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남북 정상, '평양공동선언' 채택…“핵무기 없는 평화 터전으로" 본문

Guide Ear&Bird's Eye21/대한[Korea(KOR),大韓]

남북 정상, '평양공동선언' 채택…“핵무기 없는 평화 터전으로"

CIA Bear 허관(許灌) 2018. 9. 19. 20:34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평양공동선언문에 서명한 후 합의서를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 출처=평양사진공동취재단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이틀간의 정상회담을 마치고 ‘9월 평양공동선언’을 채택했습니다. 두 지도자는 한반도 비핵화의 완전한 실현을 위한 구체적 이행 방안을 추진한다는 데 합의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올해 안에 서울을 방문하기로 했습니다.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19일 한반도를 핵무기와 핵 위협이 없는 평화의 터전으로 만들어나가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이날 백화원 영빈관에서 정상회담을 마치고 서명한 ‘9월 평양공동선언’을 통해 이같이 밝히면서, 이를 위해 필요한 실질적인 진전을 조속히 이뤄나가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공동선언 뒤 열린 기자회견에서, 남북한이 처음으로 비핵화 방안에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북측은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유관국의 전문가 참여 하에 영구적으로 폐쇄키로 했습니다.”

또 미국의 상응 조치에 따라 영변 핵 시설의 영구폐기화 같은 추가적 조치도 취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가 멀지 않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남과 북은 앞으로도 미국 등 국제사회와 비핵화의 최종 달성을 위해 긴밀히 협의하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평양 남북정상회담의 성과를 바탕으로 미-북 간 대화가 빠르게 재개되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북-미 양국은 끊임없이 친서를 교환하며 서로 간의 신뢰를 거듭 확인했습니다. 양국 간 정상회담이 조속히 이뤄지고 양국이 서로 합의할 수 있는 지점을 찾을 수 있도록 우리의 노력도 다해나갈 것을 약속합니다.”

김정은 위원장은 남북 정상이 핵무기 없는 한반도를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김정은 위원장] “조선반도를 핵무기도 핵 위협도 없는 평화의 땅으로 만들기 위해 적극 노력해나가기로 확약했습니다.”

남북한 정상은 또한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김 위원장이 문 대통령의 초청에 따라 가까운 시일 내에 서울을 방문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가까운 시일 안이라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올해 안이라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은 최초의 북한 지도자 방문으로, 남과 북의 획기적 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군사적 긴장 완화를 위한 방안도 공동선언에 포함됐습니다.

남북한은 이번 평양정상회담을 계기로 체결한 ‘판문점 선언 군사 분야 이행합의서'를 평양공동선언의 부속합의서로 채택하고, 한반도를 항구적 평화지대로 만들기 위한 실천적 조치를 적극적으로 취하기로 했습니다.

또, 남북군사공동위원회를 조속히 가동해 군사 분야 합의서의 이행 실태를 점검하고, 우발적 무력 충돌 방지를 위한 상시적 소통과 긴밀한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남북 정상은 교류와 협력을 증대하고 민족경제를 균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실질적 대책을 강구한다는 데도 합의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올해 안에 동·서해선 철도와 도로 연결을 위한 착공식을 갖는 한편, 조건이 마련되는 데 따라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사업을 우선 정상화하고, 서해경제공동특구와 동해관광공동특구를 조성하는 문제를 협의하기로 했습니다.

이산가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인도적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방안도 공동선언에 담겼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금강산 이산가족 상설면회소 복구와 서신 왕래, 화상 상봉은 우선적으로 실현해나갈 것입니다.”

남북 교류와 협력 확대와 관련해서는, 우선 10월 중에 평양예술단의 서울 공연을 진행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또 2020년 하계올림픽 경기대회를 비롯한 국제경기들에 공동으로 적극 진출하고, 2032년 하계올림픽의 남북 공동개최를 유치하는 데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내년에 3.1운동 100주년을 남북이 공동으로 기념하기로 하고, 그를 위한 실무적인 방안을 협의해나가기로 했습니다.

한국 청와대의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19일 브리핑에서, 남북 정상이 공동선언을 통해 실질적인 종전을 선언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녹취: 윤영찬 수석] “두 정상은 이번 선언을 통해 1953년부터 지금까지 65년 간 이어져온 한반도 정전 상태를 넘어 실질적 종전을 선언하고, 그를 통해 조성된 평화를 바탕으로 공동 번영으로 가는 구체적 실천 방안을 제시했다고 생각합니다.”

윤 수석은 또 한반도 비핵화와 관련해서는, 영변 핵 시설 폐기 의지를 밝힘으로써 북한 핵 불능화가 실천적 단계에 돌입했다고 말했습니다.

VOA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평양공동선언 서명



문재인 남한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은 조선로동당위원장은 19일 오전, 이틀 째 정상회담을 가진 후 '평양공동선언'에 서명했습니다.

공동선언에 따르면 비핵화와 관련해 "미국에 상응하는 조치에 따라 녕변에 있는 핵시설을 영구적으로 폐기한다는 추가 조치를 취할 용의가 있다"는 내용입니다.

또 북한 동창리에 있는 미사일 발사장에 관해서는 "전문가들 참관 하에 영구 폐기하기로 했다"고 명시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과 북한의 중재 역할을 맡아 온 문재인 대통령은 다음 주 미국을 방문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24일 가질 예정인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영변의 핵시설 폐기의 전제조건인 '미국의 상응하는 조치'가 무엇을 의도하는지 등, 남북정상회담에서 밝힌 김정은 위원장의 생각을 자세히 설명할 방침입니다.

김정은 위원장은 핵실험장을 폭파한 데 이어 비핵화를 위해 구체적인 조치를 취할 생각이 있음을 밝힘으로써 교착상태에 빠져 있는 북미협상이 해결로 이어질 수 있을지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 고관들이 내리는 평가에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또 19일 선언에는 김정은 위원장이 "조만간 서울을 방문하겠다"는 내용도 포함됐는데 구체적인 시기와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은 순조롭게 진행되면 올해 안에 실행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Moon Jae-in and Kim Jong-un signed what they say is 'a leap forward'

남북 정상 9월 평양공동선언 전문

대한민국 문재인 대통령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018918일부터 20일까지 평양에서 남북정상회담을 진행하였다.

 

양 정상은 역사적인 판문점선언 이후 남북 당국간 긴밀한 대화와 소통, 다방면적 민간교류와 협력이 진행되고,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획기적인 조치들이 취해지는 등 훌륭한 성과들이 있었다고 평가하였다.

 

양 정상은 민족자주와 민족자결의 원칙을 재확인하고, 남북관계를 민족적 화해와 협력, 확고한 평화와 공동번영을 위해 일관되고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로 하였으며, 현재의 남북관계 발전을 통일로 이어갈 것을 바라는 온 겨레의 지향과 여망을 정책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노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양 정상은 판문점선언을 철저히 이행하여 남북관계를 새로운 높은 단계로 진전시켜 나가기 위한 제반 문제들과 실천적 대책들을 허심탄회하고 심도있게 논의하였으며, 이번 평양정상회담이 중요한 역사적 전기가 될 것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다음과 같이 선언하였다.

 

 1. 남과 북은 비무장지대를 비롯한 대치지역에서의 군사적 적대관계 종식을 한반도 전 지역에서의 실질적인 전쟁위험 제거와 근본적인 적대관계 해소로 이어나가기로 하였다.

 남과 북은 이번 평양정상회담을 계기로 체결한 `판문점선언 군사분야 이행합의서'를 평양공동선언의 부속합의서로 채택하고 이를 철저히 준수하고 성실히 이행하며, 한반도를 항구적인 평화지대로 만들기 위한 실천적 조치들을 적극 취해나가기로 하였다.

 남과 북은 남북군사공동위원회를 조속히 가동하여 군사분야 합의서의 이행실태를 점검하고 우발적 무력충돌 방지를 위한 상시적 소통과 긴밀한 협의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2. 남과 북은 상호호혜와 공리공영의 바탕위에서 교류와 협력을 더욱 증대시키고, 민족경제를 균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들을 강구해나가기로 하였다.

남과 북은 금년내 동, 서해선 철도 및 도로 연결을 위한 착공식을 갖기로 하였다.

남과 북은 조건이 마련되는 데 따라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사업을 우선 정상화하고, 서해경제공동특구 및 동해관광공동특구를 조성하는 문제를 협의해나가기로 하였다.

남과 북은 자연생태계의 보호 및 복원을 위한 남북 환경협력을 적극 추진하기로 하였으며, 우선적으로 현재 진행 중인 산림분야 협력의 실천적 성과를 위해 노력하기로 하였다.

남과 북은 전염성 질병의 유입 및 확산 방지를 위한 긴급조치를 비롯한 방역 및 보건·의료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3. 남과 북은 이산가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인도적 협력을 더욱 강화해나가기로 하였다.

남과 북은 금강산 지역의 이산가족 상설면회소를 빠른 시일내 개소하기로 하였으며, 이를 위해 면회소 시설을 조속히 복구하기로 하였다.

남과 북은 적십자 회담을 통해 이산가족의 화상상봉과 영상편지 교환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해나가기로 하였다.

 

4. 남과 북은 화해와 단합의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우리 민족의 기개를 내외에 과시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협력과 교류를 적극 추진하기로 하였다.

남과 북은 문화 및 예술분야의 교류를 더욱 증진시켜 나가기로 하였으며, 우선적으로 10월 중에 평양예술단의 서울공연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남과 북은 2020년 하계올림픽경기대회를 비롯한 국제경기들에 공동으로 적극 진출하며, 2032년 하계올림픽의 남북공동개최를 유치하는 데 협력하기로 하였다.

남과 북은 10.4 선언 11주년을 뜻깊게 기념하기 위한 행사들을 의의있게 개최하며, 3.1운동 100주년을 남북이 공동으로 기념하기로 하고, 그를 위한 실무적인 방안을 협의해나가기로 하였다.

 

5. 남과 북은 한반도를 핵무기와 핵위협이 없는 평화의 터전으로 만들어나가야 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실질적인 진전을 조속히 이루어나가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하였다.

북측은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 하에 우선 영구적으로 폐기하기로 하였다.

북측은 미국이 6·12 북미공동성명의 정신에 따라 상응조치를 취하면 영변 핵시설의 영구적 폐기와 같은 추가적인 조치를 계속 취해나갈 용의가 있음을 표명하였다.

남과 북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추진해나가는 과정에서 함께 긴밀히 협력해나가기로 하였다.

    

6.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의 초청에 따라 가까운 시일 내로 서울을 방문하기로 하였다.

 

2018919

대한민국 대통령 문재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장 김정은



                                                            The June Trump-Kim summit has so far yielded limited results


                                                      Most children receive basic education, though some are forced to drop out of school early


                             Some North American detainees, who have now been released, recalled being forced to work on a farm while detained.


                                                     Some North Korean women say that sexual harassment is rife in the military


            This 2004 photo shows a North Korean boy eating vitamin and mineral-enriched food supplied by the United Nations World Food Programme


                                              The Korean Central News Agency is the world's main media window on North Korea





극동지역(동북아시아) 국가 중 한국이나 일본[자본주의 체제 자유민주정부], 러시아 극동지역[자본주의 체제 러시아 자유민주 권위주의 정부], 중국 동북3성[중국식 사회주의 인민민주주의 독재체제 사회정부, 국가대표 국가주석과 군정분리주의 군사정책으로 군 통수권자 겸 인민해방군 총사령관인 군사위원장 임기제한이 없는 사회정부], 북한[군정분리주의 군사정책으로 국가대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지만 군 통수권자 겸 인민군 총사령관, 노동당 위원장( 제1비서)인 국무위원회 위원장(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임기제한이 없는 김일성주의(김일성 직계 혈통주의) 세습제 북한식 사회주의 좌익군사정부...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텃밭이나 개인 부업을 하는 북한 주민들 모습

국영자본체제 북한은 토지 이외 모든 물건(주택이나 상가, 자동차, 컴퓨터, TV, 냉장고등) 개인 소유를 인정하고 있으며 매매를 허용하고 있다. 토지는 국가나 협동농장 소유이다

개인소유는 공민들의 개인적이며 소비적인 목적을 위한 소유이다. 개인소유는 노동에 의한 사회주의분배와 국가와 사회의 추가적혜택으로 이루어진다. 터밭경리를 비롯한 개인부업경리에서 나오는 생산물과 그밖의 합법적인 경리활동을 통하여 얻은 수입도 개인소유에 속한다. 국가는 개인소유를 보호하며 그에 대한 상속권을 법적으로 보장한다[북한 헌법 제24조]

북한은 국영 자본체제로 북한 주민은 승용차와 고급주택을 소유하고 반미이론과 자주노선 국가사회주의 정책을 추진하는 특권층과 개인의 능력에 따라 유상교육 대학 출신 교육특혜 세대 상류층, 무상 의무교육 중등교육(중학교) 출신 평민층(근로계층), 무상 의무교육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영양실조나 식량난 취약계층 빈곤층으로 구분돼 있다 북한 주민 다수는 평민층과 빈곤층이다 북한 빈곤층은 국제기구 식량원조로 살아가고 있다

북한 빈곤층 생활 모습은 TV 방영 되지 않고 있다



 

 

 

 

 

 

고달픈 평양 서민(평민)들은 지금 무엇을 원할까 핵무기도 아닌 빵(개인의 생존권 衣食住)이다

북한은 1인당 GDP(국민소득) 583달러(2012년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