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동아시아 알(I=intelligence)센타:일본국가 개요와 일본 역대 국왕(무쓰히토 국왕에서 아키히토 국왕까지) 본문
Guide Ear&Bird's Eye/일본
동아시아 알(I=intelligence)센타:일본국가 개요와 일본 역대 국왕(무쓰히토 국왕에서 아키히토 국왕까지)
CIA Bear 허관(許灌) 2006. 7. 5. 20:56Prime Minister of Japan and His Cabnet http://www.kantei.go.jp
일본대사관 http://www.kr.emb-japan.go.jp
1.일본(日本,Japan)국가 개요
일본의 면적은 37만 7,835평방 km이며 인구는 1억 2,628만명(2001년도)이고 인구밀도는 336,4명/평방 km(2001년도)이다 일본어로는 <니혼> 또는 <닛폰>이라 한다 중국에서는 한서(漢書)에서 수서(隋書)까지 왜(倭) 또는 왜국(倭國)으로 기록하여 왔으며 한국에서도 일찍이 그렇게 불러왔다(왜국이라는 의미는 키가 작은 사람들의 국가라는 뜻이며 일본열도 남방과 필리핀 열도 그리고 동남아시아지역 출신들을 지칭한 것으로 본다 태평양지역 섬 출신들의 신장이 작다 그러나 일본도 북방지역이나 중부지역등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신장은 대체로 크다)
일본(日本)이라는 국호는 근대 이후 사용한 국가명이다
일본열도는 북쪽으로 홋카이도(北海道) 북쪽의 소야(宗谷)해협 및 북동쪽의 네무로(根室)해협을 끼고 러시아의 사할린 및 쿠릴열도 남단의 구나시리섬과 대하며 남쪽으로는 난세이(南西)제도가 타이완(臺灣)근해까지 이어진다
서쪽으로는 동해와 대한해협을 사이에 두고 러시아 연해주 및 한국과 대하는데 대한해협 중간에 있는 쓰시마(對馬島)은 부산에서 50km거리에 있다 동쪽으로는 오가사와라제도(小笠原諸島)등이 산재하면서 태평양에 면(面)한다
일본(日本)의 국호 한자어는 일출지본(日出之本) 즉 조선(朝鮮)과 같은 의미이다
(1)위치---동북아 동남쪽 남단 열도
(2)면적---377,835평방 km
(3)국경----Km
(4)해안선--29,751km
(5)영해----12해리(어업전관 수역 200해리로 1977년 7월 21일 지정)
(6)인구-----126,280,000명(1억2천6백28만명--2001년도)
(7)수도-----동경(東京,TOKYO)
(8)공용어---일본어. 소수민족 언어(한국어)
(9)문맹률---1%
(10)종족구성--일본인(99.4%). 한국인(0.6%)
(11)종교-----신도(神道, 충효적 유교). 불교. 기독교등
(12)독립-----연합군 점령군에 의하여 1952년 4월 28일 독립국가로 인정
(13)헌법-----1946년 11월 3일
(14)정체------입헌군주제
(15)정부형태----내각책임제
(16)국가원수----명인(Akihito)국왕(1989년 1월 즉위)
(17)실권자------고이즈미 총리
(18)대의기구-----양원제
정원은 참의원 247명과 중의원 480명이며 임기는 참의원 6년이며 중의원은 4년이다 수상이 중의원을 해산할 수 있으나 참의원을 해산할 수 없다
(19)정당-----자민당. 민주당. 공산당. 사민당. 공명당. 보수신당등
(20)정부 성향---자유민주(自由民主)
자본주의민주주의 혁명 후 자유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등을 인정하고 있다(일본 공산당도 일본국왕제 인정과 자본주의민주주의 혁명을 인정하고 있다)
(21)UN가입---1956년 12월 18일
(22)GDP
GDP은 41,419억 2,700만불이며 1인당 GDP 3,761만불이다(2001년도)
(23)화페단위---엔(円,Yen)
1달러에 100엔 수준이다
(24)무역
ㄱ.수출--40,530,000만불(기계류. 자동차. 전자제품. 철강등)
ㄴ.수입--35,100,000만불(원자재. 석유. 석탄. 식료품등)
일본 북방섬과 사할린쪽에서는 석유가 매장되었으며 생산되고 있다 사할린을 보고 중동의 쿠웨이트로 부르고 있다
(25)국방비---4,350,000만불(2002년도)
(26)군사력
ㄱ.육군-----148,197명
ㄴ.해군------44,404명
ㄷ.공군------45,582명
ㄹ,통합막료회의---1,656명
일본은 헌법으로 전쟁을 포기하고 육해공군의 전력을 보유하지 않을 것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그 원칙은 1950년 한국전쟁 발발 직후 맥아더 사령부의 지시에 의해 7만 5000명의 경찰 예비대가 설치됨으로써 파기 되었다(일본 사람들도 한국전쟁때 한반도 일부지역에 파견되어 한국정부를 도와 주었다)
1952년 미일안보조약이 발효되자 일본은 미군의 주둔을 인정하는 한편 일본의 재군비의무 때문에 일본군대는 미국의 원조에 의해 점차 증가 되었다
경찰예비대는 1952년 보안대(保安隊)가 되고 1954년 자위대(自衛隊)가 되어 명실상부한 군대로 변모 하였다 1960년의 안보조약 개정으로 자위대는 일본의 방위뿐만 아니라 재일미군의 방위의무를 지게 되어 미국의 핵우산 밑의 안보체제하에서 일본은 급속한 군비증강을 이루어왔다
고이즈미 총리는 일본 자위대를 일본 국군으로 탈바꿈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일본 자위대는 유엔군으로 지위와 역할로 세계 각 지역 평화유지군으로 활동을 해야 할 시기이다
(27)군사동맹--미일안보조약(1960년 1월)
(28)남북관계
한국과 일본 사이의 국교정상화는 1965년 12월 했으며 북한과는 미수교국가이다
북한 김일성 김정일정부는 반일인민전쟁론자 국가사회주의 정부로 일본 국왕제와 일본정부를 파시즘 국가로 규정하며 김일성전주석을 반일 반미투쟁가, 반일 반미 전쟁의 영웅으로 묘사하고 있다
2.일본국왕
(1)천황(天皇)
천황은 일본의 역대 군주에 대한 칭호이다
원래는 중국에서 쓰던 말로 만물을 지배하는 황제라는 뜻이다
일본이외의 국가에서는 중국에서 당나라 고종(高宗)이 천황이라 칭한 외에는 예가 없다 천황이란 일종의 지위를 가르키는 경우와 그 지위에 있는 특정 개인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전에는 일본 군부의 정권 장악으로 군국주의 부활로 천황은 국가의 원수로서 절대적인 통치권(정치대권)과 통수권(군사대권)을 한 몸에 장악하고 행사하였으나 현재의 헌법에서는 일본국가 및 일본국민 통합의 상징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요즘은 일본 천황보다는 일본국왕으로 호칭하는 것이 일반화 되고 있다
(2)일본 역대 국왕(무쓰히토 국왕부터 아키히토 국왕까지)
ㄱ.무쓰히토(睦仁:목인)
일본의 제122대 왕 무쓰히토(睦仁.1866-1912) 국왕은 1867년 16세의 나이로 즉위하여 이듬해 9월 연호를 메이지<明治>로 고치고 일세일원제(一世一元制)를 택하였다
이에 따라 그의 재위기간을 메이지 시대라고 부른다
1869년 에도(江戶)를 도쿄(東京)로 고치고 도쿠가와부(德川幕府) 아성이던 에도성(江戶城)을 왕궁으로 정하였다 최고통치권자로 천황친정(天皇親政)의 대의명분 아래 왕정복고를 실현하고 메이지 신정부를 수립하는 메이지 유신에 성공하였다
<군인칙유,1881년> <일본제국 헌법, 1889년> <황실전범, 1889년>의 제정과 <교육칙어,1890년>의 발표등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메이지를 중심으로 하는 절대주의적 친황제 국가를 완성시켜 나갔다
특히 제국헌법에서도 왕의 국가통치 대권, 육해공군 통수권을 명기 하였다 교육칙어에서는 왕의 국민도덕의 중심임을 밝힘으로써 천황제국 국가를 유지하는 2대 이념으로 삼았다 그리고 청일전쟁(淸日戰爭)과 러일전쟁(露日戰爭)의 승리는 왕에 대한 국민의 숭앙(崇仰) 더욱 절대적인 것으로 하였다
*睦仁--화목할 (睦). 어질 인(仁)
ㄴ.요시히토(嘉仁:가인)
일본의 제123대 왕 요시히토(嘉仁,1912-1926) 국왕은 연호를 다이쇼(大正),메이지(明治) 일본 왕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2명의 형이 모두 죽자 1889년 왕세자가 되었다 생후부터 앓은 뇌막염이 완치되지 않아 1919년 제1차 세계대전 후 열린 의회 개회식 참석을 취소하였으며 마침내 1921년 장남 히로히토(睦仁)를 섭정에 임명하고 실질적인 정무(政務)에서 물러났다 재위기간 중 대내적으로 의회 운영이 점차 활발해지고 선거권이 확대 되었으며 영국과 미국에 협력하는 외교정책을 전개 하였다 한국에 대해서는 조선총독부를 세워 토지조사사업을 벌여 한국에 경제적 수탈을 감행 하였으며 1919년 3월 1일 운동을 무력으로 억눌렀다
*嘉仁----아름다울 가(嘉). 어질 인(仁)
ㄷ.히로히토(裕仁:유인)
일본의 제124대 왕 히로히토(裕仁,1926-1989)국왕의 칭호는 미치노미야(迪宮)이며 다이쇼(大正) 일본 왕의 장자이며 1916년 입태자의 의식, 1919년 성년의 예식을 거쳐 1921년 다이쇼(大正) 일본 국왕의 섭정이 되었고 1924년 나가코 왕녀(良子王女)와 결혼 했으며 1926년 12월 왕위에 올랐다<실질적으로 국왕의 교육과 예법으로 받고 자란 1세대 왕이다>
중일전쟁에 이어 제2차 세계대전등 일본의 팽창주의 역사를 체험하였고 1946년 이라히토가미(現人神)로서의 신격(神格)을 부정하는 인간선언을 발표하여 일본국가 헌법제정과 함께 상징적인 국가원수가 되었다
히로히토 국왕은 과학자로서 생물학 연구하여 <사가미만(相模灣). 후갑류도보(後閘類圖譜)> <나스(那須)의 식물>등을 저술 하였다 히로히토 국왕 생물학 연구 덕분으로 일본 사람들 중 노벨과학(물리학)상 수상자가 많이 배출되었다
*裕仁--너그러움 유(裕). 인자할 인(仁)
*迪宮--나아갈 적, 순할 적. 열어줄 적(迪). 궁궐 궁(宮) . 뜻--문호 개방이나 개화
*現人神--나타날 현(現).사람 인(人). 귀신 신. 신격할 신(神)
*那須---편안할 나. 많을 나. 땅이름 나(那). 물고기 아가미 벌덕거릴 수(須). 뜻-- 나고야 물고기에 대한 연구
*相模灣--서로상(相).법 모, 모범할 모(模). 물굽이 만(灣)
*後閘類圖譜--뒤 후(後). 물문 갑(閘). 무리류(類). 그림 도(圖). 계보 보(譜)
ㄹ.아키히토(明仁:명인)
일본의 제125대 왕 아키히토(明仁,1990년 1월 즉위) 국왕은 제124대 히로히토 선왕(先王)의 장자으로 칭호는 쓰구노미야(繼宮)이다 1952년 가쿠슈인(學習院) 고등과를 졸업하고 이 해에 왕세자가 되었다 1956년 가쿠슈인대학 정경학부를 수료하고 1959년 쇼다 미치코(正田美智子)와 결혼하여 슬하에 2남 1녀가 있다 1953년 영국여왕 엘리자베스의 대관식 참석을 시작으로 세계각국을 순방 하였다 1989년 히로히토 국왕의 죽음으로 왕위를 계승하고 연호를 헤이세이(平成)로 고쳤다 1990년 11월 즉위식을 가졌다
아키히토(明仁) 국왕께서는 2003년 12월 23일 고희(古稀,70세)를 맞았으며 일본 언론과 회견에서 일생에서 가장 슬픈 일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300만명 이상의 일본인과 많은 외국인이 생명을 잃은 것이이며 > 기뻤던 일은 <일본이 전쟁의 폐허를 딛고 경제강국으로 도약한 것과 주위의 반대를 무릅쓰고 평민출신인 황후와 결혼한 것이다>라고 말씀 했다
*繼宮--이을 계(繼). 집 궁(宮)
*平成--평범할 평, 평평할 평(平). 이룰 성,다할 성(成) 뜻--평민 또는 평범한 삶
3.일본의회와 내각
일본에서 국회 해산권은 의원 내각제에서 수상이 행사하는 권한으로 의회의 내각 불신임권에 맞서 내각과 의회간의 균형을 위해 부여돼 있는 권한이다
일본 국회는 중.참의원 양원으로 구성되나 해산권은 중의원에만 적용된다
해산권이 적용되지 않는 참의원은 6년의 임기가 보장되며 3년마다 정원의 절반을 개선한다 이에 비해 임기 4년인 중의원은 임기만료 또는 수상이 해산권을 행사했을때 전의석을 개선하기 때문에 총선거로 불린다
일본 헌법은 국회 해산에 따른 총선거를 해산한 날로부터 40일 이내에 실시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투표는 실시 12일전에 공고되며 선거 후 30일 이내에 국회를 소집하도록 규정돼 있다
(1)일본 국회
일본에서 주권인 국민의 의지를 반영하는 기관인 국회는 국권의 최고기관으로 규정되어 국정의 핵심을 이룬다 영국식 의원내각제를 채용했기 때문에 국회는 첫째로 총리지명권과 중의원의 내각 신임 또는 불신임의 의결권등을 가진다
둘째로 국가의 유일한 입법기관으로서 모든 법률안을 심의, 의결하는 권한을 가진다 의안의 제출권은 내각 총리와 의원 양자가 가지나 예산안 제출권은 내각만이 가진다 또 조약의 승인도 국회의 권한에 속한다
셋째로 미국적인 삼권분립의 이념에 입각하여 국회는 국정조사권과 재판관의 탄핵재판권을 가지나 반대로 내각의 중의원 해산권, 최고재판소의 법령 위헌심사권에 의해 견제되기도 한다
ㄱ.일본 국회는 참의원과 중의원 양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양원제도이다
참의원은 지역대표이며 중의원은 주민대표이다
참의원의 임기는 6년이며 중의원의 임기는 4년이다
ㄴ.일본 국회는 중의원, 참의원 양원으로 구성되나 해산권은 중의원만 있다
참의원이 일본정치와 국회. 내각등을 사실상 장악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왕제와 함께 정치안정과 정책지속성 유지에 도움이 되고 있다
ㄷ.일본수상은 참의원이나 중의원 출신 중 중의원의 과반수 이상 확보한 정당 당수로 추대한다
ㄹ.일본국회는 양원제로 중의원, 참의원으로 구성되는데 중의원은 예산안, 총리지명권, 조약비준등에 관해 참의원보다 우월한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또 일반 법안에 관해서도 양원의 의결이 다를때는 중의원이 2/3이상의 찬성으로 참의원의 의결을 뒤엎을 수 있다
(2)일본 내각
일본의 행정권 주체인 내각의 수상은 국회의원 중에서 국회의 의결로 선출된다 수상은 다른 20명 이내의 국무대신을 임명하는데 그 과반수가 국회의원이어야 한다 내각은 행정권을 행사함에 있어서 국회에 대하여 연대 책임을 지며, 개개의 국무위원의 독주는 금지되고 있다
내각은 일반적인 행정권외에 국회에 대한 의안제출권, 조약체결권, 예산편성권, 사면 결정권, 최고재판소 장관 지명권(일본 국왕이 임명) 및 판사 임명권등 권한을 가진다 또 헌법이나 법률실시를 위한 정령(政令)을 제정하는 하급입법권을 가진다 내각 밑에는 각 성(省)과 청(廳)이 있다
(3)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수상
1942년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스카 시(市)에서 태어나 게이오기주쿠대학(慶應義塾大學)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영국 런던대학교에 유학 하였다
조부(祖父)가 우정상을 부친(父親)이 방위청장관을 지낸 3세 정치가로 런던 유학 중이던 1969년 부친이 사망하자 지역구를 물려받아 선거에 처음 출마했으나 고배를 마시고 1972년 처음으로 중의원 의원에 당선 된 후 2001년 현재 10선 의원이다
1992년 우정상, 1996년 후생상을 지냈고 특히 1997년 일본국회 의원 재직 25주년 때 장기근속 표창과 그에 따른 특전을 포기해 화제를 모았다 또 국회의원으로는 퍼머를 해 주목을 받은 한편 우정사업 민영화를 주장해 자민당 최대 지지세력 가운데 하나인 우정사업 종사자들과 자민당 내 실력자들의 반반을 사기도 하였다
1995년 9월에는 우정사업 민영화를 내걸고 하시모토 류타로(橋本龍太郞)와 총재 자리를 놓고 싸웠으나 대패하고 1998년에는 오부치 게이조(小淵惠三) 전총리와 대결하였으나 역시 패하였다
그러나 명성과 인기는 급상승해 2001년 4월 24일 자민당내 최대파벌의 회장인 하시모토 류타로를 물리치고 일본 총리에 당선되었으며 2001년 10월 16일 한국을 방문 하였다
소신파이자 원칙주의자로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과 관련해 한국측의 재수정 요구에도 일본 역사교과서는 별 문제가 없다는 부정적 입장을 밝히는 한편 야스쿠니(靖國) 신사참배 의사표명, 자위대의 집단 자위권 용인등 보수 우경화 정책을 고수하고 있어 한국등 주변국의 반발을 사기도 하였다
일명 <헨진(變人:괴짜)> <일언거사(一言居士)>로 불리는 파격적이고 독설적인 언동으로도 유명하다
고이즈미 내각이 해야 할 일은 다음과 같다
(ㄱ)태평양과 동아시아국가연합 구성
미국. 일본. 중국. 한국등 주도로 자유무역지대 설정과 다국적군 창설
(ㄴ)한국 일본 중국등 문자통일에 노력
지금 사용하는 일본이나 중국 문자가 한국 문자 즉 한글로 나아가고 있는 경향이라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각국 정부 언어학자들께서 구시대 폐습인 한문 형태 문자를 탈피하고 신세대 한글 문자로 개조해 나가야 한다(솔직히 중국문자나 일본문자를 한글로 변화 하는 시기이다)
(ㄷ)한국 중국 일본등 삼국이 정치,사회. 문화 통합화
화폐단일화와 연합적 재정확보방안등으로 중국, 일본, 한국등이 단일금융기관 설립하는데 노력해야 한다
(ㄹ)중국 일본 한국등이 단합하여 북한 민주화 자유화 개방화 정부 수립에 노력해야 한다
*靖國--생각할 정(靖) 나라 국(國)
4.일본의 지방자치
일본의 지방자치단체는 평면식 모델로 촌(村)--정(町)--시(市)등이다
촌(村)에서 인구가 증가하면 정(町)이 되고 정(町)의 인구가 증가하면 시(市)가 된다
지방자치단체 장과 지방자치단체 의회 의원은 주민이 직접 선출하며 임기는 4년이다
촌 단위는 한국의 시골처럼 주민이 100명 미만도 있으며 친족장(족장)이 통치하는 곳도 많다 그래서 그러지 일본은 한국과 다르게 향토성이나 친족 뿌리의식이 남아 있다(가문이나 벌족등이 존재하고 있다)
5.일본 사람들의 좋은 점과 나쁜 점
(1)일본 사람들의 좋은 점
ㄱ.서구문명의 선구자
ㄴ.가족주의와 유교적 민주주의
ㄷ.정직한 사람
(2)일본 사람들의 나쁜 점
ㄱ.과거를 잃어버리는 성격
일본 국호 등장 근대 이전에는 일본 각 종족(친족) 끼리 500년간 전쟁으로 수 백만명의 일본사람들이 죽었다 일본열도 분열보다는 단결과 통합이 필요하다 그리고 동아시아 번영과 평화를 위하여 희생정신이 필요하다<일본의 중세와 근세 시대 말 우리는 아침에 일어나 들판을 바라볼때 시체들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다 그때 많은 사람들이 전쟁을 피해 한반도와 중국 대륙등지로 이주하였다--일본 소설책 글 인용>
ㄴ.중국인과 다른 곰성격이 아닌 여우성격이 있는 기질
일본 사람들도 중국인처럼 대륙의 기질 곰 성격도 있어야 한다
일본열도는 한반도 보다는 면적이 넓으며 일본 거주 인구도 한반도 남북국가 인구보다 많다 일본 전체 국민들 중 0.6%가 한국인이며 고대사 입장에서 본다면 일본열도도 한반도 종족으로 볼 수 있다 한반도 종족은 중국대륙 종족이다
일본 국민들도 중국화 되어가는 것이 과거나 현재 그리고 미래 현실이다
중국은 일본보다 면적이나 인구 규모등에서 볼때 10배이상이다(兒城中日韓一)
아성(兒成) 허관(灌=고이즈미=小泉純,Kwan) 씀
*兒成-사내 아(兒) 아이아(兒), 이룰성(成). 다할 성(成) 뜻: 새 생명(성모 마리아 상)
일본대사관 http://www.kr.emb-japan.go.jp
1.일본(日本,Japan)국가 개요
일본의 면적은 37만 7,835평방 km이며 인구는 1억 2,628만명(2001년도)이고 인구밀도는 336,4명/평방 km(2001년도)이다 일본어로는 <니혼> 또는 <닛폰>이라 한다 중국에서는 한서(漢書)에서 수서(隋書)까지 왜(倭) 또는 왜국(倭國)으로 기록하여 왔으며 한국에서도 일찍이 그렇게 불러왔다(왜국이라는 의미는 키가 작은 사람들의 국가라는 뜻이며 일본열도 남방과 필리핀 열도 그리고 동남아시아지역 출신들을 지칭한 것으로 본다 태평양지역 섬 출신들의 신장이 작다 그러나 일본도 북방지역이나 중부지역등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신장은 대체로 크다)
일본(日本)이라는 국호는 근대 이후 사용한 국가명이다
일본열도는 북쪽으로 홋카이도(北海道) 북쪽의 소야(宗谷)해협 및 북동쪽의 네무로(根室)해협을 끼고 러시아의 사할린 및 쿠릴열도 남단의 구나시리섬과 대하며 남쪽으로는 난세이(南西)제도가 타이완(臺灣)근해까지 이어진다
서쪽으로는 동해와 대한해협을 사이에 두고 러시아 연해주 및 한국과 대하는데 대한해협 중간에 있는 쓰시마(對馬島)은 부산에서 50km거리에 있다 동쪽으로는 오가사와라제도(小笠原諸島)등이 산재하면서 태평양에 면(面)한다
일본(日本)의 국호 한자어는 일출지본(日出之本) 즉 조선(朝鮮)과 같은 의미이다
(1)위치---동북아 동남쪽 남단 열도
(2)면적---377,835평방 km
(3)국경----Km
(4)해안선--29,751km
(5)영해----12해리(어업전관 수역 200해리로 1977년 7월 21일 지정)
(6)인구-----126,280,000명(1억2천6백28만명--2001년도)
(7)수도-----동경(東京,TOKYO)
(8)공용어---일본어. 소수민족 언어(한국어)
(9)문맹률---1%
(10)종족구성--일본인(99.4%). 한국인(0.6%)
(11)종교-----신도(神道, 충효적 유교). 불교. 기독교등
(12)독립-----연합군 점령군에 의하여 1952년 4월 28일 독립국가로 인정
(13)헌법-----1946년 11월 3일
(14)정체------입헌군주제
(15)정부형태----내각책임제
(16)국가원수----명인(Akihito)국왕(1989년 1월 즉위)
(17)실권자------고이즈미 총리
(18)대의기구-----양원제
정원은 참의원 247명과 중의원 480명이며 임기는 참의원 6년이며 중의원은 4년이다 수상이 중의원을 해산할 수 있으나 참의원을 해산할 수 없다
(19)정당-----자민당. 민주당. 공산당. 사민당. 공명당. 보수신당등
(20)정부 성향---자유민주(自由民主)
자본주의민주주의 혁명 후 자유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등을 인정하고 있다(일본 공산당도 일본국왕제 인정과 자본주의민주주의 혁명을 인정하고 있다)
(21)UN가입---1956년 12월 18일
(22)GDP
GDP은 41,419억 2,700만불이며 1인당 GDP 3,761만불이다(2001년도)
(23)화페단위---엔(円,Yen)
1달러에 100엔 수준이다
(24)무역
ㄱ.수출--40,530,000만불(기계류. 자동차. 전자제품. 철강등)
ㄴ.수입--35,100,000만불(원자재. 석유. 석탄. 식료품등)
일본 북방섬과 사할린쪽에서는 석유가 매장되었으며 생산되고 있다 사할린을 보고 중동의 쿠웨이트로 부르고 있다
(25)국방비---4,350,000만불(2002년도)
(26)군사력
ㄱ.육군-----148,197명
ㄴ.해군------44,404명
ㄷ.공군------45,582명
ㄹ,통합막료회의---1,656명
일본은 헌법으로 전쟁을 포기하고 육해공군의 전력을 보유하지 않을 것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그 원칙은 1950년 한국전쟁 발발 직후 맥아더 사령부의 지시에 의해 7만 5000명의 경찰 예비대가 설치됨으로써 파기 되었다(일본 사람들도 한국전쟁때 한반도 일부지역에 파견되어 한국정부를 도와 주었다)
1952년 미일안보조약이 발효되자 일본은 미군의 주둔을 인정하는 한편 일본의 재군비의무 때문에 일본군대는 미국의 원조에 의해 점차 증가 되었다
경찰예비대는 1952년 보안대(保安隊)가 되고 1954년 자위대(自衛隊)가 되어 명실상부한 군대로 변모 하였다 1960년의 안보조약 개정으로 자위대는 일본의 방위뿐만 아니라 재일미군의 방위의무를 지게 되어 미국의 핵우산 밑의 안보체제하에서 일본은 급속한 군비증강을 이루어왔다
고이즈미 총리는 일본 자위대를 일본 국군으로 탈바꿈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일본 자위대는 유엔군으로 지위와 역할로 세계 각 지역 평화유지군으로 활동을 해야 할 시기이다
(27)군사동맹--미일안보조약(1960년 1월)
(28)남북관계
한국과 일본 사이의 국교정상화는 1965년 12월 했으며 북한과는 미수교국가이다
북한 김일성 김정일정부는 반일인민전쟁론자 국가사회주의 정부로 일본 국왕제와 일본정부를 파시즘 국가로 규정하며 김일성전주석을 반일 반미투쟁가, 반일 반미 전쟁의 영웅으로 묘사하고 있다
2.일본국왕
(1)천황(天皇)
천황은 일본의 역대 군주에 대한 칭호이다
원래는 중국에서 쓰던 말로 만물을 지배하는 황제라는 뜻이다
일본이외의 국가에서는 중국에서 당나라 고종(高宗)이 천황이라 칭한 외에는 예가 없다 천황이란 일종의 지위를 가르키는 경우와 그 지위에 있는 특정 개인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전에는 일본 군부의 정권 장악으로 군국주의 부활로 천황은 국가의 원수로서 절대적인 통치권(정치대권)과 통수권(군사대권)을 한 몸에 장악하고 행사하였으나 현재의 헌법에서는 일본국가 및 일본국민 통합의 상징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요즘은 일본 천황보다는 일본국왕으로 호칭하는 것이 일반화 되고 있다
(2)일본 역대 국왕(무쓰히토 국왕부터 아키히토 국왕까지)
ㄱ.무쓰히토(睦仁:목인)
일본의 제122대 왕 무쓰히토(睦仁.1866-1912) 국왕은 1867년 16세의 나이로 즉위하여 이듬해 9월 연호를 메이지<明治>로 고치고 일세일원제(一世一元制)를 택하였다
이에 따라 그의 재위기간을 메이지 시대라고 부른다
1869년 에도(江戶)를 도쿄(東京)로 고치고 도쿠가와부(德川幕府) 아성이던 에도성(江戶城)을 왕궁으로 정하였다 최고통치권자로 천황친정(天皇親政)의 대의명분 아래 왕정복고를 실현하고 메이지 신정부를 수립하는 메이지 유신에 성공하였다
<군인칙유,1881년> <일본제국 헌법, 1889년> <황실전범, 1889년>의 제정과 <교육칙어,1890년>의 발표등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메이지를 중심으로 하는 절대주의적 친황제 국가를 완성시켜 나갔다
특히 제국헌법에서도 왕의 국가통치 대권, 육해공군 통수권을 명기 하였다 교육칙어에서는 왕의 국민도덕의 중심임을 밝힘으로써 천황제국 국가를 유지하는 2대 이념으로 삼았다 그리고 청일전쟁(淸日戰爭)과 러일전쟁(露日戰爭)의 승리는 왕에 대한 국민의 숭앙(崇仰) 더욱 절대적인 것으로 하였다
*睦仁--화목할 (睦). 어질 인(仁)
ㄴ.요시히토(嘉仁:가인)
일본의 제123대 왕 요시히토(嘉仁,1912-1926) 국왕은 연호를 다이쇼(大正),메이지(明治) 일본 왕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2명의 형이 모두 죽자 1889년 왕세자가 되었다 생후부터 앓은 뇌막염이 완치되지 않아 1919년 제1차 세계대전 후 열린 의회 개회식 참석을 취소하였으며 마침내 1921년 장남 히로히토(睦仁)를 섭정에 임명하고 실질적인 정무(政務)에서 물러났다 재위기간 중 대내적으로 의회 운영이 점차 활발해지고 선거권이 확대 되었으며 영국과 미국에 협력하는 외교정책을 전개 하였다 한국에 대해서는 조선총독부를 세워 토지조사사업을 벌여 한국에 경제적 수탈을 감행 하였으며 1919년 3월 1일 운동을 무력으로 억눌렀다
*嘉仁----아름다울 가(嘉). 어질 인(仁)
ㄷ.히로히토(裕仁:유인)
일본의 제124대 왕 히로히토(裕仁,1926-1989)국왕의 칭호는 미치노미야(迪宮)이며 다이쇼(大正) 일본 왕의 장자이며 1916년 입태자의 의식, 1919년 성년의 예식을 거쳐 1921년 다이쇼(大正) 일본 국왕의 섭정이 되었고 1924년 나가코 왕녀(良子王女)와 결혼 했으며 1926년 12월 왕위에 올랐다<실질적으로 국왕의 교육과 예법으로 받고 자란 1세대 왕이다>
중일전쟁에 이어 제2차 세계대전등 일본의 팽창주의 역사를 체험하였고 1946년 이라히토가미(現人神)로서의 신격(神格)을 부정하는 인간선언을 발표하여 일본국가 헌법제정과 함께 상징적인 국가원수가 되었다
히로히토 국왕은 과학자로서 생물학 연구하여 <사가미만(相模灣). 후갑류도보(後閘類圖譜)> <나스(那須)의 식물>등을 저술 하였다 히로히토 국왕 생물학 연구 덕분으로 일본 사람들 중 노벨과학(물리학)상 수상자가 많이 배출되었다
*裕仁--너그러움 유(裕). 인자할 인(仁)
*迪宮--나아갈 적, 순할 적. 열어줄 적(迪). 궁궐 궁(宮) . 뜻--문호 개방이나 개화
*現人神--나타날 현(現).사람 인(人). 귀신 신. 신격할 신(神)
*那須---편안할 나. 많을 나. 땅이름 나(那). 물고기 아가미 벌덕거릴 수(須). 뜻-- 나고야 물고기에 대한 연구
*相模灣--서로상(相).법 모, 모범할 모(模). 물굽이 만(灣)
*後閘類圖譜--뒤 후(後). 물문 갑(閘). 무리류(類). 그림 도(圖). 계보 보(譜)
ㄹ.아키히토(明仁:명인)
일본의 제125대 왕 아키히토(明仁,1990년 1월 즉위) 국왕은 제124대 히로히토 선왕(先王)의 장자으로 칭호는 쓰구노미야(繼宮)이다 1952년 가쿠슈인(學習院) 고등과를 졸업하고 이 해에 왕세자가 되었다 1956년 가쿠슈인대학 정경학부를 수료하고 1959년 쇼다 미치코(正田美智子)와 결혼하여 슬하에 2남 1녀가 있다 1953년 영국여왕 엘리자베스의 대관식 참석을 시작으로 세계각국을 순방 하였다 1989년 히로히토 국왕의 죽음으로 왕위를 계승하고 연호를 헤이세이(平成)로 고쳤다 1990년 11월 즉위식을 가졌다
아키히토(明仁) 국왕께서는 2003년 12월 23일 고희(古稀,70세)를 맞았으며 일본 언론과 회견에서 일생에서 가장 슬픈 일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300만명 이상의 일본인과 많은 외국인이 생명을 잃은 것이이며 > 기뻤던 일은 <일본이 전쟁의 폐허를 딛고 경제강국으로 도약한 것과 주위의 반대를 무릅쓰고 평민출신인 황후와 결혼한 것이다>라고 말씀 했다
*繼宮--이을 계(繼). 집 궁(宮)
*平成--평범할 평, 평평할 평(平). 이룰 성,다할 성(成) 뜻--평민 또는 평범한 삶
3.일본의회와 내각
일본에서 국회 해산권은 의원 내각제에서 수상이 행사하는 권한으로 의회의 내각 불신임권에 맞서 내각과 의회간의 균형을 위해 부여돼 있는 권한이다
일본 국회는 중.참의원 양원으로 구성되나 해산권은 중의원에만 적용된다
해산권이 적용되지 않는 참의원은 6년의 임기가 보장되며 3년마다 정원의 절반을 개선한다 이에 비해 임기 4년인 중의원은 임기만료 또는 수상이 해산권을 행사했을때 전의석을 개선하기 때문에 총선거로 불린다
일본 헌법은 국회 해산에 따른 총선거를 해산한 날로부터 40일 이내에 실시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투표는 실시 12일전에 공고되며 선거 후 30일 이내에 국회를 소집하도록 규정돼 있다
(1)일본 국회
일본에서 주권인 국민의 의지를 반영하는 기관인 국회는 국권의 최고기관으로 규정되어 국정의 핵심을 이룬다 영국식 의원내각제를 채용했기 때문에 국회는 첫째로 총리지명권과 중의원의 내각 신임 또는 불신임의 의결권등을 가진다
둘째로 국가의 유일한 입법기관으로서 모든 법률안을 심의, 의결하는 권한을 가진다 의안의 제출권은 내각 총리와 의원 양자가 가지나 예산안 제출권은 내각만이 가진다 또 조약의 승인도 국회의 권한에 속한다
셋째로 미국적인 삼권분립의 이념에 입각하여 국회는 국정조사권과 재판관의 탄핵재판권을 가지나 반대로 내각의 중의원 해산권, 최고재판소의 법령 위헌심사권에 의해 견제되기도 한다
ㄱ.일본 국회는 참의원과 중의원 양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양원제도이다
참의원은 지역대표이며 중의원은 주민대표이다
참의원의 임기는 6년이며 중의원의 임기는 4년이다
ㄴ.일본 국회는 중의원, 참의원 양원으로 구성되나 해산권은 중의원만 있다
참의원이 일본정치와 국회. 내각등을 사실상 장악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왕제와 함께 정치안정과 정책지속성 유지에 도움이 되고 있다
ㄷ.일본수상은 참의원이나 중의원 출신 중 중의원의 과반수 이상 확보한 정당 당수로 추대한다
ㄹ.일본국회는 양원제로 중의원, 참의원으로 구성되는데 중의원은 예산안, 총리지명권, 조약비준등에 관해 참의원보다 우월한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또 일반 법안에 관해서도 양원의 의결이 다를때는 중의원이 2/3이상의 찬성으로 참의원의 의결을 뒤엎을 수 있다
(2)일본 내각
일본의 행정권 주체인 내각의 수상은 국회의원 중에서 국회의 의결로 선출된다 수상은 다른 20명 이내의 국무대신을 임명하는데 그 과반수가 국회의원이어야 한다 내각은 행정권을 행사함에 있어서 국회에 대하여 연대 책임을 지며, 개개의 국무위원의 독주는 금지되고 있다
내각은 일반적인 행정권외에 국회에 대한 의안제출권, 조약체결권, 예산편성권, 사면 결정권, 최고재판소 장관 지명권(일본 국왕이 임명) 및 판사 임명권등 권한을 가진다 또 헌법이나 법률실시를 위한 정령(政令)을 제정하는 하급입법권을 가진다 내각 밑에는 각 성(省)과 청(廳)이 있다
(3)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수상
1942년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스카 시(市)에서 태어나 게이오기주쿠대학(慶應義塾大學)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영국 런던대학교에 유학 하였다
조부(祖父)가 우정상을 부친(父親)이 방위청장관을 지낸 3세 정치가로 런던 유학 중이던 1969년 부친이 사망하자 지역구를 물려받아 선거에 처음 출마했으나 고배를 마시고 1972년 처음으로 중의원 의원에 당선 된 후 2001년 현재 10선 의원이다
1992년 우정상, 1996년 후생상을 지냈고 특히 1997년 일본국회 의원 재직 25주년 때 장기근속 표창과 그에 따른 특전을 포기해 화제를 모았다 또 국회의원으로는 퍼머를 해 주목을 받은 한편 우정사업 민영화를 주장해 자민당 최대 지지세력 가운데 하나인 우정사업 종사자들과 자민당 내 실력자들의 반반을 사기도 하였다
1995년 9월에는 우정사업 민영화를 내걸고 하시모토 류타로(橋本龍太郞)와 총재 자리를 놓고 싸웠으나 대패하고 1998년에는 오부치 게이조(小淵惠三) 전총리와 대결하였으나 역시 패하였다
그러나 명성과 인기는 급상승해 2001년 4월 24일 자민당내 최대파벌의 회장인 하시모토 류타로를 물리치고 일본 총리에 당선되었으며 2001년 10월 16일 한국을 방문 하였다
소신파이자 원칙주의자로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과 관련해 한국측의 재수정 요구에도 일본 역사교과서는 별 문제가 없다는 부정적 입장을 밝히는 한편 야스쿠니(靖國) 신사참배 의사표명, 자위대의 집단 자위권 용인등 보수 우경화 정책을 고수하고 있어 한국등 주변국의 반발을 사기도 하였다
일명 <헨진(變人:괴짜)> <일언거사(一言居士)>로 불리는 파격적이고 독설적인 언동으로도 유명하다
고이즈미 내각이 해야 할 일은 다음과 같다
(ㄱ)태평양과 동아시아국가연합 구성
미국. 일본. 중국. 한국등 주도로 자유무역지대 설정과 다국적군 창설
(ㄴ)한국 일본 중국등 문자통일에 노력
지금 사용하는 일본이나 중국 문자가 한국 문자 즉 한글로 나아가고 있는 경향이라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각국 정부 언어학자들께서 구시대 폐습인 한문 형태 문자를 탈피하고 신세대 한글 문자로 개조해 나가야 한다(솔직히 중국문자나 일본문자를 한글로 변화 하는 시기이다)
(ㄷ)한국 중국 일본등 삼국이 정치,사회. 문화 통합화
화폐단일화와 연합적 재정확보방안등으로 중국, 일본, 한국등이 단일금융기관 설립하는데 노력해야 한다
(ㄹ)중국 일본 한국등이 단합하여 북한 민주화 자유화 개방화 정부 수립에 노력해야 한다
*靖國--생각할 정(靖) 나라 국(國)
4.일본의 지방자치
일본의 지방자치단체는 평면식 모델로 촌(村)--정(町)--시(市)등이다
촌(村)에서 인구가 증가하면 정(町)이 되고 정(町)의 인구가 증가하면 시(市)가 된다
지방자치단체 장과 지방자치단체 의회 의원은 주민이 직접 선출하며 임기는 4년이다
촌 단위는 한국의 시골처럼 주민이 100명 미만도 있으며 친족장(족장)이 통치하는 곳도 많다 그래서 그러지 일본은 한국과 다르게 향토성이나 친족 뿌리의식이 남아 있다(가문이나 벌족등이 존재하고 있다)
5.일본 사람들의 좋은 점과 나쁜 점
(1)일본 사람들의 좋은 점
ㄱ.서구문명의 선구자
ㄴ.가족주의와 유교적 민주주의
ㄷ.정직한 사람
(2)일본 사람들의 나쁜 점
ㄱ.과거를 잃어버리는 성격
일본 국호 등장 근대 이전에는 일본 각 종족(친족) 끼리 500년간 전쟁으로 수 백만명의 일본사람들이 죽었다 일본열도 분열보다는 단결과 통합이 필요하다 그리고 동아시아 번영과 평화를 위하여 희생정신이 필요하다<일본의 중세와 근세 시대 말 우리는 아침에 일어나 들판을 바라볼때 시체들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다 그때 많은 사람들이 전쟁을 피해 한반도와 중국 대륙등지로 이주하였다--일본 소설책 글 인용>
ㄴ.중국인과 다른 곰성격이 아닌 여우성격이 있는 기질
일본 사람들도 중국인처럼 대륙의 기질 곰 성격도 있어야 한다
일본열도는 한반도 보다는 면적이 넓으며 일본 거주 인구도 한반도 남북국가 인구보다 많다 일본 전체 국민들 중 0.6%가 한국인이며 고대사 입장에서 본다면 일본열도도 한반도 종족으로 볼 수 있다 한반도 종족은 중국대륙 종족이다
일본 국민들도 중국화 되어가는 것이 과거나 현재 그리고 미래 현실이다
중국은 일본보다 면적이나 인구 규모등에서 볼때 10배이상이다(兒城中日韓一)
아성(兒成) 허관(灌=고이즈미=小泉純,Kwan) 씀
*兒成-사내 아(兒) 아이아(兒), 이룰성(成). 다할 성(成) 뜻: 새 생명(성모 마리아 상)
'Guide Ear&Bird's Eye24 > 일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가사키 오늘 원폭이 투하된지 61년째 (0) | 2006.08.09 |
---|---|
메구미의 사망 전하는 김영남의 자필 편지 (0) | 2006.07.08 |
김영남 기자회견 일문일답 (0) | 2006.06.29 |
"메구미 94년 4월13일 병원서 자살" (0) | 2006.06.29 |
일본, 각국 주일 대사들에게 납북 피해자문제 협력 요청 (0) | 2006.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