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뉴욕필 평양 공연 ’북한 변화의 신호탄’ 본문

Guide Ear&Bird's Eye/북한[PRK]

뉴욕필 평양 공연 ’북한 변화의 신호탄’

CIA Bear 허관(許灌) 2007. 12. 13. 22:22

국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평양 공연 발표로, 이제 관심은 이번 공연이 미-북 관계에 미칠 영향에 쏠리고 있습니다. 미국 교향악단의 첫 북한 공연이라는 점, 또 북한 정부가 매우 적극적으로 공연을 추진했다는 점에서 과거 미국과 중국 간의 '핑퐁외교'처럼 미-북 관계 변화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오고 있는데요, 김근삼 기자와 함께이번 공연 성사 배경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엠시) 뉴욕 필이 평양 공연 일정을 확정 발표했습니다. 이제 계획대로 내년 2월26일 평양 공연이 이뤄진다면, 미-북 관계에 중대한 사건으로 기록될 수 있지 않겠습니까?

기자: 네. 이 곳 시간으로 어제 오전 뉴욕 필이 관련 기자회견을 마련했는데요, 미국과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 취재진 1백여 명이 몰렸습니다. 이렇게 언론의 관심이 높았던 것은, 뉴욕 필의 평양 공연이 갖는 의미가 그만큼 크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뉴욕 필의 평양공연 확정 사실은 미국 '뉴욕타임스'가 처음으로 보도했는데요, 크리스토퍼 힐 미국 국무부 차관보는 이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껍질을 깨고 나오는데는 긴 과정이 필요하겠지만, 이번 공연이 신호탄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공연에 대한 기대를 함축하는 말이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말 그대로 북한이 국제사회로부터의 고립에서 벗어나고 또 미국에 대한 적대시 정책이라는 노선에도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될 수 있지 않겠느냐는 것이죠.

엠시) 하지만 당초 예상과 달리 크리스토퍼 힐 차관보는 기자회견에 나오지 않았지요. 북한의 박길연 유엔주재 대사가 참석한 것과 대조가 되기도 하구요.

기자: 사실 기자회견 직전까지만 해도 뉴욕 필 관계자와 함께 힐 차관보와 박길연 대사가 나란히 참석한다는 계획이었습니다. 하지만, 힐 차관보는 불참했죠. 힐 차관보가 참석한 것과 참석하지 않은 것은 분명히 시사하는 바가 다를 겁니다. 아마도 6자회담 2단계 조치 이행시한이 얼마남지 않은 민감한 시점에서, 미국 정부가 이번 공연에 지나치게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겠다는 의도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엠시): 그래도 많은 전문가들은 뉴욕 필의 평양 공연을 미국과 중국의 '핑퐁외교'에 비유하지 않습니까? 그만큼 외교적인 측면에서도 의미있는 사건이라는 분석이 많구요.

기자: 맞는 말씀입니다. 뉴욕 필의 평양 공연이 계획대로 이뤄진다면 분명히 미-북 관계에 역사적인 사건으로 기록될 것입니다. 굳이 미국과 중국의 탁구 교류까지 들먹이지 않더라도, 과거 미국 교향악단의 연주는 미국과 중국, 또 미국과 소련과의 관계 개선에 기여한 것이 사실입니다. 미국에서는 '음악 외교'라는 말도 하는데요, 보스턴 심포니가 지난 1956년 소련에서 처음으로 공연하면서 정치적으로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었습니다. 또 1973년에는 미국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가 처음으로 중국에서 순회공연을 했는데요, 당시 국가안보위원회에 몸 담았던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은 나중에 순회공연이 미-중 간 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고 고백했죠. 물론 북한을 냉전시대의 중국, 소련과 비교하는 데는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 동안 철저하게 폐쇄됐던 북한이 미국 교향악단에 문을 열었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습니다.

사회자: 하지만 이번 공연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있죠?

기자: 그렇습니다. 뉴욕 필 내부에서 조차 북한의 독재정권을 정당화하는 선전도구로 쓰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앞서 말씀드린 긍정적인 의미에 더 많은 무게가 쏠린 것 같습니다.

엠씨: 이번 공연이 성사된 배경도 궁금합니다.

기자: 자린 메타 뉴욕 필 단장은 어제 기자회견에서 지난 8월 북한 정부로부터 공식 초청을 받았다고 밝혔구요, 또 미 국무부와 뉴욕의 민간단체인 코리아 소사이어티의 지원으로 면밀한 조사를 한 결과 최종 공연을 결정했다고 소개했습니다. 무엇보다 북한 정부가 매우 적극적으로 공연 유치에 나섰다는 점이 관심을 모으는데요. 북한 정부는 한국계 연주자 8명을 포함한 단원 외에도 외국 기자들의 입국과 공연 취재를 허용하기로 했고, 또 이번 공연을 전국에 방송하기로 했습니다. 무엇보다 뉴욕 필은 다른 나라에서의 첫 공연에서 미국 국가를 연주하는 전통이 있는데요,  북한 정부가 이번에 미국 국가 연주를 허용했습니다.  박길연 대사는 어제 기자회견에서 이번 공연이 미-북 관계 개선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는데요, 이번 공연을 추진한 북한 정부의 의지를 함축하는 말이 아닌가 싶습니다.

엠시): 아무쪼록 이번 공연이 잘 개최되고, 또 앞서 말씀하신대로 미-북 관계 개선과 국제사회에 대한 개방의 신호탄이 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미국의 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