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스크랩] [펌] 개성공단으로 북한은 사실상 개성을 포기하였다 - 1 본문

Guide Ear&Bird's Eye/유엔평화유지군(연합군-한국 국방부,NATO)

[스크랩] [펌] 개성공단으로 북한은 사실상 개성을 포기하였다 - 1

CIA Bear 허관(許灌) 2005. 5. 30. 14:07

출처 : 한류열풍 사랑 [cafe.daum.net/hanryulove]

 

다시 편집해서 올려 드립니다. 1편이 너무 길어서 1편과 2편의 길이를 조정하여 다시 올렸습니다. 제가 이 문제에 대하여 글을 쓰려고 벼르고 있었지만, 여유가 없어서 이렇게 올려 드릴 수밖에 없습니다. 많이 읽어주시고 의견 남겨 주세요^^ 많이 퍼가 주시길 바랍니다.

[단독 공개]


개성공단 개발로 휴전선 사실상 北上
●인민군 4개 보병연대·전차대대 후방 이전 ●일부 장사정포 재배치 불가피

유사시 북한군의 공격루트 1호였던 개성-문산 연결지역의 인민군 전력이 대대적으로 이동하고 있음이 국방부 및 합참 관계자들을 통해 속속 확인되고 있다.

인민군 6사단, 64사단, 62포병여단 등이 주둔하고 있던 개성·판문점 일대 평야지대에서 개성공단 개발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이들 부대가 송악산 이북과 개풍군 일대로 자리를 옮겼다는 것. ‘사실상의 휴전선 북상’에 해당하는 이러한 변화는 한반도 안보지형에 어떤 결과를 초래할 것인가.



2003년 2월 개성공단 건설 공동협력 사업자인 한국토지공사와 현대아산의 개성공단 육로답사팀이 탄 버스가 군사분계선을 통과하고 있다.


1976년 8월21일 오전 7시. 판문점 주위 상공에는 수십 대의 헬기와 전폭기가 즉각 휴전선 이북에 폭격을 퍼부을 태세를 갖추고 선회하고 있었다.

1사단 전장병은 실탄을 지급받아 진지에 투입됐고 포병들도 포신을 돌려 북한측 주요목표에 정조준했다.

8월18일 북한 병사들이 미군장교 두 명을 살해한 ‘판문점 도끼만행사건’으로 촉발된 이 무력시위는, 문제가 됐던 미루나무를 절단하려고 공동경비구역에 집결한 한미 양국군을 엄호하기 위한 것이었다.

당시 한미 양국군 지휘부는 절단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북한이 도발할 경우 군사분계선을 넘어 연백평야까지 진격한다는 계획을 세웠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병현 전 합참의장 등 당시 연합작전 관계자들은 이후 회고록과 인터뷰를 통해 “북한이 취할 공격행위의 규모와 형태에 따라 개성까지 보복범위에 포함시킬 것을 결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를 기회 삼아 휴전선을 예성강까지 북상시킴으로써, 군사대치선이 서울에서 지나치게 가까운 현재 상황을 개선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세에 눌린 북한군은 정찰활동 말고는 아무런 대응도 하지 못했고, 한미 양국군의 작전은 별다른 무력충돌 없이 마무리되었다. 개성을 점령하고 휴전선을 북상시킨다는 유사시의 작전개념 또한 실현되지 못한 채 조용히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사반세기가 지난 지금, 군사대치선을 임진강에서 예성강으로 옮긴다는 당시의 아이디어가 현실이 되고 있다. 판문점에서 개성 구시가지 사이의 평야지대와 주변 산지에 배치되어 있던 인민군 지상군 전력이 상당부분 북상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는 한미 양국군의 군사작전에 의한 것은 아니다. 현대아산과 한국토지공사가 개성시 전체와 판문군 일부 2000만평에 걸쳐 진행중인 ‘개성공업지구 개발사업’이 총소리 한번 없이 ‘휴전선을 밀어올린’ 주인공이다.

한반도 최고의 전력 밀집지역

판문점을 사이에 두고 개성과 문산을 연결하는 통로는 한반도 전체에서 가장 군사전력 밀도가 높은 지역이다. 철원-포천 회랑, 동해안 도로와 함께 유사시 남하하는 인민군 지상전력의 대표적인 이동경로가 바로 이 지역이기 때문이다.

38선이 군사분계선이었던 한국전쟁 당시에는 철원-포천 회랑이 서울과 가장 가까웠지만 현재는 개성-문산을 통해 훨씬 빠르게 서울에 닿을 수 있기 때문에 이 지역이 주공격 루트다.

반대로 한미 양국군이 북으로 밀고 올라가는 경우를 가정하면 개성은 평양으로 가는 핵심 교두보다.

고속도로로 연결되어 있는 평양과 개성은 자동차로 불과 두시간 남짓 거리다. 전력이 집중되어 있는 개성 지구와 황해북도 일대의 저지선이 무너지면 평양까지는 말 그대로 ‘무주공산’이나 다름없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인민군 지휘부는 이 지역을 중부나 동부전선에 비해 중점적으로 관리해 왔다. 주요지휘관 시범교육도 주로 이 지역 사단장들을 중심으로 진행할 정도라는 것.

1970년대 후반 오진우 당시 인민무력부장은 해외순방을 마치고 돌아오자마자 지휘관들을 모아놓고 작전교육을 실시해, 개성 전선에 자신이 외국에서 보고 온 대전차 철조망 장애물을 설치하도록 지시할 정도였다고 한다.

이쯤 되면 서부전선의 최고 요지인 이 지역의 인민군 전력밀도가 엄청났으리라는 사실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일이다.

개성 시가지를 포함해 이 지역을 관할하는 인민군 부대는 2군단 6사단. 6사단은 크게 4개 보병연대와 1개 포병연대, 탱크대대와 경보병대대로 구성된다. 이들 대부분은 개성과 판문점 사이의 벌판지대에 주둔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서울을 겨누고 있는 62포병여단 장사정포가 이 지역에 자리잡고 있고, 1990년대 말에는 개마고원 지역에 있던 64사단이 로 옮겨져 국도 1호선(남북 연결도로) 주변에 배치됨으로써 한국군 정보 관계자들을 당황하게 만들기도 했다.

최고사령부와 군단사령부

주목할 것은 지난 2000년 남북정상회담 직후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합의한 개성공단 건설사업의 부지가 바로 이 지역이라는 점이다.

이후 우여곡절 끝에 2003년 6월 1단계 사업부지 착공식이 열린 개성공단 조성사업은 판문점과 개성 사이의 벌판 2000만평에 공업단지 800만평과 배후도시 1200만평을 건설한다는 계획 하에 추진되고 있다.

======================


특히 토공이 사업시행을, 현대아산이 시공을 각각 맡아 2007년까지 100만평을 우선 조성해 섬유, 의류, 전기, 전자 등 300여 업체를 입주시킬 예정인 1단계 사업부지는 6사단의 주요부대 위치와 상당부분 일치한다. 1단계 부지도 6사단 주요 부대도 모두 경의선 철도를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는 까닭이다.

북한은 2002년 11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성공업지구를 내옴에 대하여’를 만들어 이 일대 행정구역을 개편하고 공단조성사업을 위한 법적 체계를 마련했다. 공업지구 전체는 개성시 산하로 편입되었고, 이 일대는 특별구역으로 설정됐다.

이 지역에 주둔하고 있던 주요 전력들이 이전하는 것 또한 이러한 준비작업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개성공단 예정부지이자 6사단 주둔지였던 벌판지대는 북쪽으로 송악산, 서쪽으로 오공산, 남쪽으로 진봉산에 둘러싸여 있다. 이들 산에도 군사시설이 밀집해 있기는 마찬가지다.

송악산에는 전쟁이 날 경우 김정일 위원장이 지휘하는 최고사령부가 설치될 예정이어서 이 시설을 관리하는 감시소가 자리하고 있고, 진봉산에는 군단사령부 감시소가 자리잡고 있다.

특히 진봉산 일대는 1960년대부터 김창봉 전 민족보위상(현 인민무력부장)의 현지지도 아래 산 전체를 엄청난 깊이의 갱도로 휘감은 고도의 군사기지라고 인민군 전력에 정통한 인사들은 설명한다.


다음 편에 계속됩니다

출처 : 아시아연방론
글쓴이 : 도들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