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고된 '백신 부작용' 겪고도 접종을 후회하지 않는 이유 본문

Guide Ear&Bird's Eye/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고된 '백신 부작용' 겪고도 접종을 후회하지 않는 이유

CIA Bear 허관(許灌) 2021. 3. 23. 03:12

BBC 건강 전문 기자인 제임스 갤라거는 최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았다

내 백신 접종 차례가 됐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너무 기뻤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우한에서 처음 발견됐을 때부터 취재를 해왔기에 더 뜻깊었을지도 모르겠다.

백신을 맞기 위해 소매를 걷어 올렸을 때의 기분이란 정말 특별했다.

지금부터 굉장히 솔직하게 모든 걸 말하겠다. 백신은 날 쓰러뜨렸다.

하지만 분명하게 짚고 넘어갈 부분이 있다. 과거로 돌아간다고 해도 난 또 다시 백신을 맞을 거다.

코로나19에 감염될 바에 백신 부작용을 겪는 것이 더 낫기 때문이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바이러스를 옮기거나 봉쇄령으로 또 한 해를 보내는 것보다도 낫다.

나는 오전 9시 30분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았다. 그리고 그날 저녁 몸 상태가 급격히 나빠졌다. 3일간 침대에서 나오기조차 힘들 정도로 앓았다.

증상으로는 두통과 메스꺼움이 가장 심했고 근육통과 오한도 있었다. 그리고 굉장히 피로했다. "왜 내게 이런 시련을 주시나요?"라고 침대에서 울부짖을 정도였으니 말이다.

왜 어떤 사람들만 특히 더 심하게 부작용을 겪는지 궁금해졌다. 한번 호되게 앓은 만큼, 내 몸에서 굉장한 면역반응을 일으켰을까?

백신 부작용은 왜 발생하나?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은 18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백신은 우리 몸이 코로나바이러스와 싸우고 있는 것처럼 속인다. 이 과정에서 우리 몸이 자연적으로 면역 반응을 일으키게 유도하는 것이다.

먼저 접종 부위에 통증이나 붓기가 생기는 부작용이 있다. 하지만 이런 국소 부작용뿐 아니라 전신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다. 오한이나 근육통, 피곤함, 메스꺼움, 두통 등의 증상이다.

이런 증상은 항체 형성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반응일 수 있다. 면역반응이 잘 일어나고 있다는 뜻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에든버러 대학의 면역학 및 전염병 교수인 엘레노어 라일리는 이런 부작용은 "염증 반응에서 기인한다"고 말한다.

그는 백신을 맞았을 때 우리 몸은 "면역 반응을 시작시키고 몸에 무슨 일이 생긴 건지 파악하기 위해 먼저 면역 세포를 접종 부위로 보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사람들이 크고 작은 통증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보통 이런 증상은 2~3일이 지나면 사라진다.

왜 일부만 더 심하게 부작용을 경험할까?

부작용의 정도는 사람마다 크게 다르다. 어떤 사람은 너무 경미해 아무것도 못 느끼고 넘어가고, 어떤 사람은 컨디션은 좋지 않지만 일은 할 수 있을 정도로 부작용을 느낀다. 어떤 사람은 침대에 누워 쉬어야 할 정도의 통증을 앓는다.

옥스퍼드-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임상시험을 이끈 앤드루 폴라드 교수는 "나이가 부작용 발생에 큰 요소"라면서 "나이가 많을수록 부작용이 덜했는데 특히 70대 이상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젊은 연령층의 경우, 백신 항원이 체내에 들어갔을 때 면역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강도가 더 셀 수 있어 부작용이 더 심할 수 있다.

하지만 같은 나이의 두 사람이라도 굉장히 다르게 백신에 반응할 수 있다.

라일리 교수는 "우리 면역체계에는 엄청난 유전적 다양성이 있다"며 "사람마다 경험이 다른 이유가 여기 있다"고 밝혔다.

이는 즉 면역체계의 반응 폭이 사람마다 다르다는 뜻이다. 어떤 사람의 면역체계는 더 뜨거워지고 공격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임상시험을 이끈 앤드루 폴라드 교수가 백신을 맞는 모습

그는 백신 접종 후 심하게 독감 증상을 보이는 사람의 경우 면역체계가 과민반응을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사람마다 감기에 걸렸을 때, 몸이 아프다고 느끼는 정도가 다 다르다고 덧붙였다.

"일반 몸살감기에 걸렸을 때 특히 더 많이 아파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코로나19에 이미 걸린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조금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작용이 나타나면 면역력이 더 높아지나?

강도 높은 부작용을 겪은 만큼 난 내 몸에서 더 강한 면역반응이 일어났을 것으로 생각했다. 그리고 과거 다른 백신 사례를 봤을 때, 나의 이론은 그럴싸했다.

폴라드 교수는 2009년 유행성 독감을 예를 들며, 이 경우 강한 부작용이 강한 면역반응을 의미했던 적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코로나19 백신은 그렇지 않았다. 백신을 맞은 사람 모두가 같은 면역반응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 사이에서는 부작용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는데도, 면역반응은 같았습니다."

면역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크게 선천 면역과 적응 면역으로 나뉜다. 선천 면역은 항상 존재하는 반응으로 활성화 돼 있다. 이에 반해 적응 면역은 감염에 반응함으로써 발전하고 감염에 적응한다.

라일리 교수는 "면역 반응의 초기인 선천 반응은 연령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고 사람에 따라서도 다르다. 이 부분이 개인의 부작용의 강도를 결정한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적응 면역 반응에서 항체 단백질을 생산하는 B세포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공격하는 T세포를 깨우기 위해서는 선천 반응의 일부만 필요합니다."

두 번째 접종 때도 이럴까?

한국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 백신이 사용 승인을 받았다

두 번째 접종 때도 또 부작용이 발생할지 걱정되는 건 당연하다. 그런 당신에게 좋은 소식이 있다.

아스트라제네카 임상시험을 진행한 폴라드 교수는 "두 번째 접종 때 부작용이 훨씬 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도 백신마다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화이자 백신의 경우, 두 번째 접종 이후 부작용이 더 흔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에게 덜 나타나는 건 같다.

부작용 얘기가 사회에 해로울까?

요즘 뉴스만 틀면 백신 부작용에 관한 내용이 가득하다. 극히 드물지만, 백신 접종 후 소수의 혈전 질환 부작용 사례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유럽연합의 의약품 규제기구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혈전 발생 위험 증대와 연관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코로나 백신 접종 후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은 사실이다. 이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뿐 아니라 다른 백신들도 마찬가지다.

폴라드 교수는 이런 부작용 발생 사례를 투명하게 보고하고 사실 그대로 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단순히 백신을 맞으면 된다고 생각하고 접종을 받은 사람들이 갑자기 아프기 시작하면 우려가 그만큼 클 수밖에 없습니다."

백신 접종 후 응급실 찾는 사람들

지난 14일 코로나19 확진 환자가 발생해 임시운영 중단에 들어간 서울대병원 응급실

한국의 경우, 지난 2월 26일부터 3월 13일까지 근육통을 비롯해 발열 등의 백신 부작용으로 약 1100명이 응급실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발열 환자가 80%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19일 정례브리핑에서 접종 후 주사 부위 통증, 근육통, 발열 등 증상으로 접종 당일이나 다음날 응급실을 방문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특히 "단순한 발열이나 근육통으로 응급실을 가도 별다른 처치를 해드릴 수 없다"며 "집에서 경과를 보며 휴식을 취해달라"고 덧붙였다.

다만 호흡곤란과 의식이 흐려지는 경우 등 심각한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윤 반장은 "진통제를 복용했지만, 접종 후 이틀이 지나도 발열과 근육통이 지속해 일상생활이 어려운 경우에는 가까운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아달라"고 권고했다.

정부는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가 잇따르자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휴식'을 제도화하는 것을 추진 중이다.

보건 당국은 발열 증상이 심하면 타이레놀 같은 소염 효과가 없는 해열진통제(아세트아미노펜 성분) 복용을 권했다. 소염 효과가 있는 아스피린이나 이부프로펜 진통제는 항체 형성에 방해가 될 수 있어 피해야 한다.

고된 '백신 부작용' 겪고도 접종을 후회하지 않는 이유 - BBC News 코리아

 

고된 '백신 부작용' 겪고도 접종을 후회하지 않는 이유 - BBC News 코리아

BBC 건강 전문 기자인 제임스 갤라거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았다. 그는 침대에서 나오기조차 힘들 정도로 심하게 앓았다.

www.bb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