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자유화 민주화운동 세력-탈북민 자료 (418)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한국(남한)으로 망명한 영국주재 북한 대사관 태영호 공사[대사관 내부 대외정보,선전업무](사진) 북한이 영국 주재 태영호 공사의 한국 망명이 확인된 지 사흘 만에 공식 반응을 내놓았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20일 논평을 통해 태 공사는 범죄 행위가 폭로되자 법적 처벌을 피해 가족과 ..
1997년 2월 김일성 이론면(주체 철학사전 편찬, 김일성대학교--남한 민혁당 지도이론 강철서신 내용이 대부분 주체철학사전과 정치사전 내용)에서 보좌하고 김정일 정권 운영에도 깊이 관여해온 북한 노동당 비서의 황장엽씨가 방일 후 경유지 베이징에서 망명을 요청하고 한국 대사관에 ..
가족과 함께 망명하여 한국에 입국한 것으로 알려진 영국 주재 북한 외교관이 선전을 담당하고 있는 태용호(Thae Yong Ho)라고 영국 BBC방송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영국주재 북한대사관의 고위 외교관이 최근 가족과 함께 탈북해 한국에 입국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북한 내 다양한 직업..
브라운백 미 연방 상원의원(오른쪽)이 지난 2006년 5월 북한인권법에 따라 탈북자 6명이 처음으로 난민 자격으로 미국에 입국한 데 대해 기자들에게 설명하고 있다. 브라운백 의원은 2004년 미국 의회에서 북한인권법이 채택되도록 주도적인 노력을 기울였었다. 미국에 난민 자격으로 입국..
홍콩에서 열린 제57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 참가했던 북한 남학생이 지난 16일 홍콩주재 한국총영사관에 진입해 정치적 망명을 요청했다고 현지 언론이 소식통을 인용해 29일 보도했다. 사진은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 참가한 북한 대표팀. 홍콩 '빈과일보' 캡처. 지난달 중순 홍콩주재 한..
홍콩 주재 한국 총영사관이 거주하는 건물(사진) 홍콩 주재 한국 총영사관에 들어가 보호를 받고 있는 탈북자는 18세 북한 학생으로 홍콩에서 열린 국제수학 올림피아드에 참가했다가 이탈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현지 언론이 28일 보도했다. 동망(東網)과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에 따..
중국 랴오닝(遼寧)성 둥강(東港)시에 있는 공장에서 일하던 북한 여직원 8명이 집단 탈출했다고 요미우리 신문이 29일 보도했다. 신문은 복수의 중북 관계 소식통을 인용해 이들 북한 여직원이 지난달 하순 단체로 북한 국경에 인접한 둥강시 수산물 가공공장에서 이탈해 행방이 묘연한 ..
지난 2월 북한 접경 도시 신의주에서 군인이 압록강 주변을 순찰하고 있다. 강 너머 중국 단둥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북한 해외 식당 종업원의 집단 망명에 이어 또 다른 외화벌이 일꾼과 보위부원이 가족들과 한국으로 망명하기 위해 중국 모처에 은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
한국 서울에서 탈북민 취업박람회에 참석한 탈북민들이 설명을 듣고 있다. (자료사진) 오늘 (6월 16일)은 유엔이 정한 `국제 가족 송금의 날’ 입니다. 해외 이주민들이 고국에 보내는 송금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날인데요, 탈북민들이 북한의 가족에게 송금하는 돈도 북한 주민들의 ..
The families and colleagues of the 12 North Korean waitresses spoke to media "북한정부도 지난 4월 초 중국 내 북한 식당을 집단 탈출해 국내에 들어온 여종업원 12명 정치적 망명을 인정하고 남한정부는 그들이 잘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남한사회에서 성공하여 북한 가족들에게 희망의 돈을 ..
선양 일본 총영사관 철문 안 쪽에서 두 명의 중국 공안원들에 의해 영사관 바깥쪽으로 끌려가는 어머니 이귀옥 씨(당시 29세)의 모습을 물끄러미 지켜보는 어린 김한미 양의 모습 -당시 생후 2년 4개월이었다 2002년 5월 8일 중국 선양(瀋陽) 주재 일본 총영사관에 진입을 시도하던 탈북자 5..
중국에서 탈출한 여종업원들이 태국에 체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태국 수도 방콕 시내에 있는 북한식당 '평양아리랑관'이 문을 걸어잠근 채 휴업중이다 앵커: 최근 중국 내 북한 식당에 근무하던 종업원들의 집단 탈북이 이어지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와 ..
북한 평양인민극장에서 주창혁, 최삼숙, 리승연 등 원로 악단 및 가수들이 공연하고 있다 지난 4월 7일 중국에서 집단 탈북한 12명의 북한 식당 종업원들 가운데는 북한에서 최고의 가수로 알려진 인민배우 최삼숙의 딸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25일 북한은 대남웹사이트 우리..
북한 요덕관리소 출신 탈북자 정광일 씨(왼쪽 세번째)와 미국에 정착한 탈북자 그레이스 조 씨(왼쪽 두번째)가 지난해 12월 미국 뉴욕의 유엔 본부에서 북한인권 상황에 관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자료사진) 미국의 북한인권법에 근거해 탈북자들이 난민 자격으로 미국에 정착하기 시..
중국 내 북한 식당 종업원 13명의 집단 탈출과 관련해, 같은 식당에서 일했던 여종업원들이 평양에서 미국 CNN방송과 인터뷰를 가졌다. CNN방송 영상 캡처. (자료사진) 북한의 조선적십자회는 22일 리충복 위원장 명의로 대한적십자사 김성주 총재에게 집단 탈북한 여종업원 가족들을 판문..
중국 저장성 닝보의 류경식당 종업원 13명이 집단 탈출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중국의 인터넷 사이트인 다중뎬핑에 게재된 류경식당 모습. (자료사진) 중국에 있는 북한 식당에서 일하다가 망명한 종업원 13명은 평양에 있는 류경호텔 관련 기관 소속으로 노동당과 행정기관 간부의 자..
반미세력이 북한정부 전쟁노선(NLPDR, 북한 군부) 하부세력으로 남북긴장과 세습제를 정당화하고 있다. 민주전선 내부 민주사회주의(진보) 세력이 북한정부 국가사회주의 전쟁노선(NLPDR, 북한 군부)에 추종하는 세력이 되지 말아야 한다 반미세력은 북한정부 이중대나 북한정부 세력으로 ..
북한에서 '대남 공작관(官)'을 지낸 정찰총국 출신의 인민군 대좌(한국군 준장과 대령 사이 계급)가 2014년 말 탈북해 한국에 망명한 것으로 11일 확인됐다. 공작관은 대남 공작원들을 관리하는 관리직이다. 이 대좌를 포함해 북한 당(黨)·정(政)·군(軍)의 핵심 간부 중 최근 2년간 귀순한 ..
지난 2월 북한 접경 도시 신의주에서 군인이 압록강 주변을 순찰하고 있다. 강 너머 중국 단둥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북한 해외 식당 종업원의 집단 망명에 이어 또 다른 외화벌이 일꾼과 보위부원이 가족들과 한국으로 망명하기 위해 중국 모처에 은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
지난해 10월 북한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열린 노동당 창건 70주년 열병식에서 북한 군인들이 행진하고 있다. (자료사진) 북한의 대남공작을 총괄하는 정찰총국 출신의 북한 군 대좌가 지난해 한국으로 망명했다고 한국 정부 관계자들이 밝혔습니다. 정찰총국 간부의 망명은 여느 다른 북..
국제탈북민 연대 로고(사진) 올해 들어 연이은 북한정권의 핵실험과 미사일 실험으로 인해 국제사회가 분노로 변했습니다. 지난 1월 6일 북한의 수소탄 실험과 2월 7일 미사일 발사 실험은 군비 확장을 위해서는 막대한 달러를 퍼부으면서도 경제난에 쪼들리는 북한주민들에 대해서는 아..
북한 해외식당에서 근무하는 종업원 13명이 집단 탈출해 7일 한국에 입국했다. 해외식당에서 공연하는 북한 종업원들. (자료사진) 북한 해외 식당에서 근무하던 종업원 13 명이 집단 탈출해 한국에 입국했습니다. 해외에 체류하던 북한 사람들이 개별적으로 탈북한 사례는 있지만 집단 탈..
북한 해외식당 종업원의 집단 탈출이 발생한 가운데, 태국 방콕 시내에 있는 북한식당 '평양아리랑관'이 한 달째 내부 수리를 이유로 문을 닫고 있다(연합뉴스) 한이 운영하는 해외 식당에 파견돼 근무하던 종업원 13명이 집단 탈출해 귀순했다. 통일부 정준희 대변인은 8일 긴급 브리핑을..
북한 핵무기 피해 당사국은 한국과 중국(동북 3성, 만주), 러시아(연해주 등 러시아극동연방관구) 등이다 북한 김정은정부는 극단적 민족주의(국가사회주의, 자주노선) 노선 제3공화국 세습제 좌익군정(국방위원회) 김정일헌법 권력이다 자주노선은 반미노선이지만 국가사회주의 이론으..
북한정부 권력변경 모델은 수평적 권력교체:인민 의회정부론(중국 모델, 사회정부)과 수직적 권력교체:자유민주정부론(자유선거와 민주정부)이 있습니다 중국이나 러시아정부는 수평적 권력교체:인민 의회정부론(중국 모델, 사회정부)을 원하고 있으며 5개국도 중,러 입장을 존중하는 ..
지난 3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 회의장 모습. (자료사진) 국제 인권단체인 휴먼 라이츠 워치가 탈북 난민 문제와 관련해 중국 정부를 압박할 것을 유엔에 촉구했습니다. 이 단체는 21일 납북자 관련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휴먼 라이츠 워치는 18일 유엔 인권이사회 회원..
지난 2011년 12월 판문점 인근 군사분계선 이남 지역에서 바라본 북한 초소. 북한 군인들이 남측을 바라보고 있다. (자료사진) 지난 2010년 이후 최근까지 약 5년 동안 육상의 군사분계선과 해상의 북방한계선을 넘어 한국으로 망명한 북한 주민은 모두 65 명으로 집계됐다고 한국의 집권 새..
2012년 10월 한국 김포시의 한 야산에서 탈북자 단체 소속 회원들이 대북 전단 20만장을 북쪽을 향해 뛰워보냈다.(자료사진) 한국의 보수단체 남북대학생총연합이 31일 북한 권력층을 비판하는 내용의 전단 1만장을 풍선에 매달아 북한으로 날려보냈습니다. 한국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 단..
남북 국방장관회담에서 북측 차석대표로 참석했던 고위 장성이 탈북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채널A는 4일 "2000년 1차 남북 국방장관회담 때 북측 차석대표로 제주도에 왔던 박승원 북한 인민군 상장이 러시아 모스크바의 제3국 대사관을 통해 망명했다"고 보도했다. 채널A는 "박 상장은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