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중국 광동성 중산시 공원에 있는 일선(逸仙) 손문선생 동상 본문

-平和大忍, 信望愛./韓中日 동북아역사(한자언어문화권)

중국 광동성 중산시 공원에 있는 일선(逸仙) 손문선생 동상

CIA Bear 허관(許灌) 2011. 9. 13. 15:19

 

                                                                    손문(孫文) 선생과  그의 부인 송경령(宋慶齡)여사 동상

쑨원(孫文)은 광동성 중산 번화가 외곽의 추이헝 촌(현재 난랑 진의 일부)에서 태어났습니다

쑨원(孫文, 1866년 11월 12일 ~ 1925년 3월 12일)은 중국의 의사이자 정치가이며 혁명가, 사상가, 중국 국민당(中國國民黨) 창시자이며 중국 건국자이다. 호(號)는 일선(逸仙,), 본자(本字)는 덕명(德明),별명은 중산(中山) 또는 나카야마 쇼우(일본어: 中山)이다 ()

 

광둥 성 출신으로 홍콩에서 의학교를 졸업하였다. 재학중에 혁명에 뜻을 품고 1894년 미국 하와이에서 흥중회를 조직하여 이듬해 광저우에서 최초로 거병했으나 실패했다. 그후 일본과 유럽 등지에서 망명하면서 삼민주의를 착상, 이를 제창했다. 1905년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화교들을 중심으로 중국혁명동맹회를 결성, 반청 혁명운동을 전개했다.

1911년 신해혁명을 성공시킴으로써 중화민국 임시대총통이 되었으나, 북양군벌의 거두 원세개와 타협, 그에게 정권을 넘겨주었다. 1913년 '제2혁명'에서 실패하고, 일본으로 망명, 이듬해 중화혁명당을 결성하여 반원(反遠, 반 원세개)운동을 계속했다. 1917년 광저우에서 군정부를 수립, 대원수에 취임하고, 1919년 중화혁명당을 개조, 중국 국민당을 결성했다. 1924년 국민당대회에서 '연소,용공,농공부조'의 3대정책을 채택, 제1차 국공합작을 실현시켰다. 이어 '북상선언'을 발표하고 '국민혁명'을 제창, 국민회의를 주장했으나, 이듬해 1925년 3월 12일 58세 나이로 베이징에서 병사했다.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에서 국부로 추앙받고 있다.

쑨원은 한국의 독립운동 지원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창립에 커다란 일조를 하기도 했다. 이러한 공로로 1962년1968년 두차례에 걸쳐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중장이 추서되었다.

 

쑨원(손문)의 정치이념은 중국혁명의 이념적 토대가 된 삼민주의로 요약된다. 삼민주의는 민족주의(民族主義)·민권주의(民權主義)·민생주의(民生主義)의 3원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3원칙은 하나로 연결되어 통일된 사상체계를 형성한다. 쑨원(손문)은 "삼민주의는 구국주의(救國主義)이다"라고 말했으며, 나아가 "중국의 국제적 지위의 평등, 정치적 지위의 평등, 경제적 지위의 평등을 촉지하여 중국을 영원한 세계의 독립국가로서 생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여기에 민족·민권·민생 주의의 일반적 특색이 나타나 있다. 첫번째 원칙인 민족주의는 국족주의(國族主義)라고도 한다. 중국에는 가족과 종족의 단체가 있을 뿐 국가적 민족으로는 통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여러 외국의 식민지가 되어 빈약한 나라로 전락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중국을 망국의 위기에서 구하기 위해 민족주의를 제창하고 민족정신을 중흥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고 주장한 것이다. 2번째 원칙인 민권주의, 즉 '국민의 권리'는 '민주주의'라고도 하는데, 쑨원(손문)은 선거·발의권·국민투표·소환권 등과 같은 수단을 통해 중국 인민들에게 자신의 정부를 통제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함으로써 민권주의가 달성될 수 있다고 했다. 3번째 원칙인 민생주의, 즉 종종 '사회주의'로 통하는 '인민의 생활권'은 이 3원칙 가운데 가장 의미가 모호하다. 그러나 쑨원(손문)은 올바른 과세제도를 통한 토지 소유의 균등사상을 염두에 두고 민생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손문(孫文) 선생과  그의 부인 송경령(宋慶齡)여사 동상

혁명운동과 이름 그리고 혁명운동에 적합한 가명 사용...

청조와 일제, 그리고 군벌 등의 정적들에게 평생 추적을 당하면서 중국 국내외 여행이 많았던 그는 여러 차례 가명을 사용하였으며, 이 때문에 그의 호칭은 잘 알려진 쑨원(孫文)과 중산(中山) 외에도 여러 개가 있다. 잘 알려지지 않은 그의 호적상의 본명은 쑨더밍(손덕명,孫德明)이며 아명은 쑨디샹(손제상,孫帝象)이다. 쑨원(손문,孫文 )이라는 이름은 그가 10세 무렵부터 사용한 이름이다. 자(字)는 재지 載之). 원래의 호(號)는 일신(日新)이었으나 홍콩 서양 의학원의 중문학 스승의 권유로 일선( 逸仙)으로 바꾼다, 일신과 일선은 광동어로 발음하면 "Yat-sen 얏센"으로 같은 발음이다. 잘 알려진 중산(中山)은 정식으로 만든 호가 아니라 1897년 무렵부터 사용한 "나카야마"라고 하는 일본 성씨 가명이다. 쑨원이 광주에서 1895년 30세의 나이로 가담한 혁명이 실패한 후, 외국으로 수 년간 피신했을 시기에 일본에서 사용한 가명 中山 (중산초)나카야마 쇼(なかやましょう)에서 유래한다

 

 

 

1.초기 생애

쑨원은 1866년 11월 12일 광동성 향산현(香山縣)부근의 취형촌(翠亨村)의 빈한한 농가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도천(道川)은 일찍이 마카오에서 재봉 일을 하다가 그 뒤로 그 사치함을 더럽게 여겨 농촌으로 되돌아 왔다. 큰 형은 손미(孫眉)이고 자는 덕창(德彰)이다. 그의 집안은 하와이 주 호놀룰루에서 상업에 종사하였다

 

영국·프랑스 등 열강이 무너져 가는 청조를 침략하여 이권을 차지하려는 혼란한 시기에 태어났으므로, 어려서부터 제2의 홍수전으로 자처하며 청나라의 타도를 꿈꾸었다. 집이 가난하여 배우지 못한 채 13세때 1879년 하와이 호놀룰루로 건너갔다. 그는 하와이 화교 자본가였던 큰형 쑨메이(孫眉) 의 도움으로 유학하며 미국의 민주주의를 몸소 배우고 느꼈다. 그리고 홍콩으로 돌아온 이후 1892년 홍콩 서양 의학원에서 의학을 배웠다. 이 시기에 그는 서구식 민주주의자연 과학적 사고 방식을 받아들여 큰 영향을 받았다

 

     

 

                                                                                               청년시절 손문선생

(1)혁명운동 투신과 홍중회 활동

의대를 졸업한 후 쑨원(손문)은 병원을 개업하고 잠시 개업의로 생활한다. 하지만, 서구 열강들의 침입으로 나라가 더욱 어려워지자 쑨원은 1894년 청조의 실력자 이홍장에게 편지를 보내 "사람은 그 재능을 다할 수 있어야 하고, 토지는 그 이익을 다할 수 있어야 하며, 물건은 그 쓰임을 다할 수 있어야 하고, 재화는 그 흐름이 통할 수 있어야 한다"는 개혁적인 주장을 펼쳤지만 이 편지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리고, 쑨원은 1894년,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만주족 축출, 중화 회복, 연합정부 건설'을 강령으로 하는 흥중회를 조직하게 되었다. 1895년 1월에는 홍콩에서도 흥중회 지부를 결성했으나,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흥중회는 청나라 조정이 청일전쟁에서 패배하는 등 갈수록 그 무능함을 드러내자 '오직 혁명만이 위기에 놓인 조국을 구하는 길'이라는 신념 아래 1895년 10월 광저우에서 무장봉기를 계획했다. 그러나 봉기는 가담자의 밀고로 허무하게 무산되고, 쑨원은 생명을 부지하기 위해 우선 일본으로 탈출,망명했다

 

(2)삼민주의 윤곽형성

그리고 이듬해 1896년으로 떠나 영국에 머무렀는데, 거기서 청나라 공사관에 체포되고 만다. 그러나, 다행히 영국인 친구의 도움으로 무사히 풀려났다. 석방 직후 기자회견에서 영국을 격찬, 일약 유명인사로 떠올랐다. 이 사건을 계기로 쑨원은 해외 언론들의 관심을 받았고 중국 혁명의 지도자급 핵심 인물로 부상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영국 런던에 체류하면서 생활하게 되는데, 대영박물관의 도서관을 드나들며 약 9개월간 독서에 열중하면서 지낸다. 이 기간동안 쑨원은 경제학자들인 마르크스헨리 조지등의 저술을 탐독했고 사회 과학의 여러 분야를 연구했는데, 이때부터 그의 혁명이념인 '삼민주의(민권·민족·민생)'의 윤곽이 형성되었다

 

(3)망명과 무장봉기 기도

이듬해 1897년 쑨원은 다시 일본으로 돌아와 일본 우익들의 도움을 받으며 망명생활을 지내게 되는데, 이 시기 쑨원은 나카야마 쇼우라는 가명을 쓰며 다시 혁명세력을 결집하고 다녔다.

1900년 의화단 운동으로 청나라 정국이 더욱 어수선해진 상황에서 쑨원은 오랜 망명생활 끝에 다시 조국으로 돌아와 2차 무장봉기를 준비하지만, 이 역시 사전에 발각되어 실패하고 말았다.

 

(4)해외활동과 혁명선전

그 후 몇 년간 쑨원은 일본,하와이,베트남,시암,미국 등지에서 화교와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혁명 사상을 전파하고, 1905년에는 필리핀,독일,프랑스 등의 유학생들을 규합하여 혁명단체를 조직하게 되었다. 1905년 8월에는 일본 도쿄에서 흥중회,화흥회 등의 단체를 기반으로 중국혁명동맹회(중국 동맹회)라는 새로운 단체를 창건하고 총리에 추대되었다. 동맹회는 '만주족 축출, 중화 회복, 민국 창립, 토지 조유의 균등'을 강령으로 채택했고, 쑨원은 동맹회의 기관지 《민보》(民報) 발간사를 통해 삼민주의를 발표했다.

이후 중국동맹회는 총재 쑨원의 지휘를 받으며 수십여차례 봉기를 시도했다. 그러나 봉기는 빈번이 실패로 끝나고 쑨원에게는 가혹한 질책과 비판이 뒤따랐다. 쑨원은 중국동맹회의 활동을 다른 동지에게 맡기고 출국하여 1911년 무렵까지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중국혁명의 당위성을 알리는 한편, 혁명자금과 군자금을 마련하여 동맹회의 활동을 뒤에서 도왔다.

 

2.신해혁명과 중화민국 수립

혁명의 기회는 의외의 곳에서 찾아왔다. 당시 청나라에서는 청일전쟁 이후 민간이 스스로 주식을 발행하여 마련한 자금으로 철도를 건설하겠다는 '철도 부설운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다. 그런데 1911년, 청조에서는 우전부대신 성선회의 건의에 따라 이들에게 아무런 설명이나 사전 협의도 없이 철도건설을 국유화시켜 버렸다. 이러한 청조의 철도 국유화 정책으로 가장 많이 피해를 본 것은 쓰촨 성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사천보로동지회'를 결성하여 동맹휴학과 납세 거부운동을 대대적으로 펼쳐나가기 시작하였고, 각지에서 보로운동이 전개되었다. 다급해진 청조는 우창에 있던 군인들을 동원하여 이들을 진압하려 했다. 그러나 우창에서는 중국동맹회의 활동이 활발했던 지역이었다. 동맹회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10월 10일 우창 봉기를 일으키고 총독관청을 일시에 장악해 '호북군 정부'를 조직했다. 이 소식은 빠르게 중국 전역으로 번져나갔다. 각지에서 우창 혁명에 동조하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두 달이 채 안되는 기간동안 17개 성이 청조로부터 독립을 선포했다. 12월 2일 혁명군은 난징을 함락하고 임시정부를 세웠다. 그러나, 이러한 동맹회와 혁명군의 성과는 혁명운동의 지도자들도 예상 못한 일이었기 때문에 당시 중국을 중흥할 현실적이고 장기적인 계획을 갖고 있지 못했고, 강력한 영도자도 없었다. 때문에 청조로부터 요청을 받은 위안스카이 군대에 의해 진압당할 형편이 되었다.

(1)외교활동

한편, 혁명이 일어났을 때, 쑨원은 중국 밖에 있었다. 그는 그때 외교적, 재정적 지원을 얻기 위해 서구를 돌아다니고 있었고, 우창 봉기 당시 쑨원은 혁명자금을 모금하기 위하여 미국 콜로라도 덴버에 체류중이었다. 그는 콜로라도 주 덴버에서 그곳의 신문에 보도된 기사를 보고 국내의 혁명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았다.

당시 쑨원은 '혁명을 성공시키려면 서구 열강의 간섭을 사전에 막아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즉 외교의 성패에 따라 혁명의 성공이 좌우된다고 여긴 것이다. 당시 중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나라는 6개국으로 미국과 프랑스는 공화정을 실시하려는 중국을 동정하는 입장이었고, 그 반대로 독일과 러시아는 혁명에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며, 일본의 재야는 중국의 혁명에 동정적이었으나 정부는 그 반대였고, 영국의 경우는 재야가 동정적이었으나 정부는 미정된 상태였다. 따라서 쑨원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나라가 영국이라 보고 급히 영국으로 달려가 교섭을 벌였다. 그는 영국 외무성과 회담하고 영국정부에 대하여 청조에 대한 일체의 차관을 중지할 것과 일본에게 청조의 지원을 중지하도록 해주고, 영국 각 속지에서 '쑨원 추방령'을 취소하도록 요구하여 영국정부로부터 확약 받는 대신에 혁명정부는 청나라와 체결한 모든 조약을 인정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는 다시 프랑스로 가 똑같은 약속을 받아내고, 12월 16일 싱가포르에서 체류하다 12월 21일에 홍콩으로 돌아왔다. 이곳에서 호한민요중개를 만나 전후의 사정을 듣고 '광둥지역을 기반으로 삼자'는 일부 인사의 주장을 거절한 채 12월 25일 상하이로 와 진기미,쑹자오런을 만나 정부조직에 관하여 의논하였다. 여기에서 쑹자오런은 '내각책임제'를 주장했고, 쑨원은 '미국식 대통령중심제'를 주장하였다

 

(2)임시대총통 취임과 위안스카이와의 협상

12월 29일에 난징의 '각성대표회의'(17성의 45명, 화교 2명)는 총통 선거회를 열었는데 쑨원이 16표를 얻어 초대 임시대총통에 당선되었다. 쑨원은 이 소식을 듣고 이를 받아들인다고 하였다. 1912년 1월 1일에 손문은 난징에서 영접 온 이들과 함께 열렬한 축하를 받으며 상하이를 출발하여 그 날 오후 5시에 난징에 도착하여 밤 11시에 총통부에서 취임식을 갖고 서약하였다. 이어 쑨원은 임시대총통직에 취임한 뒤 국호를 중화민국, 1912년 1월 1일을 '민국 원년'으로 하였다. 이로써 그 동안 주도권 장악을 위하여 벌였던 싸움은 일단락되었고, 중국에서뿐만 아니라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공화정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쑨원의 기쁨은 오래가지 못했다. 비록 임시정부를 수립하였으나 청조는 굳건히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고 이들을 무너뜨리기에 그의 세력은 너무 약했다. 쑨원은 여기서 어려운 결정을 내리는데, 바로 청조의 요청으로 혁명군 진압을 지휘하고 있던 위안스카이와의 협상과 연합이었다.

쑨원은 위안스카이에게 청조를 설득하여 그들을 퇴위시켜줄 것을 요청하고 만일 이 요청이 받아들여진다면 '대통령의 지위를 그에게 양보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따라 위안스카이는 청조를 설득하여 청의 마지막 황제 선통제 푸이를 하여금 2월 12일 퇴위조서를 발표하게 만들었다. 이로써 청조는 1912년에 멸망하게 되었다.

혁명정부는 청조와 위안스카이 사이에 퇴위협약이 진행되는 동안 위안스카이의 행동을 규제하기 위해 3월, 대통령중심제였던 '임시정부 조직대강'을 수정하여 내각중심제를 기본 틀로 한 '임시약법'을 제정,발표하였다. 그리고 쑨원은 약속대로 위안스카이에게 1912년 4월에 임시대총통직을 물려주었다. 그리고 쑨원과 쑹자오런중국 동맹회1912년 12월에 국민당으로 개편하여 쑹자오런이 이사장 대리으로서 당수가 되었고, 쑨원을 이사장으로 추대하였다.

 

3.민국초기 혁명활동

(1)위안스카이의 독재

그러나 권력을 잡은 위안스카이의 야심은 제약할 길이 없었다. 위안스카이는 임시약법을 무시하고 대통령중심제로 법을 개정함으로써 완전한 독재정권을 수립하고, 서구 열강세력으로부터 막대한 차관을 받아먹는등 '매국'행위와 '독재'정치를 일삼았다. 아울러 그의 유력한 정적이 될 가능성이 높았던 국민당의 이사장 대리였던 쑹자오런을 암살하는 등 전횡을 서슴지 않았다. 이에 쑨원은 위안스카이를 무력으로 타도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위안스카이의 전횡에 반대하는 이열균(李烈均) 등이 토원군(討遠軍)을 조직하여 대항하였으나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고, 쑨원은 1913년 7월에 다시 일본으로 망명하는 신세가 되었다.(제2차 혁명)

위안스카이의 독재정치와 욕심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그는 어용단체를 조직하고 여론을 선동하여 '황제'로의 등극을 도모하기에 이르렀다. 1914년 쑨원은 일본 도쿄에서 구(舊) 혁명당원들을 모아 중화혁명당을 결성하는데, 이 중화혁명당은 뒷날 중국 국민당의 모태가 된다. 혁명당원들은 곧 국내로 들어와 위안스카이에게 반대하는 무리들을 규합하여 토원군을 재조직하였다. 위안스카이의 황제 등극을 저지하기 위한 투쟁이 시작되었다. 이가운데 운남 성 도독이었던 당계요가 토원군에 가담하여 이름을 호국군(護國軍)이라 개칭했다.(제3차 혁명)

이와 때를 같이하여 위안스카이의 심복이었던 돤치루이도 위안스카이의 황제 등극을 반대했고, 서구 열강들도 위안스카이에게 압박을 가했다. 결국 위안스카이는 황제 등극을 포기해야만 했다. 이에 호국군은 더욱 압박을 가해 위안스카이의 퇴임을 요구했으나 1916년 6월, 위안스카이가 병사함으로써 이 일은 자연스러벡 일단락되었다. 1916년 위안스카이의 사망과 때를 같이하여 쑨원은 일본에서 귀국하였다.

 

(2)호법운동

1917년 위안스카이 사후 북양 정권돤치루이의 수중에 떨어졌다. 돤치루이의 탄압을 피해 광둥 성지역으로 자리를 옮기고, 비상국회를 열어 서남군벌 세력과 연합하여 광저우에서 군사정부를 세우고 쑨원을 대원수로 추대했다.(호법 정부) 쑨원은 1917년 9월, '광둥 군정부'의 대원수로 임명되어 임시약법 수호를 위해 투쟁할 것을 선언했다.(첫번째 호법 정부)

그러나, 그 조직도 실권을 잡지 못했고 같이 손잡은 군벌들의 본질을 보고 이들 군벌들과는 '호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결국 다음 해 1918년에 대원수 직책을 사임하고 5월에 상하이로 망명가야했다. 이 기간동안 쑨원은 얼마간은 상황이 유리할 때는 광저우로 돌아갔다가, 상황이 불리해지면 다시 상하이로 도망치는 생활을 반복했다. 그리고 상하이에서 저술활동과 강연활동을 하고 지냈는데, 상하이에서 《쑨원학설》,《건국대강》등 중요한 저술을 발표하였는데, 이는 뒷날 국민 정부의 지도이념이며 국정의 기본 원칙이 되었다. 또, 쑨원상하이에 있는 동안에 《건설》잡지를 창간하고, '민지서국'(民智書局)을 세워 혁명 사상을 선전하는 활동을 전개했다. 1918년 여름무렵에 레닌과 소련 정부에 축전을 보냈다.

1919년 5.4 운동이 일어났는데, 이 운동은 쑨원에게 있어서 커다란 자극을 주었는데, 이 운동이 확산되는 것을 보고 '중화혁명당에 대중성을 도입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는 사실을 깨닳게 된다. 그래서 쑨원은 5.4 운동을 계기로 기존에 구상했던 '위로부터의 혁명'노선을 버리고 '아래로부터의 혁명'노선으로 선회하여 1919년 10월 10일에 중화혁명당을 중국 국민당으로 개칭하고 총부를 상하이에 두었다. 중국 국민당은 조직상에 있어서 중화혁명당과 달랐는데, 비밀당의 조직을 공개적으로 한 점과 중화 혁명당 시기에 당원이 당수에게 절대 복종해야 하는 규정을 삭제하고 당원의 등급을 폐지시킨것등이었다.

한편, 쑨원이 대원수 직책 사임한 이후 1918년 5월~1920년 6월까지의 광둥 정부(호법 정부)는 '7인 총재정부'로 존재했다. 1920년 6월에 쑨원은 상하이에서 당소의,오정방,당계요 등과 함께 합작을 성명하고, '광둥 정부의 계계 군벌이 호법의 이름을 빌려 나쁜일을 저지른다'고 비난하였다. 그리고 복건 성 남쪽에 주둔하고 있던 광둥 성 군벌 진형명에게 광둥에 자리잡고 있는 광서 성(계계) 군벌을 타도하도록 하였다. 이에 진형명은 '광둥인이 광둥을 다스려야 한다'며 광둥 정부를 타도하였다.

진형명은 쑨원이 광저우로 오는 것을 원하지 않았으나 쑨원은 그를 광둥 성 군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안심시켰다. 그리고 11월 말에 국회의원들과 함께 광저우로 와 국회를 소집하였다. 여기에서 '군정부가 이미 존재하지 않으므로 정식 정부를 세우자'고 하였다. 이에 따라 이듬해인 1921년 4월 광둥 성 국회에서 '중화민국 정부조직 대강'이 결정되었다. 다음달 5월에는 쑨원이 광둥에서 '중화민국 정식정부'의 총통에 취임했다. 이로써 중국은 북쪽에서는 북양 정부, 남쪽에서는 쑨원 중심의 광둥 정부(두번째 호법 정부)로 양분되었다.

호법 정부가 성립된 후 쑨원은 호법(護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력으로 북양 정부와 대항하고자 국회에 '북벌안'(北伐案)을 제출하여 이를 통과시켰다. 그리하여 호법 정부구이린에 대본영을 설치하고 대대적으로 북벌 준비에 들어갔다.

이때 쑨원은 안휘파와 봉천파와 함께 '반(反) 직예파 삼각동맹'을 형성하고 있었다. 하지만, 진형명은 직예파의 오패부와 결탁하여 북벌을 반대하고, 쑨원과 가까운 광둥군 참모장 겸 제2사단장을 암살하였다. 이에 쑨원도 1922년 봄에 구이린에서 긴급 군사회의를 열어 북벌 계호기을 변경, 광둥으로 돌아와 진형명이 가지고 있던 광둥 성 성장 등의 직책을 취소하였다. 또 5월 4일에 북벌령을 내려 소관(韶關)에 대본영을 설치, 강서 성으로 북벌을 시작하였다

한편 진형명은 쑨원의 이러한 조치에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켜 1922년 6월에 총통부를 포위하였다. 이 때, 장제스황푸에서 영풍함(永豊艦)을 타고 광저우로 와 쑨원을 구하였으며, 호법 정부는 북벌군을 불러들여 진형명을 토벌하였다. 결국 호법을 위한 두 번째의 북벌도 실패로 끝났다. 그리고 쑨원도 상하이로 갔다가 1923년 초순 주변군벌의 압력에 의해 '진형명의 난'이 평정되자 다시 광저우로 돌아와 세 번째 호법 정부를 조직하고 다시 북벌을 도모하였는데, 이러한 시기에 쑨원에게 접근한것이 소련코뮌테른이었다

 

 

(3)코민테른과의 연계

코민테른1920년중국 공산당이 창당되었다고 해도 그 힘으로는 중국 혁명을 이끌어 낼 수 없다고 보았다. 따라서, 중국 안에서 협조자를 물색하였는데, 오패부와 같은 군벌도 고려되었지만 그 동안 혁명을 이끌어 온 쑨원을 지목해 관심을 가졌다. 때문에 보이틴스키상하이에 와서 쑨원을 만났고, 쑨원도 소련의 혁명 사정에 대하여 관심을 표명하였다.

1921년 7월, 레닌의 비서인 마링도 중국에 오자마자 쑨원과 만나 중국 국민당 개조를 촉구하고, 군사학교를 세워 혁명을 위한 무력을 키워야 한다고 건의하였다. 이때 쑨원은 소련이 실시하고 있는 신경제정책(NEP)과 자신의 실업 계획이 별차이가 없음을 밝히고, 처음에는 중국 공산당이나 코민테른과의 합작을 거부하였다. 그 이유는 당시 쑨원은 북벌을 준비하고 있어 양쯔 강을 건너지 않으면 안되었는데, 이 지역은 영국의 세력권이어서 그 방해를 받을까 우려되었고, 당시 '반(反)직예파 삼각 동맹'의 안휘파나 봉천파는 모두 일본과 가까운 관계여서 소련과의 합작은 곤란하였으며, 또한 중국 공산당의 힘이 당시로서는 너무 미약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쑨원은 중국 공산당이 창당되면서 이들의 주도 아래 노동운동이 확산되고 노동자의 요구가 관철되는 모습을 목격하며, 만일 중국공산당 당원이 개인적으로 가입을 원한다면 받아들일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감지한 코민테른은 중국 공산당과 중국 국민당과의 관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결의하고, 소련은 외교가인 요페(Adolf Abramovich Joffe)를 파견하여 북양 정부와 새로운 관계를 맺는다고 하면서 베이징으로 왔다가 다시 병을 치료한다는 명분으로 남쪽으로 내려와 쑨원을 만나 중국 국민당의 개조문제, 코민테른의 중국 혁명 원조 문제 등을 협의하여 1923년 1월 16일 이른바 '쑨원-요페 공동선언'을 발표하였다. 이 선언으로 쑨원은 '연소용공' 정책의 기본이 되었으며, 이른바 '제1차 국공합작'의 기초가 되었다.

이를 계기로 쑨원과 소련과의 관계가 급속도로 진행되어 1923년 1월 1일에 쑨원은 '중국 국민당 개조 선언'을 발표하여 당의 개조 작업에 들어갔다. 따라서, 공산당 당원들이 개인 자격으로 중국 국민당에 입당하게 되었으며, 또 프랑스에 유학 중인 학생들로 조직된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의 단원은 단체로 중국 국민당 프랑스 지부에 입당하였다.

그리고 소련의 초청으로 8월 16일장제스를 단장으로 '쑨원(일선) 박사 대표단'을 모스크바로 파견하여 소비에트 제도와 군사 조직을 살펴보도록 하였다. 이들은 약 4개월 동안 소련의 각 도시를 돌면서 소비에트 조직과 군사학교 등을 시찰하고 12월 15일에 귀국하였다.

소련정부도 쑨원에게 재정 원조와 고문단을 보내기로 결정하여 정치 고문 미하일 보로딘과 군사전문가를 중국에 파견하였다.

 

(4)국공합작

1924년 1월에는 쑨원의 주관으로 중국 국민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를 광저우에서 소집하였으며, 중국 공산당원이 참여하는 중앙통치기구를 구성하여 공산당과의 합작을 이루었다.(제1차 국공합작)

여기에서 새로운 당의 강령과 헌장을 제정하여, 1.소련과의 연합, 2.공산당과의 연합, 3.노동자·농민에 대한 원조라는 3대 정책을 확립하고, 공산당원이 참여하는 중앙 통치 기구를 구성하였다. 중국 국민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 선언에서 쑨원은 삼민주의에 반제·반봉건적 내용을 추가하였다. 중국 국민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이 소집은 쑨원의 혁명사업이 새로운 단계로 발전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일련의 투쟁을 통해 쑨원은 제국주의 타도만이 중국의 독립과 부강을 보장해 줄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4.말년과 병사

국민혁명을 추진하기 위한 북벌군이 진격할 즈음, 1924년 10월 봉천파 군벌 장쭤린과 직예파 군벌인 펑위샹이 연합하여 차오쿤을 대표로 하는 군벌 정부를 전복시켰다.(베이징 정변) 이후 펑위샹,돤치루이,장쭤린이 쑨원에게 전문을 보내어 국정을 함께 논의할 것을 요청하였다. 쑨원은 정치교섭이 필요함을 느껴 이 요청을 받아들여 1924년 11월 광저우를 떠나 베이징으로 향했다.

그는 광저우->상하이->일본 고베->톈진->베이징 순으로 시찰하고 다녔는데, 이때 그의 몸에는 암이 번지고 있었다. 시찰 도중에 일본 고베에 들렀을 때 현립 고등여학교에서 '대아시아주의'라는 제목의 연설을 하면서 일본 정부에 이같이 물었다.

"일본은 열강을 본떠 중국 등 약소한 아시아 여러 나라를 침략의 대상으로 삼을 것인가, 아니면 같은 편에 설 것인가. 왕도를 취할 것인가. 아니면 패도를 취할 것인가"

 

이듬해 1925년돤치루이의 주선으로 시국 수습을 위한 국민대표회의가 베이징에서 소집되었다. 쑨원은 동지들을 인솔하여 베이징으로 향하는 도중에 간암으로 쓰러졌다. 이해 2월 24일 아들 손과송자문,공상희,대계도 등을 증인으로 한 가운데 유언을 남겼다.

"나는 30년 동안 중국의 자유평등을 얻기 위한 국민혁명에 모든 힘을 다했다. 그간의 경험을 통해 반드시 민중에 호소해 궐시키기고 세계에서 우리를 평등하게 대하는 민족과 연합해 공동으로 분투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현재는 아직 혁명이 성공하지 못했다. 나의 동지들은 필히 내가 쓴 《건국방략》,《건국대강》,《삼민주의》,《제1차 전국대표대회선언》을 따라 계속 노력하고 관철해달라"

 

이는 왕징웨이가 쑨원의 구술을 받아쓰는 형식으로 이뤄졌다. 그러나 그의 첫 유언에는 부인 쑹칭링과 자식들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그는 한달 뒤 다시 첫 유언을 남길 때 참석했던 사람들 모두 모아놓고 두번째 유언을 했다.

"나는 국사에 진력하다 보니 집안일을 돌보지 않았다. 내가 남긴 서적과 의복,주택 등 일체는 나의 처 쑹칭링에게 주어 기념으로 삼도록 하라"

 

그는 1925년 3월 12일 간암으로 베이징에서 사망했다

 

5.사후

그의 시신은 모두 네 차례에 걸친 입관 끝에 장제스1928년 북벌에 성공한 직후인 1929년 6월 1일 난징교외의 중산릉에 안장될 수 있었다

 

 

                                                                                                     손문과 장개석

 

 

 

쑹칭링(宋慶齡, 송경령, 1892년 1월 27일 ~ 1981년 5월 29일)은 중국의 정치가이다. 유명한 3명의 쑹 자매 중 둘째이며, 쑹메이링의 언니로, 중국에서는 "중국을 사랑한" 여인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손문의  세번째 부인이다.

미국 웨슬리 대학을 졸업하고 쑨원의 비서로 있다가, 제2혁명에 실패한 후 쑨원과 일본 망명중에 결혼하였다. 그녀의 아버지인 찰리 쑹쑨원과 친구 사이로 결혼을 반대했음에도 쑹칭링은 뜻을 굽히지 않고 쑨원과 백년가약을 맺었다. 쑨원이 죽은 후 국민당 좌파의 중심 인물이 되어 장제스와 대립하고, 그 후 중공에 가담하여 1951년부터 부녀 연합회 명예 회장, 1954년 중·소 협회장, 인민 대표 대회 상임 위원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고, 1959년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 부주석이 되었다. 부인 평화 운동을 추진했으며, 스탈린 평화상을 수상하였다

 

 

 

                                                                                                         송경령 모습

*손문선생 배우자

루무전(1885년 ~ 1915년)
대월훈(1903년 ~ 1906년)
쑹칭링(1915년 ~ 1925년)

 

*송경령 가계

한금이 - 증조

한홍익 - 조부

한교준, 송가수 - 아버지

송애령 - 언니, 공상희 부인

송미령 - 동생, 장개석 부인

손문(손중산) - 남편

 

 

 

 

 

 

 

  손문선생과 그의 아내 송경령

 

                                                                                                      손문선생의 권총

*孙中山手记(중산선생이 쓴 휘호)

 

 

                                                                           1918年,题赠蒋母王太夫人

 

廣慈博愛(광자박애):넓은 사랑이 모든 사람을 평등하게 사랑함( 廣-넓을 광, 널리 광, 빛날 광. 慈-사랑 자,불교에서 궁극적인 미덕의 하나로서 자기가 받는 즐거움을 다른 이들도 받게 하고자 하는 마음.博-넓을 박. 愛-사랑애)

 

天下爲公(천하위공):온 세상이 일반 국민(國民)들의 것이라는 뜻이다. 즉 모든 사람이 서로 돕고 서로 사랑하는 국가를 모든 사람들이 빠짐 없이 참가해서 만든다는 의미이다.
큰 도리가 실행되는 시대에는 모든 사람들이 천하를 공유하였다(天-하늘 천, 下-아래 하, 爲-할 위, 公-공변될 공)

중국 건국의 아버지 손문孫文. 자신의 신념이었던 “천하위공天下爲公”을 슬로건으로 내세우며 황제체제를 타파하였다.

 

"큰 도가 행해지는 세상에는 천하가 모두 공적인 것이 된다. 그래서 사람들은 어진 이와 능한 이를 선출하여 관직을 맡게 하고, 사람들간의 신뢰와 화목을 강구토록 하였다(大道之行也, 天下爲公, 選賢與能, 講信脩睦)."

 

博愛(박애):모든 사람을 평등하게 사랑함(博-넓을 박. 愛-사랑애)

 

                                                            1912年,为南洋路矿学校题词(图)

造路救國(조로구국)

 

                                                                       孙中山先生赴浙江海宁观潮返沪后题词

世界潮流浩浩 蕩蕩順之則昌 逆之則亡(세계조류호호 탕탕순지칙창 역지칙망) 세계조류에 순응하면 법(국가)이 번창하고 세계조류에 거역하면 법(국가)이 망한다 (浩-클 호, 蕩-쓸어버릴 탕, 則-법칙 칙)

                                                             为戴季陶题词“人类进化 世界大同”

人類進化 世界大同(인류진화 세계대동): 인류발전이 온 세상이 번영하여 화평하게 됨(同-한가지 동)

 

孫中山(1866.11.12—1925.03.12),名孫文,字載之,號逸仙。中國近代民主主義革命的先行者,中華民國和中國國民黨創始人,三民主義的倡導者。首舉徹底反封建的旗幟,“起共和而終帝制”。1905年成立中國同盟會。1911年辛亥革命後被推舉為中華民國臨時大總統。1940年,國民政府通令全國,尊稱其為“中華民國國父”。1929年6月1日,根據其生前遺願,將陵墓永久遷葬于南京紫金山中山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