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GPS 위치 오차 1m이내로’…항공위성 1호기 발사 성공 본문
‘GPS 위치 오차 1m이내로’…항공위성 1호기 발사 성공
CIA Bear 허관(許灌) 2022. 6. 26. 15:37위치 오차를 1m 이내로 보정해 주는 ‘한국형 항공위성서비스(KASS)’ 운용을 위한 항공위성 1호기가 23일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항공위성 1호기는 이날 오전 6시 50분경(한국시간) 남미 기아나 쿠루 우주센터에서 발사돼 위성보호덮개(페어링) 분리, 1단 로켓 분리 등의 과정을 거쳐 발사후 약 28분 후인 오전 7시 18분경 성공적으로 분리돼 최종적으로 발사에 성공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상적으로 분리된 항공위성 1호기는 약 12일 후 정지궤도(약 3만 6000km)로 이동할 예정이다.
항공위성이 궤도에 안착하면 신호 시험 등을 거쳐 내년부터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하게 된다.
한국형 항공위성서비스(Korea Augmentation Satellite System, KASS)는 GPS의 오차를 줄여 위성에서 위치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국제표준 위성항법보정시스템이다.
항공위성 및 지상 기준국·중앙처리국 등 시설을 통해 GPS 오차를 기존 15~33m에서 1~1.6m로 보정해 정밀하고 신뢰도 높은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부는 내비게이션, 드론,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UAM) 등 미래 모빌리티 위치기반서비스 산업에 더욱 정밀하고 신뢰도 높은 위치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날 대전에 위치한 항공우주연구원 위성관제실을 찾아 항공위성 1호기 발사 생중계 상황을 직접 참관하고 연구진 등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현장에서는 KASS 기술개발에 참여한 연구진과 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항공위성 과학 기술인 간담회’도 열렸다.
항공위성 서비스 개발을 담당해 온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및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연구진과 KTsat 담당자는 “KASS 개발과정에서 많은 노하우를 축적했고, 향후 천리안3호와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사업 등으로 2035년까지 항공위성 3·4·5호기를 개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연구진은 “무선증폭기, 발진기 등 위성 탑재체 핵심부품의 외국기술 의존도가 높아 핵심 기술의 국산화가 시급하다”며 “항공위성 3호기부터는 우리 기술로 개발할 계획인 만큼 기술개발을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사업을 추진 중인 한화시스템과 내비게이션 맵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티맵모빌리티 등의 관계자도 참석해 KASS 서비스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낸 것으로 전해졌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위치정보는 무역·산업·지적 등 인류 삶의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다”며 “항공위성 1호기 발사 성공으로 국민들께 정확한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앞으로도 KPS의 성공적인 개발 등을 위해 관계부처, 연구원, 민간기업 등과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의: 국토교통부 공항정책관 항행시설과 044-201-4357
"GPS 오차 1m 이내로"…항공위성 1호기 발사 성공
위치 오차를 최대 1m 이내로 보정해 주는 '한국형 항공위성서비스(KASS)' 운용을 위한 항공위성 1호기가 오늘(23일) 성공적으로 발사됐습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항공위성 1호기는 오늘 오전 6시 50분쯤(한국시간) 남미 기아나(프랑스령) 쿠루 우주센터에서 발사돼 위성보호덮개(페어링) 분리, 1단 로켓 분리 등의 과정을 거쳐 발사후 약 28분 후인 오전 7시 18분쯤 성공적으로 분리돼 발사에 최종 성공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정상적으로 분리된 항공위성 1호기는 약 12일 후 정지궤도(약 3만6천㎞)로 이동할 예정입니다.
위성이 궤도에 안착하면 신호 시험 등을 거쳐 2023년부터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우리나라가 개발한 KASS는 현재 15∼33m 수준인 위치정보시스템(GPS)의 위치 오차를 1.0∼1.6m 수준으로 실시간 보정해 정확한 위치정보를 위성으로 제공하는 국제표준 위성항법보정시스템으로, 세계 7번째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 공식 등재됐습니다.
기존 GPS는 전리층 오차(전파가 전리층을 통과할 때 굴절되면서 발생하는 오차) 등으로 오차가 발생하는데 KASS는 항공위성과 지상 기준국·중앙처리국 등의 시설을 통해 오차를 크게 보정해줍니다.
항공위성 1호기는 말레이시아의 미아샛 통신·방송용 위성을 15년간 임차한 것으로, 항공위성 서비스를 위한 중계기가 탑재됐습니다.
에어버스가 제작했고, 무게는 5.7t(톤)입니다.
우리나라 상공에 떠 있는 위성이기 때문에 24시간, 전국 어디에서나, 누구나, 무료로 신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국토부는 내비게이션, 드론,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UAM) 등 미래 모빌리티 위치기반서비스 산업에 더욱 정밀하고 신뢰도 높은 위치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항공기에 정밀한 위치정보를 제공해 항공 교통량을 늘리고 항공 안전을 도모하고자 2014년부터 KASS 구축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총사업비 1천280억 원을 연구개발(R&D)에 투자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주관으로 전국에 7개의 기준국, 2개의 위성통신국, 2개의 통합운영국 등 지상 인프라를 구축했습니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오늘 대전 항공우주연구원 위성관제실을 찾아 항공위성 1호기 발사 생중계 상황을 직접 참관하고 연구진 등 관계자를 격려했습니다.
현장에서는 KASS 기술개발에 참여한 연구진과 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항공위성 과학 기술인 간담회'도 열렸습니다.
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연구진과 ㈜KTsat 담당자는 "KASS 개발과정에서 많은 노하우를 축적했다"며 "향후 천리안3호와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등으로 2035년까지 항공위성 3·4·5호기를 개발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연구진은 현재 무선증폭기, 발진기 등 위성 탑재체 핵심 부품의 외국 기술 의존도가 높아 핵심 기술의 국산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항공위성 3호기부터는 우리 기술로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GPS 오차 1m 이내로"…항공위성 1호기 발사 성공 | SBS 뉴스
“GPS 오차 1m 이내로”…항공위성 1호기 발사 성공
위치 오차를 최대 1m 이내로 보정해 주는 '한국형 항공위성서비스' 운용을 위한 항공위성 1호기가 오늘 성공적으로 발사됐습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항공위성 1호기는 오늘 오전 6시 50분쯤
news.sbs.co.kr
"GPS 오차 1m 이내로"…항공위성 1호기 발사 성공
한반도 상공에 24시간 떠 있는 위성…내년부터 고정밀 항공위성서비스 제공
위치 오차를 최대 1m 이내로 보정해 주는 '한국형 항공위성서비스(KASS)' 운용을 위한 항공위성 1호기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2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항공위성 1호기는 이날 오전 6시 50분께(한국시간) 남미 기아나(프랑스령) 쿠루 우주센터에서 발사돼 위성보호덮개(페어링) 분리, 1단 로켓 분리 등의 과정을 거쳐 발사후 약 28분 후인 오전 7시 18분께 성공적으로 분리돼 발사에 최종 성공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상적으로 분리된 항공위성 1호기는 약 12일 후 정지궤도(약 3만6천㎞)로 이동할 예정이다.
위성이 궤도에 안착하면 신호 시험 등을 거쳐 2023년부터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한다.
우리나라가 개발한 KASS는 현재 15∼33m 수준인 위치정보시스템(GPS)의 위치 오차를 1.0∼1.6m 수준으로 실시간 보정해 정확한 위치정보를 위성으로 제공하는 국제표준 위성항법보정시스템으로, 세계 7번째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 공식 등재됐다.
기존 GPS는 전리층 오차(전파가 전리층을 통과할 때 굴절되면서 발생하는 오차) 등으로 오차가 발생하는데 KASS는 항공위성과 지상 기준국·중앙처리국 등의 시설을 통해 오차를 크게 보정해준다.
항공위성 1호기는 말레이시아의 미아샛 통신·방송용 위성을 15년간 임차한 것으로, 항공위성 서비스를 위한 중계기가 탑재됐다. 에어버스가 제작했고, 무게는 5.7t(톤)이다.
우리나라 상공에 떠 있는 위성이기 때문에 24시간, 전국 어디에서나, 누구나, 무료로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국토부는 내비게이션, 드론,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UAM) 등 미래 모빌리티 위치기반서비스 산업에 더욱 정밀하고 신뢰도 높은 위치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항공기에 정밀한 위치정보를 제공해 항공 교통량을 늘리고 항공 안전을 도모하고자 2014년부터 KASS 구축 사업을 추진 중이다.
총사업비 1천280억원을 연구개발(R&D)에 투자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주관으로 전국에 7개의 기준국, 2개의 위성통신국, 2개의 통합운영국 등 지상 인프라를 구축했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이날 대전 항공우주연구원 위성관제실을 찾아 항공위성 1호기 발사 생중계 상황을 직접 참관하고 연구진 등 관계자를 격려했다.
현장에서는 KASS 기술개발에 참여한 연구진과 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항공위성 과학 기술인 간담회'도 열렸다.
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연구진과 ㈜KTsat 담당자는 "KASS 개발과정에서 많은 노하우를 축적했다"며 "향후 천리안3호와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등으로 2035년까지 항공위성 3·4·5호기를 개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한 연구진은 현재 무선증폭기, 발진기 등 위성 탑재체 핵심 부품의 외국 기술 의존도가 높아 핵심 기술의 국산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항공위성 3호기부터는 우리 기술로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사업을 추진 중인 한화시스템㈜과 내비게이션 맵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티맵모빌리티㈜ 등의 관계자가 참석해 KASS 서비스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낸 것으로 전해졌다.
원 장관은 "위치정보는 무역, 산업, 지적 등 인류 삶의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다"며 "항공위성 1호기 발사 성공으로 국민들께 정확한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앞으로도 KPS의 성공적인 개발 등 발전을 위해 관계부처, 기업 등과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GPS 오차 1m 이내로"…항공위성 1호기 발사 성공 - 국회뉴스 (a-news.co.kr)
"GPS 오차 1m 이내로"…항공위성 1호기 발사 성공 - 국회뉴스
위치 오차를 최대 1m 이내로 보정해 주는 '한국형 항공위성서비스(KASS)' 운용을 위한 항공위성 1호기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www.a-news.co.kr
'Guide Ear&Bird's Eye21 > 대한[Korea(KOR),大韓]' 카테고리의 다른 글
韓国大統領夫人「外交デビュー」 NATO加盟国の首脳夫人らと交流 (0) | 2022.07.03 |
---|---|
면역은 줄고 활동은 늘고... 고개드는 '코로나19'? (0) | 2022.06.29 |
尹대통령 "평화는 굴복해 얻는것 아냐…강력한 힘으로 지켜야" (0) | 2022.06.25 |
경찰국: 31년 만에 부활 눈앞에…왜 논란일까 (0) | 2022.06.22 |
한국 정부, ‘징용’ 문제 해결 위한 민관 협력기구 이달 출범 (0) | 2022.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