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일본, 차세대 원자로 개발 검토 본문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24일 차세대 원자로 개발을 검토하라고 지시했습니다.
기시다 총리는 이날 환경 관련 정부 회의에서 “차세대 혁신 원자로의 개발·건설 등 정치 판단을 필요로 하는 항목이 제시되었다”며 “여러 방안에 대해 연말에 구체적 결론을 낼 수 있도록 검토를 해달라”고 말했습니다.
기시다 총리는 현재 에너지 공급 위기가 임박해 있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선 안정적인 에너지 수급이 중요성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어떤 긴급 상황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옵션을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기시다 총리의 이번 발언은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에너지 부족 현상이 심각해지면서 기존 입장을 바꾼 것입니다.
앞서 일본 정부는 지난 2011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이후 추가 원전을 건설하거나 노후한 원자로를 대체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현재 일본에는 총 33기의 원자로가 있으나 가동중인 원자로는 6기에 불과합니다.
VOA 뉴스
일본정부, 원전 7기 추가로 재가동하고 차세대 원자로 개발 검토하기로
일본정부는 전력 수급이 어려운 상황과 에너지 안전 보장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 여름 이후 원전 7기를 추가로 재가동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방침을 24일 열린 탈탄소사회 실현을 위한 회의에서 확인했습니다. 또한, 중장기적으로는 차세대 원자로 개발과 건설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일본정부는 24일 수상관저에서, 기시다 수상과 니시무라 경제산업상, 일본경제단체연합회의 도쿠라 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GX, 그린 트랜스포메이션 실행회의’를 열었습니다.
이 회의에서는 전력 수급이 어려운 상황과 에너지 안전보장에 대응하기 위해, 지금까지 재가동한 원자력발전소 10기에 더해, 내년 여름 이후, 니가타현의 도쿄전력 가시와자키 가리와 원전 6호기와 7호기 등, 추가로 7기의 재가동을 목표로 한다는 방침을 확인했습니다.
재가동을 위해서는 현지의 이해를 얻기 위해 정부가 전면에 나서고, 안전 확보를 위한 공사를 실시하도록 사업자에게 촉구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중장기적으로는 현재 최대 60년까지 가능한 원전의 가동기간을 연장하는 것과, 지금보다 안전성과 경제성이 높은 차세대 원자로 개발과 건설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Guide Ear&Bird's Eye24 > 일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황, 엘리자베스 여왕 서거에 애도 표명 (0) | 2022.09.10 |
---|---|
기시다 수상 "'아프리카의 뿔' 민주주의 정착 위해 담당특사 임명하겠다" (0) | 2022.08.29 |
기시다 개조 내각 코로나19, 치솟는 물가 대책 최우선 (0) | 2022.08.11 |
나라 도다이절 불상 '오미누구이' 행사 3년 만에 열려 (0) | 2022.08.08 |
펠로시 미 하원의장, 기시다 일본 총리 면담...타이완 문제 등 논의 (0) | 2022.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