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트럼프-푸틴·젤렌스키 연쇄 통화 “종전협상 즉각 개시” 본문

흑해 주변국/우크라이나

트럼프-푸틴·젤렌스키 연쇄 통화 “종전협상 즉각 개시”

CIA Bear 허관(許灌) 2025. 2. 13. 08:3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오른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잇따라 통화하고, 전쟁을 끝내기 위해 즉각 협상을 시작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방금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길고 생산적인 통화를 마쳤다”고 적은 뒤 “우크라이나 문제, 중동, 에너지, 인공지능(AI), 달러의 힘, 그리고 다양한 주제에 관해 논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상대 국가 방문을 포함해, 매우 긴밀하게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우리가 모두 동의한 바와 같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수백만 명이 목숨을 잃고 있는 상황을 멈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각국 협상팀이 즉시 협상을 시작하기로 합의했다”고 덧붙였습니다.

◾️ 루비오 등 협상 대표 지정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위해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 존 랫클리프 CIA(중앙정보국) 국장, 마이클 월츠 국가안보보좌관, 그리고 스티브 위트코프 특사에게 협상을 이끌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2022년 2월 개전 당시) 내가 대통령이었다면 애초에 일어나지 않았을 전쟁이지만, 지금은 벌어졌고, 따라서 반드시 끝내야 한다”고 강조하고 “더 이상 희생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어서 “이번 노력이 성공적인 결말로 이어지기를 바라며, 그날이 머지않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지금 바로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이번 대화 내용을 알릴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뮌헨 회의 긍정적 결과 희망”

트럼프 대통령은 약 한 시간 뒤 다시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려 “젤렌스키 대통령과 방금 통화했다”고 밝히고 “대화는 매우 원만하게 진행됐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어서 “젤렌스키 대통령도 푸틴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평화를 원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전쟁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논의했으며, 특히 금요일(14일) 뮌헨에서 열릴 회의에 대해 집중적으로 이야기했다”고 소개했습니다.

아울러 “이 회의에서는 JD 밴스 부통령과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대표단을 이끌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함께 “나는 이 회의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오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하면서 “이제 이 터무니없는 전쟁을 끝낼 때”라고 덧붙였습니다.

독일 뮌헨에서는 오는 14일부터 16일까지 각국 정상급 인사 약 60명이 참석하는 뮌헨안보회의(MSC)가 진행됩니다.

밴스 부통령과 루비오 장관이 뮌헨안보회의 현장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을 직접 만나 구체적으로 종전 협상에 관해 논의할 전망입니다.

VOA 뉴스

미국,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위한 외교 돌입

2025년 2월 1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워싱턴D.C.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연설을 하고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본격적인 외교에 나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2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잇달아 통화하고 협상 착수를 지시했습니다

진행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 우크라이나 정상들과 각각 통화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기 위한 협상 중재에 나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2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에게,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긴 시간 통화했다고 밝혔는데요. 트럼프 대통령 이야기 먼저 들어 보시죠.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We had a great call, and it lasted for a long time. Over an hour. This morning I also had with President Zelenskiy a very good call after that. And I think we're on the way to getting peace. I think President Putin wants peace and President Zelenskiy wants peace. And I want peace.”

기자) 푸틴 대통령과 좋은 통화를 했고 통화가 한 시간 넘게 지속됐다는 겁니다. 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과도 아주 좋은 통화를 했다고 밝혔는데요. 그러면서 “우리는 평화를 향해 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도 평화를 원하고 젤렌스키 대통령도 평화를 원한다고 생각하며, 자신도 평화를 원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진행자) 전쟁을 시작한 푸틴 대통령도 지금 휴전을 원하고 있다는 건가요?

기자) 그렇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람들은 푸틴 대통령의 생각이 무엇인지 잘 모르지만, 자신은 푸틴 대통령이 전쟁을 끝내길 원한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가능한 한 빨리 전쟁을 끝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이날(12일)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별도로 올린 글에서 “우리 둘 다 동의했듯이, 우리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발생하는 수백만 명의 죽음을 막고 싶다”고 강조했습니다.

진행자)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에 착수하라는 지시도 내렸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양국 협상팀이 즉시 협상을 시작하기로 합의했다면서, 미국에서는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 존 랫클리프 중앙정보국(CIA) 국장,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에게 협상을 이끌도록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위트코프 특사는 중동 문제를 담당하지만, 최근 러시아에 구금됐던 미국인 마크 포겔 씨의 석방을 주도했는데요. 포겔 씨는 11일 백악관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감사를 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에게 “우리는 러시아로부터 정말로 매우 호의적인 대우를 받았다”면서 “우리가 전쟁을 끝낼 수 있는 관계의 시작이길 바란다”고 강조했습니다.

https://youtu.be/dhoBsx6U4qI

진행자)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이 휴전 협상 과정에서, 직접 만날 가능성은 없습니까?

기자) 트럼프 대통령은 전화로 주로 대화할 것이라고 말했는데요. 하지만 대면 회담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이야기 다시 들어 보시죠.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I'll be dealing with President Putin largely on the phone. And we ultimately expect to meet. In fact, we expect that he'll come here and I'll go there. And we're going to meet also probably in Saudi Arabia the first time we'll meet in Saudi Arabia, see if we can get something done. But we want to end that war. That war is a disaster. Really bloody, horrible war.”

기자) 주로 전화로 푸틴 대통령을 상대할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만나게 될 것을 기대한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푸틴 대통령이 미국에 오고, 자신이 러시아를 방문하는 것도 예상한다고 말했는데요. 또 어쩌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처음 만나 무엇을 해낼 수 있을지 볼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진행자) 사우디아라비아가 두 정상의 회동 장소가 될 수 있다는 건가요?

기자) 그렇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직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너무 먼 미래는 아니라고 말했는데요. 그러면서 두 사람 다 모하마드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를 잘 알고 있고, 만나기에 아주 좋은 자리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진행자) 트럼프 대통령이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통화에 관해서는 어떤 이야기를 했습니까?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대화가 아주 잘 진행됐다면서 젤렌스키 대통령도 푸틴 대통령처럼 평화를 원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J.D. 밴스 부통령과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이끄는 대표단이 참석하는 뮌헨안보회의에 관해 주로 논의했다고 밝혔는데요. 회의 결과가 긍정적이길 기대한다면서, 이 터무니없는 전쟁을 멈출 때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진행자)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 방문 가능성은 열어 뒀는데요. 우크라이나도 방문할까요?

기자)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가기로 약속했느냐는 기자 질문에 약속하지 않았다고 말했는데요. 하지만 가는 걸 생각해 보겠다며 아무 문제 없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이 평화 과정에서 우크라이나를 동등한 구성원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흥미로운 질문이라면서 “그들의 국민이 죽어가고 있으며, 그들이 평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는데요. 하지만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 관해서는 약간 여지를 남겼습니다.

진행자) 어떤 이야기죠?

기자) 트럼프 대통령은 평화 과정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을 약간 배제하고 있느냐, 그럴 위험은 없느냐는 기자 질문에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했는데요. 그러면서 ‘그가 거기 있는 한’이라고 단서를 달았습니다. 하지만 어느 시점에서는 선거를 치러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진행자)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금 공식적으로 임기가 끝난 상태죠?

기자) 맞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해 5월로 5년 대통령 임기가 끝났는데요. 하지만 러시아와 전쟁으로 계엄령이 발동된 상황에서 대통령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젤렌스키 대통령의 합법성을 인정하지 않고 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현재의 특수 상황은 인정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선거를 치른 대통령이어야 한다는 이야기로 풀이됩니다.

진행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평화 협상에서 가장 큰 걸림돌 가운데 하나가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NATO) 가입 문제인데요. 이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생각은 어떤 겁니까?

기자) 개인적으로 실용적이라고 생각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 전부터 러시아는 그걸 허용할 수 없다고 말해 왔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은 오랫동안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할 수 없다고 말해 왔고, 나는 그에 대해 괜찮다”고 말했습니다. 또 대부분의 사람이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은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 말한 것 같다고 덧붙였습니다.

진행자) 러시아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내용을 확인했습니까?

기자) 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두 정상이 우크라이나 상황과 분쟁의 평화적 해결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적대행위를 조속히 중단하고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으며, 푸틴 대통령은 분쟁의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밝혔습니다.

진행자) 우크라이나 쪽 반응도 전해 주시죠.

기자) 젤렌스키 대통령은 소셜미디어 X에, 트럼프 대통령과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눴다면서, 팀 차원에서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우크라이나만큼 평화를 원하는 나라는 없다면서 “미국과 함께 러시아의 침략을 막고 지속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평화를 보장하기 위한 다음 단계를 구상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말했듯이 해냅시다”라고 적었습니다.

 

트럼프, 푸틴과 통화 후 '우크라 전쟁 협상 즉시 시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길고 매우 생산적인" 통화를 했다면서,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 개시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SNS 플랫폼 '트루스 소셜'을 통해 푸틴 대통령과 "양측 팀이 협상을 즉각 개시하는 데 합의"했으며, 워싱턴과 모스크바에 서로를 초대했다고도 밝혔다.

이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또한 트럼프 대통령과 "지속적이고 믿을 수 있는 평화"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고 밝혔다.

이처럼 트럼프 대통령이 전쟁 중인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정상들과 잇달아 전화 통화에 나선 가운데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은 우크라이나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 가입할 가능성은 작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측에는 대단히 실망스러운 소식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오는 14일 독일에서 열릴 '뮌헨 안보 회의' 우크라이나 관련 정상 회담에서 미국의 JD 밴스 부통령과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을 만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SNS에 "엄청난 규모의, 정말 불필요한 이 죽음과 파괴를 일으키고 있는 이 말도 안 되는 전쟁을 끝낼 시간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국민에게 신의 축복이 있기를!"이라고 적었다.

푸틴 대통령과의 구체적인 대면 회담 일정은 밝히지는 않았으나, 이후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만날 것"이라고 답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크렘린궁 대변인은 푸틴 대통령 또한 함께 협력할 때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생각을 지지한다고 설명했다. 페스코프 대변인에 따르면 미-러 정상 간 전화 통화는 약 1시간 반 동안 진행되었으며, 푸틴 대통령은 모스크바에 초대하고 싶다는 의사도 밝혔다.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2014년 이전 국경을 되찾을 가능성은 작다고 말했으나, BBC 기자의 관련 질문에 "그 땅의 일부는 되찾을 것"이라고 답했다.

아울러 "아마 그것은 사실일 것 같다"면서 지난 12일 열린 NATO 정상 회담에서 우크라이나의 가입 가능성은 없다고 말한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의 의견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한편 영국 정부는 러시아에 맞선 우크라이나의 방어를 계속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젤라 레이너 부총리는 ITV와의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영국의 지원이 "변함없다"고 표현했다.

한편 제임스 워터하우스 BBC 특파원은 우크라이나 현지 분위기를 파악하며 헤그세스 장관의 이번 발언이 우크라이나에는 큰 타격을 입힐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전임 행정부에 비해 우크라이나에 덜 호의적이라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었으나, 헤그세스 장관의 이 같은 발언에 기뻐할 쪽은 러시아뿐이라는 것이다.

워터하우스 특파원은 NATO 가입 거부, 우크라이나의 승리는 불가능하다는 시각, 향후 동결된 전선 관리 방식에 대한 불확실성 등 러시아는 지난 11년간 우크라이나를 공격한 것에 대해 사실상 보상을 얻는 셈이라고 분석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빠진 우크라이나에 대한 협상은 있을 수 없다"고 거듭 주장해 왔지만, 젤렌스키 대통령 없이 이번 미-러 정상 간 통화가 이루어졌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다양한 사안에 대해 "좋고 상세한 논의"를 했으며, 우크라이나를 방문 중인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도 만났다고 설명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보다 더 평화를 원하는 나라는 없다. 우리는 미국과 함께 러시아의 침략을 막고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평화를 보장하기 위한 다음 단계를 계획하고 있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우리는 앞으로도 연락을 이어가며, 향후 회의를 계획하는 데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AFP 통신에 따르면 미국과 우크라이나 정상 간 통화는 1시간가량 진행되었다.

11일 공개된 '가디언'지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평화 협상의 일환으로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가 점령 중인 지역과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 지역 내 우크라이나가 점령한 영토를 교환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페스코프 대변인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러시아는 영토 교환에 대해 논의한 적이 없으며, 앞으로도 논의하지 않을 것입니다. 우크라이나 부대는 해당 영토에서 추방될 것입니다. 아직 궤멸되지 않은 부대는 모두 추방될 것입니다."

아울러 젤렌스키 대통령은 유럽 국가뿐만 아니라 미국 또한 우크라이나를 위한 안보 계획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이 빠진 안보 보장은 진정한 안보 보장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와는 별개로,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서 "언젠가는 선거가 치러질 것"이라고 말했는데, 이는 2024년 5월 자로 끝난 젤렌스키 대통령의 임기를 가리키는 것으로 풀이된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계속되는 러시아의 침공 및 현재 자국 내 계엄령으로 인해 새로운 대통령 선거를 치를 수 없다는 입장이며, 푸틴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자신들과 협상에 나설 자격이 있는지 거듭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2월 11일 오후 9시(GMT) 기준 러시아 점령지

러시아는 지난 2014년 우크라이나 내 친러 성향 대통령이 물러나게 되자 흑해의 크림반도를 병합하는 한편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에서 유혈 사태를 일으킨 친러 분리주의자들을 지원하고 나섰다.

그렇게 계속 이어지던 분쟁은 결국 약 3년 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전면전을 시작하며 폭발했다.

수도 키이우를 장악하겠다는 러시아 측의 원래 목표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 동, 남부의 영토 5분의 1가량을 장악했으며, 전쟁 중 우크라이나 전국을 공습했다.

우크라이나는 포격 및 드론 공격으로 맞섰고,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에서 지상전을 펼치기도 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정부 모두 비밀에 부치기에 양측의 정확한 사상자 수를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수십만 명(대부분 군인)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었으며, 우크라이나 민간인 수백만 명이 피난길에 오른 것으로 추정된다.

트럼프, 푸틴과 통화 후 '우크라 전쟁 협상 즉시 시작' - BBC News 코리아

 

트럼프, 푸틴과 통화 후 '우크라 전쟁 협상 즉시 시작' - BBC News 코리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각각 통화를 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 종전 협상 즉각 개시에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www.bb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