 숨진 한국 군 ..
북한의 불법 환적 행위 저지를 위해 신고를 독려하는 ‘정의를 위한 보상제도’ 포스터. (영문/중문) 앵커: 미국 정부가 북한의 불법활동 제보에 최대 500만 달러의 포상금을 내걸었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국무부가 국제 테러와 관련한 정보 제공에 포상금을 지급하는 제..
2015년 완공된 평양양로원 목욕탕 앵커: 북한의 평양시민들은 대부분 국가가 운영하는 목욕탕보다 개인이 운영하는 사설목욕탕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런데 목욕탕 이용에서도 계층별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다고 현지소식통들은 밝혔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