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미국, 베이징 동계올림픽 '정치적 보이콧' 공식화...한국의 선택은? 본문
미국, 베이징 동계올림픽 '정치적 보이콧' 공식화...한국의 선택은?
CIA Bear 허관(許灌) 2021. 12. 8. 17:47미국이 내년 2월 중국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공식화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6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바이든 정부는 중국의 지속적인 신장 위구르 소수민족 학살과 반인도 범죄 등을 감안해 베이징 올림픽과 패럴림픽에 어떤 외교적, 공식적 대표단도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외교적 보이콧이란, 선수단은 파견하되 개회식과 폐회식 등 행사 때 정부 사절단을 보내지 않는 것을 말한다.
사키 대변인은 "중국이 국제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관련 문제들에 대해 조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팀 선수들에게 불이익을 주는 것은 옳은 조처가 아니라며 고국에서 그들을 100% 지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 의회에서도 중국의 위구르 소수민족 탄압, 홍콩 인권 탄압 등을 문제 삼아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보이콧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중국, 대미 비난 '가식적인 행동'
미국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검토 입장을 밝힌 지 18일 만에 이를 공식화했다.
이에 대해 중국은 '가식적인 결정'이라며 대미 비난을 쏟아냈다.
류펑위 주미 중국대사관 대변인은 6일(현지시간) "성공적인 올림픽 개최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할 정치적 조작"이라며 "그들이 오든 안 오든 누구도 신경 쓰지 않는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미국 정치인들에게까지 초청장을 확대한 적이 없는데 난데없이 외교적 보이콧이 등장했다. 이런 가식적인 행동은 올림픽 정신은 심각하게 왜곡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https://blog.kakaocdn.net/dn/cwyGR0/btrnlnNfbgM/mQaZ0ybQFZGAAxckaKWvTK/img.jpg)
이에 앞서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 역시 "미국이 독단적으로 행동한다면 중국은 반드시 반격하는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국도 '정치적 보이콧' 참여할까?
미국이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공식화 하면서 유럽을 중심으로 한 서방 진영의 연쇄 동참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현재 뉴질랜드가 동참을 결정했으며 영국과 캐나다, 호주 등도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젠 사키 대변인은 "미국이 동맹들에게 외교적 보이콧 결정 사실을 알렸지만, 그들의 보이콧 여부는 그들에게 달려있다"고 밝혔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BBC 코리아에 "어느 정도 수준에서 미국의 동맹국들이 정치적 보이콧에 동참할지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핵심 동맹 몇 개국만 참여한다면 한국이 움직일 여지가 있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난감한 상황에 놓이게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박 교수는 "중국이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초청하기 위해 애쓸 것"이라며 "미국의 동맹인 한국이 정치적 보이콧에서 이탈한다는 상정적 의미가 굉장히 큰 데다, 김정은 위원장이 움직인다면 문재인 대통령은 당연히 참석할 테니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특정 국가가 올림픽에 불참하는 경우는 더러 있었지만 정치적 보이콧 결정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특히 인권 문제를 내세워 보이콧을 선언한 만큼 개최국인 중국 입장에서는 적잖은 타격이 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https://blog.kakaocdn.net/dn/ndDNC/btrnpnrYs32/LUzLQzej43kkRkN9tE9u80/img.jpg)
한반도 평화 구상은?
베이징 동계올림픽 무대를 한반도 평화 구축의 진전된 계기로 삼고자 했던 한국 정부의 구상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일단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남북미중 4자가 종전선언에 협의할 가능성은 없다는 평가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국 정부가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아닌 다른 계기를 통해 종전선언을 도출하는 우회방안을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특히 "미중 경쟁이 해소되는 국면이 조성돼야 종전선언에 도움이 될 텐데 미국이 곧 개최되는 민주주의 정상회의에 대만을 초청한 만큼 상황이 악화될 수 있다"고 관측했다.
그러면서 "코로나 변이바이러스로 북한은 물론 중국 역시 방역을 강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방중을 결정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조 연구위원은 덧붙였다.
박원곤 교수는 "남북미중 4자 정상이 단일사안으로 한자리에 모인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라며 "제대로 됐다면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통한 자연스러운 정상 간 만남이 이뤄졌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정부가 최근 베이징 올림픽과 별개로 종전선언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만큼 한미간 종전선언 문안이 완성되면 관련 논의를 위해 북한을 초청할 가능성이 있다"며 "물론 북한이 응할지는 별개의 문제"라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 외교부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미국의 외교적 보이콧에 대해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지지한다고 7일 밝혔다.
2018년 평창, 2021년 도쿄, 2020년 베이징으로 이어지는 이번 올림픽이 동북아시아, 세계 평화와 번영 및 남북관계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것.
또 미국 측이 이번 결정에 대해 외교 경로를 통해 한국에 미리 알려왔으며 한국 정부 인사의 올림픽 파견 계획에 대해서는 아직 정해진 바가 없다고 전했다.
미국, 베이징 동계올림픽 '정치적 보이콧' 공식화...한반도 평화 구상은? - BBC News 코리아
백악관 대변인은 '중국이 인권 탄압 문제들에 대해 조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www.bbc.com
'Guide Ear&Bird's Eye21 > 대한[Korea(KOR),大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주주의 정상회의 관련 서면브리핑 (0) | 2021.12.11 |
---|---|
미국, ‘베이징올림픽 보이콧’ 불구… 문재인, 국제사회에 '종전선언' 지지 호소 (0) | 2021.12.08 |
김 총리 “방역패스, 공동체 보호 위한 최소한의 약속” (0) | 2021.12.06 |
오미크론 확진 12명... 내일부터 바뀌는 지침은? (0) | 2021.12.05 |
코로나19: 일상회복 잠시 중단...4주간 사적모임 인원 축소, 방역 패스 적용 확대 (0) | 2021.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