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G7 재무장관 “최빈국 채무상환 유예” 본문
주요 7개국 (G7)은 3일 코로나 사태를 겪고 있는 최빈국에 대한 채무상환을 2020년 이후까지 유예한다고 밝혔습니다.
G7 재무장관들은 이날 전화 회의를 가진 후 공동성명을 내고 모든 채권국들이 채무상환 유예에 동참할 것을 촉구하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들은 성명에서 공공∙민간 금융기관이 지속가능한 지침에 따라 책임감 있게 대출 결정을 내릴 것을 촉구했습니다.
특히 중국을 겨냥해 채무 조건을 완전히 공개하고 국영기업 등을 위해 비밀조항을 사용하는 것을 제한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G7 재무장관들은 또 지속적인 개발을 위해 민간 자본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주 발표된 국제금융연구소(IIF)의 부채 경감 노력에 대한 청사진과 관련, 민간 채권단들의 후속조치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국제금융연구소의 지도력을 환영하며 저소득 국가들에 대한 민간 분야 대출에 대한 자료를 신속하게 만들어 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앞서 G7 재무장관들은 앞서 지난 4월 최빈국을 대상으로 한시적인 채무상환 유예를 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한편 저소득 국가와 개발도상국들이 코로나 전염병 사태로 경제에 큰 타격을 입으면서 당초 국제통화기금(IMF)가 추정한 2조5천억 달러보다 더 많은 자금이 필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VOA 뉴스
G7재무장관회의, 저소득국 상환 유예를 확인
G7 주요7개국 재무장관은 일본시간으로 3일 밤 전화회의를 열고, 의료체제가 불충분하고 소득이 낮은 나라가 코로나19의 감염 확산 방지에 대응할 수 있도록 채무 상환을 유예하기로 확인했습니다.
G7 재무장관 전화회의는 일본시간으로 3일 밤 8시쯤부터 열려, 일본에서는 아소 부수상 겸 재무상이 참석했습니다.
회의가 끝난 후 발표된 성명에서는, 소득이 낮은 나라의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한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채무 상환을 올해 연말까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이후에도 유예한다는 G20의 합의를 실시할 것을 확인했습니다.
아울러 채무의 자세한 내용을 밝히는 것이 지속 가능한 개발로 이어진다며, IMF 국제통화기금과 세계은행이 그 상황을 감시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아소 재무상은 회의 후에 가진 기자회견에서 “상환 기한이 다가오는 70개국 중에 절반 정도가 유예를 신청했다고 들었는데, 착실히 실행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아소 재무상은 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G7서밋에 러시아와 한국 등 4개국도 초청하겠다는 생각을 밝힌 데 대해, 지금은 이 건에 관해 좋다거나 나쁘다거나 언급할 단계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일본 NHK]
'Guide Ear&Bird's Eye2 > 합리적 금욕과 소비는 플러스 투자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은행, 전후 최악 -5.2% 성장 전망 (0) | 2020.06.09 |
---|---|
산유국, 감산규모 1개월 더 유지하기로 합의 (0) | 2020.06.07 |
동남아시아 국가 GDP 성장률 모두 악화 (0) | 2020.05.20 |
코로나19: 파월 연준의장 '내년 말까지 경기침체 지속 가능성' (0) | 2020.05.18 |
유럽 경제, 코로나 여파로 1분기 3.8% 감소 (0) | 2020.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