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北대남공작 기관 "통일전선부"의 실체 본문

Guide Ear&Bird's Eye/테러단체,간첩등 수집.조사연구

北대남공작 기관 "통일전선부"의 실체

CIA Bear 허관(許灌) 2006. 8. 24. 18:35
北대남공작 기관 "통일전선부"의 실체 [2006-08-23 ] 
최종 목표는 '남조선 혁명'을 통한 사회주의 통일 완수

김정일 정권의 대남공작 사업을 총괄해온 임동옥(70) 조선 노동당 ‘통일전선부’(통전부) 부장이 지난 20일 사망했다고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임동옥은 1978년 통전부에 들어가 지도원, 부과장, 과장, 부부장을 거쳐 1993년 11월 제1부부장, 2006년 4월 부장까지 역임한 대남공작 핵심인물이다.

현재 북한이 운영하고 있는 대남공작 조직으로는 통전부와 함께 대외연락부, 작전부, 35호실 등 4개 기관과 함께 인민군 총참모부 산하 정찰국, 국가안전보위부 등이 있으며, 통전부는 이들 부서를 총괄하는 한편 대남공작의 기본골격을 만드는 곳이다.

이들 대남 공작기관의 최종 목표는 ‘남조선 혁명’을 통해 사회주의 통일을 완수하는 것으로 통전부는 “북조선은 1945년 공산화와 더불어 식민지배와 모순된 자본주의의 질곡에서 일거에 벗어났으나, 남조선은 미군이 주둔함으로써 이러한 목표를 이루지 못했다. 따라서 미군을 축출하고 남조선 해방과 혁명 그리고 북한식 사회주의 통일을 동시에 이루는 길”이라고 밝히고 있다. (신동아 2001년 2월호 보도)

통전부는 1977년 김일성의 직접교시에 따라 신설됐으며, 선전·대남방송·삐라살포·해외교포들의 포섭 및 남한 내 친북조직 관리 등 공개적인 선전·선동공작을 펼쳐왔다. 통전부는 직할부서로 직접침투과, 남북회담과, 해외담당과, 대남심리전 및 정보자료를 분석하는 조국통일연구원 등이 있으며 다른 공작부서와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공개적으로 활동한다는 점이다.

외곽단체로는 지난 4·15 총선 당시 '반(反) 한나라당 투쟁 지침'을 내려 국내친북세력을 지도하고 있는 한국민족민주전선(한민전)을 비롯해 범민련과 범청학련(이적단체),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해외동포원호위원회,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통협), 민족경제협력연합회(민경련), 민족화해협의회(민화협),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아태평화위) 등은 모두 통전부의 지시를 받아 움직인다.

한편, 대부분의 통전부 소속 대남공작 요원들은 공개적인 행사나 회담 때 주로 가명(假名)과 가직위(假職位)를 쓴다. 남북대화나 교류 등으로 낯익은 전금진(본명 전금철), 안병수(본명 안경호), 이종혁, 94년 3월 남북실무접촉에서 '서울불바다' 발언으로 유명해진 박영수(사망) 등 대남전위기구 간부들의 소속직책과 직급은 통전부의 부부장 급이다.

사망한 임동옥은 지난 해 8월 북한 당국 대표단에 포함돼 서울을 방문했으며, 정동영 당시 통일부 장관과 남북간 비공개 채널을 가동하기도 했다. 이어 다음달 김정일과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과의 단독 면담 때도 배석, 김용순(통전부 전임자) 노동당 대남담당비서 사망 이후 정치 뿐 아니라 경제부분에서도 대남공작 업무를 총괄하고 있음을 입증했다.

이 때문에 국정원은 그동안 임동옥을 최승철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부위원장과 오극렬 노동당 작전부장, 강관주 대외연락부장과 함께 '대남실세 4인방'으로 지목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임동옥은 ‘임춘길’이라는 이명(異名)을 사용해 1972년 11월 남북적십자회담(4, 6차)의 ‘수행기자’로 서울을 방문했으며, 1985년 적십자 회담 때는 ‘자문위원’으로, 1990년대 남북 고위급회담 때는 ‘수행원’으로 참가했다.

한편, 이종석 통일부 장관은 21일 임동옥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의 사망과 관련, 북한에 전통문을 보내 조의를 표했다. 이장관은 남북장관급회담 남측 수석대표 명의로 북측 단장인 권호웅 내각 책임참사 앞으로 보낸 전통문에서 “임 부장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삼가 조의를 표하는 바이다”라고 밝혔다.

통일부 장관이 북측 인사의 사망에 대해 공식 조전을 보낸 것은 지난해 10월 연형묵 북한 국방위 부위원장이 사망했을 때 당시 정동영 통일부 장관에 이어 두 번째다. 통일부 당국자는 “통전부장은 대남정책을 총괄하는 자리로 통일부 장관의 실질적 파트너라는 점을 감안해 조의를 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필재 기자 spooner1@freezon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