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對南공작 핵심 지휘관인 정찰총국 대좌, 딸과 망명 본문
북한에서 '대남 공작관(官)'을 지낸 정찰총국 출신의 인민군 대좌(한국군 준장과 대령 사이 계급)가 2014년 말 탈북해 한국에 망명한 것으로 11일 확인됐다. 공작관은 대남 공작원들을 관리하는 관리직이다. 이 대좌를 포함해 북한 당(黨)·정(政)·군(軍)의 핵심 간부 중 최근 2년간 귀순한 인사가 2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복수의 대북 소식통은 이날 "정찰총국에서 실제 대남 공작을 지휘했던 '공작관'이 딸을 데리고 중국을 통해 탈북했다"고 말했다. 이 정찰총국 대좌는 평양에서 대남 공작을 담당하다가 해외(중국) 파견관으로 나왔으며, 마침 평양의 딸이 중국으로 유학 나온 기회를 이용해 함께 망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북 소식통은 "이 대좌는 변덕스러운 김정은 밑에서 일하다가 언제 목숨을 잃을지 모른다는 위기감 때문에 망명을 결심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정찰총국은 북한 국방위원회 직속 기관으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에게 직보하는 북한군 핵심 조직이다. 이 때문에 정찰총국 대좌는 일반 부대의 장성(將星)에 해당하는 대우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 북한군 출신 탈북자 중 최고위급이다. 정보 소식통은 "이 대좌는 2014년 이전 정찰총국의 대남 공작 업무에 대해 상세히 진술한 것으로 안다"고 했다.
이와 함께 2013년 말 장성택 처형 이후 당·정·군 핵심 인사들의 망명이 잇따르고 있다. 이 중에는 김정은 일가의 비자금 창구인 노동당 39호실 산하 대성은행 아프리카지점장,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대표, 중국·홍콩 지역 책임자급 등이 포함돼 있다. 이들은 300만~500만달러의 현금을 들고 탈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인민군 총정치국 소속으로 외화벌이를 위해 중국에 나왔던 중령급 간부와 대남 부서인 통일전선부 산하 외화벌이 간부도 지난해 망명했다. 동남아·아프리카 주재 외교관들도 지난해 국내에 입국했다. 외교관 일부는 가족과 함께 망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소식통은 "이들은 숙청 등 신변 위협 때문에 한국행을 선택했다고 진술했다"며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일반 탈북자 수는 감소했지만 엘리트층의 탈북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선일보)
*탈북자의 법적용어는 ‘북한이탈주민’이다.
1997년 제정된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탈북자(북한이탈주민)‘란 북한에 주소·직계가족·배우자·직장 등을 두고 있는 자로서 북한을 벗어난 후 외국의 국적을 취득하지 아니한 자를 말한다.
북한이탈주민들의 국내 입국 추세는 1993년까지는 연평균 10여명 내외였으나, 김일성이 사망한 1994년도를 기점으로 연간 50여명 정도로 증가하다 1999년에는 148명, 2000년에는 312명, 2001년엔 583명, 2002년 1111명, 2003년 1175명으로 급증하였다
*정찰총국
대남 공작 총괄부서인 정찰총국은 2009년 2월 김정일이 당과 군에 흩어져 있던 대남 공작기구들을 통폐합해 국방위원회 산하로 옮기면서 신설된 조직이다. 정찰총국은 창설 이래 지난 2년6개월 동안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황장엽 전 비서 암살단 파견, 농협 전산망 공격 등 크고 작은 대남 도발을 기획·실행해왔다. 정찰총국 출범에 따라 과거 대남공작을 주도했던 노동당에는 통일전선부만 남게 됐다.
.
'자유화 민주화운동 세력-탈북민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단 망명 북한 종업원들, 류경호텔 측 소속" (0) | 2016.04.12 |
---|---|
반미세력이 북한정부 전쟁노선(NLPDR, 북한 군부) 하부세력으로 남북긴장과 세습제를 정당화 하고 있다 (0) | 2016.04.12 |
"북한 무역일꾼, 보위부원도 가족과 함께 탈북" (0) | 2016.04.12 |
한국 국방부 "북한 정찰총국 대좌 한국 망명" (0) | 2016.04.11 |
국제탈북민 연대, 북 정권교체촉구 (0) | 2016.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