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세계 난민의 날: 이주자, 이민자, 망명 신청자 그리고 난민, 각 용어의 차이는? 본문
세계 난민의 날: 이주자, 이민자, 망명 신청자 그리고 난민, 각 용어의 차이는?
CIA Bear 허관(許灌) 2022. 6. 15. 19:15지난 20년 동안 국경을 넘는 사람들이 기록적인 수준에 도달했다. 유엔(UN)은 출신국을 떠나 외국에 거주하는 사람의 숫자가 2000년 1억7300만명에서 2020년 2억8100만 명으로 늘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 세계 인구의 3.6% 정도 되는 규모다.
하지만 외국으로 이동하는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할 때면 혼란스러울 때가 있다.
이주자, 난민, 이민자, 망명 신청자 등 각기 다른 용어를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이들을 정확히 설명하는 용어가 존재할까.
영국 서식스 대학교 이민센터의 샬럿 테일러 부교수는 미디어가 국경을 넘는 사람들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언어에 관해 연구한다.
테일러 박사의 도움을 받아 이러한 용어의 뜻을 살펴본다.
이주민

먼저 가장 자주 사용하는 용어는 '이주자(Migrant)'일 것이다.
'이주자'란 일자리나 더 나은 생활 조건 등을 위해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사람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영국에 사는 어떤 사람이 올여름 몇 달간 스페인에서 일하기 위해 건너간다면, '이주자'로 부를 수 있다.
테일러 박사는 "'이주자'란 용어는 현재 비교적 논란의 여지가 적지만, 그렇다고 해서 언제나 안전한 용어는 아니다"고 말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용어의 의미는) 변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치적 이주에 관해선 조금 까다로울 수 밖에 없다.
정치적 이주자란 아프가니스탄 탈레반과 같은 특정 정권을 피해 이동하는 사람들을 뜻할 수 있다.
한편 테일러 박사는 "이민 물결, 흐름, 몰려든다" 등 이주민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하는 표현들에 우려를 표했다.
이러한 표현들로 인해 이민자를 받은 국가 내에서 이들을 "사람이 아닌 물건"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민자

'이민자(Immigrant)'는 외국에서 영구적으로 살게 된 사람을 가리킨다. 강압으로 쫓겨나는 경우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닌, 개인의 선택일 수 있다.
그러나 이민을 선택한 이유가 아무리 타당하다 하더라도, 불법 이민자와 합법적인 이민자 사이엔 큰 차이가 있다.
합법적인 이민자들은 정당한 서류 승인 절차를 통해 거주 허가를 받았지만, 불법 이민자들은 그렇지 않다.
한편 테일러 박사는 언론이 자국민이 다른 나라로 떠나는 '이민(Emigration)'보다 외국으로부터의 '이민(Immigration)'을 더 자주 다룬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이 두 이민은 정말 별개인 것처럼 느껴지게 됩니다. 사람들은 이 두 이민 사이의 유사점을 보지 못합니다."
난민

난민(Refugee)'은 전쟁, 박해 또는 자연 재해를 피해 출신국을 떠나올 수밖에 없었던 사람들을 가리킨다.
"난민은 그 지위가 매우 다르다"는 게 테일러 박사의 설명이다.
"누군가를 난민으로 인정하는 순간 이들에게 특정한 권리가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난민은 자신들의 통제권을 벗어난 상황에 놓이면서 궁지에 몰린 사람들입니다."
망명 신청자

'망명 신청자(Asylum seeker)'란 타국에서 국제적 비호를 요청한 사람들을 뜻하지만, 앞서 설명한 모든 용어를 합친 것일 수도 있다.
여기엔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육지나 해상에서 목숨을 거는 사람들이 포함된다.
이러한 사람들을 가리킬 때 '망명 신청자'라는 용어가 가장 편안하게 느껴진다는 게 테일러 박사의 설명이다.
"누군가가 망명을 원한다는 뜻은, 말 그대로 망명을 원한다는 뜻이니까요."
그러나 몇몇 국가의 정치인과 언론인들은 일부 망명 신청자들의 합법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해왔다.
"망명 신청을 진짜와 가짜로 구분하는 모습에 굉장히 놀랐습니다. 사람들의 망명 신청은 물론 거절당할 수 있지만, 망명을 원한다는 사실 자체는 사실이니까요."
세계 난민의 날: 이주자, 이민자, 망명 신청자 그리고 난민, 각 용어의 차이는? - BBC News 코리아
이주자, 이민자, 망명 신청자 그리고 난민, 각 용어의 차이는? - BBC News 코리아
지난 20년 동안 국경을 넘는 사람들이 기록적인 수준에 도달했다.
www.bbc.com
'Guide Ear&Bird's Eye59 > 영국 B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 AI 음성 비서가 성차별적이라 하는 이유 (0) | 2022.06.19 |
---|---|
디지털 노마드 가족이 온다 (0) | 2022.06.19 |
BTS, 당분간 그룹 아닌 솔로로... 팬들 '기다릴게' (0) | 2022.06.15 |
인플레이션: 직장인도 취약계층도…요즘, 밥 먹기가 두렵다 (0) | 2022.06.14 |
BTS 새 앨범 '프루프', 발매 첫날 더블 밀리언셀러 등극 (0) | 2022.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