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북한 ‘우리민족끼리’ 웹사이트, 독자 게시글 늘고 내용도 다양해져 본문
북한 ‘우리민족끼리’ 웹사이트, 독자 게시글 늘고 내용도 다양해져
CIA Bear 허관(許灌) 2019. 11. 9. 21:41북한의 대남 선전용 웹사이트 '우리민족끼리'에 올라온 독자 게시글.
북한의 대남 선전용 웹사이트 ‘우리민족끼리’에 오르는 독자 게시글이 늘고, 내용도 다양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을 비난하거나, 북한체제를 옹호하는 글이 많지만 노래나 영상물을 요청하는 글들도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우리민족끼리’는 북한이 운영하는 웹사이트 중 일반인들의 게시글을 허용하는 유일한 선전매체입니다.
이 매체의 게시판에는 해외에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인들과 한국과 미국 등에 거주하는 한국인들, 그리고 외국인들이 다양한 글을 남기고 있습니다.
특히 한 달 평균 20여 건의 게시글이 올라왔던 과거에 비해 최근에는 70여 건의 글이 게시되는 등 좀 더 활기를 띄고 있는 모습입니다.
가장 많이 눈에 띄는 건 한국 야당과 탈북자 등을 비난하는 글입니다.
특히 최근 한국의 정치 상황에 대한 비판적 게시글이 크게 늘었고, 중국 내 북한 식당에서 근무하다 한국에 입국한 북한 여종업원들의 송환을 주장하는 글이 하루에도 몇 차례 오르고 있습니다.
국제사회에서 인권 활동을 하는 탈북자들의 실명을 거론하며, 이들에게 욕설을 가하는 글도 종종 오릅니다.
또 북한의 지도자를 칭송하는 글도 심심찮게 게시되고 있는데, 전라남도 목포의 한 회사원이라고 밝힌 김모 씨는 김일성 주석의 회고록인 ‘세기와 더불어’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요청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한국의 법규로 인해 이 책을 구할 수 없다고 호소하는 김 씨의 요청에 관리자는 `우리민족끼리’ 홈페이지에서 책 자료를 받아볼 수 있다고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이 글을 올린 사람이 실제 한국에 거주하는지는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게시판에 정치적 성향의 글들만 올라 있는 건 아닙니다.
노래나 영상물을 요청하고, 관리자에게 웹사이트 이용과 관련한 불편함을 호소하는 내용들도 있습니다.
흥미로운 건 웹사이트 관리자가 이런 글들에 일일이 답하며 소통하고 있는 점입니다.
지난 1일 올라온 게시글의 경우, 베트남 하노이의 유학생이라고 신분을 밝힌 한 이용자가 “동영상을 보려고 하면 속도가 떨어지곤 한다”며 해결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그러자 관리자는 댓글을 통해 느린 속도를 해결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외국어로 된 글이 올라오고 있는 것도 관심을 모으는 대목입니다.
일본인으로 추정되는 인물은 일본어로 “평생에 한 번이라도 좋으니 북한에서 평양냉면을 먹어보고 싶다”고 했고, 출신을 이란으로 표기한 ‘허쉬’라는 남성은 ‘코리아는 인민에게 사랑을 받는 나라’이며, ‘이란과 북한은 친구’라는 글을 올렸습니다.
이 같은 외국인들의 글에는 해당 언어로 된 댓글이 남겨지기도 했습니다.
앞서 VOA는 2016년 ‘우리민족끼리’의 게시판에 여러 종류의 글을 남겼었습니다. 당시 `우리민족끼리’ 측은 해당 글들에 대해 “관리자의 승인을 거쳐 현시되게 된다”고 안내했었는데, 하루 뒤 게시된 글은 이 중 일부에 불과했습니다.
특히 정치적인 색깔이 없거나 북한체제를 비판한 글은 게시되지 않은 반면, 북한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옹호하는 글은 게시판에 올랐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
'Guide Ear&Bird's Eye22 > 북한[P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엔총회 3위원회 15년 연속 북한인권결의안 채택…한국, 공동제안국 불참 (0) | 2019.11.17 |
---|---|
평양에 영국인의 믿을 수 없는 모험 = 북한에 맥주 투어가 2020년에 시작 (0) | 2019.11.09 |
곁가지 김평일의 평양 소환을 보며 (0) | 2019.11.09 |
모스크바 국제회의에서 북한 대표가 미국 견제 (0) | 2019.11.09 |
한국 정부, 북한 주민 2명 북으로 추방 (0) | 2019.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