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젤렌스키, 'NATO 가입 대가로 대통령직 사임 가능' 본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 3주년을 앞둔 지난 23일(현지시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자국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 및 평화를 이룰 수 있다면 자신은 대통령직을 "포기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기자회견 답변 중 "내가 이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면 그럴 준비가 되어 있다. 또한 우크라이나의 NATO 가입과도 맞바꿀 수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주 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그를 향해 "선거 없는 독재자"라고 비난한 뒤 나온 발언이다.
23일 젤렌스키 대통령은 "나는 (그 발언에) 불쾌하지 않았으나, 독재자라면 불쾌할 것"이라고 반응했다.
2019년 5월 민주적 선거로 선출된 젤렌스키 대통령은 자신은 현재 우크라이나의 안보에 집중하고 있으며, 10년 동안 대통령직을 유지하는 것은 자신의 "꿈"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우크라이나의 법상 2022년 2월 러시아의 전면적인 침공 이후 내려진 계엄령 기간에는 선거를 치를 수 없다.
한편 유럽연합(EU)과 세계 지도자들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고 안보 보장을 논의하고자 24일 키이우로 향할 예정이다.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 안토니우 코스타 EU 이사회 의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회 위원장 등이 직접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해당 회담에서 우크라이나의 NATO 가입 문제가 "안건으로 다루어질" 예정이긴 하나, 논의가 어떻게 "마무리"될지는 자신도 알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회담이 "전환점"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과 관련해서는 자신은 이 미국 대통령을 단순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 중재자보다는 우크라이나의 파트너로 보고 싶다고 언급했다.
이번 기자회견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은 "나는 진심으로 단순한 중재 그 이상이길 … 바란다.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말했다. 유럽 지도자들이 전쟁 종식 회담에서의 우크라이나 배제를 우려하는 가운데 나온 발언이다.
한편 기자회견 중에는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우크라이나의 희토류 광물 거래에 대한 질문도 이어졌다.
이에 대해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리는 진전을 이루고 있다"면서 우크라이나와 미국 관리들이 해당 거래와 관련해 연락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우크라이나 지도자는 "우리는 나눌 준비가 되어 있다"면서도 미국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이 전쟁을 끝내도록" 확실히 하는 게 먼저라고 강조했다.
우크라이나 관리들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의 이번 기자회견이 열리기 몇 시간 전, 러시아는 이번 전쟁 발발 이후 단일 공격으로는 최대 규모의 드론 공격을 감행했다.
유리 이그나트 우크라이나 공군 대변인은 22일 밤 러시아 드론 267기가가 우크라이나를 향해 단일된, 조직적인 공격을 감행하는 "기록"적인 사건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현지 긴급 구조 당국에 따르면 13개 지역이 표적이 되었으며, 다수의 드론이 요격되었으나 기반 시설이 일부 파괴되었으며, 최소 3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우크라이나 공군은 총 138기가 격추되었으며, 미끼 드론 119대도 전파 방해로 인해 별다른 피해 없이 추락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세로 우크라이나에는 6시간 동안 공습경보가 발령되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성명을 통해 이번 주 기준 러시아가 드론 총 1150개, 폭탄 1400개, 미사일 35개를 발사했다고 주장했다.
22일 밤 발생한 러시아의 공세에 대응한 자국의 긴급 구조 서비스 당국에 감사를 표한 그는 "지속적이고 정의로운 평화"를 위한 유럽과 미국의 지원을 촉구했다.
올레나 젤렌스카 영부인은 X에 "드론 수백 대"가 밤새 "죽음과 파괴"를 가져왔다고 적었다.
"폭발이 일어나고, 집과 자동차가 불타고, 기반 시설이 파괴되는 또 다른 밤"이었다는 젤렌스카는 "사람들이 사랑하는 이들의 생존을 위해 기도하던 도 다른 밤"이였다고 덧붙였다.

24일이면 우크라이나 전쟁도 3년째에 접어든다.
현재 종전에 대한 우크라이나, 유럽 동맹국, 미국의 비전이 서로 엇갈리면서 잠재적인 평화 협정을 둘러싼 외교적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이번 주 미국과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포함한 유럽 대표단 없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예비회담을 진행했으며, 이에 대응해 유럽 지도자들은 프랑스 파리에서 급히 모여 의논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가 지배하는 "허위 정보의 공간 속에 살고 있다"며 자국이 미-러 회담에서 배제된 상황을 비난했으며,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는 "독재자"라며 대응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24일에,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27일에 워싱턴을 방문할 예정이다.
영국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철통같은 지원"을 거듭 강조하는 등 젤렌스키 대통령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스타머 경은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우크라이나 주권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호흡기 질환으로 입원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23일 성명을 통해 전쟁 3주년은 "인류 전체에 고통스럽고 부끄러운 날"이라고 말했다.
젤렌스키, NATO 가입 위해서라면 '대통령직 사임 가능' - BBC News 코리아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자국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 가입할 수 있다면 자신은 대통령직에서 물러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www.bbc.com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에서 우크라이나측은 현재 러시아 점령지를 인정하는 입장에서 우크라이나정부가 유럽연합과 나토 가입을 미국이나 러시아정부가 인정해주기를 원하는 방법에서 정전협정을 체결하기를 원하고 있으며, 러시아정부는 현재 러시아 점렴지를 인정하고 우크라이나정부의 유럽연합 가입을 인정하고 나토 가입은 반대하는 입장에서 유엔평화유지군 배치로 정전협상을 체결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머리소리함 Guide Ear는 70대 푸틴 대통령의 나이로 볼때 러시아에서 푸틴정부의 집권 기간은 10년 이내로 예측하고 있으며 그 이후 러시아정부의 국정은 예측 불가능합니다

-우크라이나의 국가원수이다. 직접 선거와 결선투표로 선출된다. 임기는 5년이며 1회에 한해 연임할 수 있다
우크라이나는 이원집정부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대통령은 군통수권, 법률안 거부권, 의회 해산 등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또한 우크라이나 헌법재판소 재판관 18명 중 6명을 임명할 수 있다. 산하 직속기관으로 우크라이나 대통령실이 있으며 우크라이나 보안국이 있다
우크라이나 법상 대통령은 당적을 보유할 수 없다.
다만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에서 법안이 3분의 2 이상의 찬성을 받고 통과되면 거부권을 행사할 수 없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법적으로 당적 보유가 금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의 정당 표기는 선거 당시 혹은 선거 직전의 소속 당적이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임기는 2024년 5월20일짜로 종료 되었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침략전쟁 계엄령으로 지금까지 임기가 연장되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날 선거로 인해 보장받은 임기가 끝났다. 하지만 그는 유임해 러시아와 전쟁을 계속 지휘해 나갈 전망이다. 계엄령이 발효 중인 우크라이나는 선거를 금지하고 있어 후임자를 선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가 침공한 2022년 2월 계엄령과 총동원령을 발동해 계속 연장하고 있다. 가장 최근은 지난 10일로, 오는 8월11일까지 90일 더 연장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3월31일 치렀어야 하는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는 현재 무기한 연기된 상태다. 루슬란 스테판추크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의회) 의장은 "계엄령 해제 뒤 60일 안에 차기 대통령 선거를 치를 것"이라고 예고했다.
우크라이나 헌법 제108조가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새로 선출된 대통령이 취임할 때까지 자신의 권한을 행사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어 젤렌스키 대통령의 유임에 법적 문제는 없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반면 러시아는 젤렌스키 대통령의 대의적 정당성이 부재하다며 집중적으로 공격하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5월20일 뒤로 젤렌스키 대통령의 정당성 문제는 우크라이나의 정치적, 법적 제도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은 "(젤렌스키 대통령은)전직 우크라이나 가짜 대통령"이라며 "젤렌스키 대통령은 선거가 무효가 된 뒤 사실상 권력을 장악했다. 그는 헌법에 침을 뱉고 헌법재판소를 무시했으며, 임기를 연장하지 않고도 최고 권력을 찬탈했다"고 정당성 문제를 꺼내 들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크렘린궁 대변인은 "우크라이나 내부를 포함해 많은 사람이 (젤렌스키 대통령의) 적격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순간이 곧 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머리소리함 Guide Ear 의견으로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께서 차기 대선에는 불출마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계엄령으로 현직 대통령의 임기 연장이 1년 이상 될때는 2기 대통령 선거에 불출마하는 것이 국제적 관례이다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정전협상)과 함께 후계자에게 권력을 인계하는 것이 우크라이나 발전에 큰 도움이 될것으로 본다
'흑해 주변국 > 우크라이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종전 ‘5대 핵심조건’ 제시 (0) | 2025.02.25 |
---|---|
우크라이나에 매장된 희토류는 무엇이며, 트럼프가 원하는 이유는? (0) | 2025.02.25 |
우크라이나 "북한군 포로, 한국행 가능"... 현실화될까? (0) | 2025.02.22 |
전쟁 중인 나라에서의 '평범한' 일상 (0) | 2025.02.22 |
미국 특사-우크라 대통령 회동…미 “광물 협상 복귀해야” (0)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