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정치] 미국 중간선거 맞아 줄기세포 논쟁 가열 (Eng) 본문
[정치] 미국 중간선거 맞아 줄기세포 논쟁 가열 (Eng)
CIA Bear 허관(許灌) 2006. 11. 1. 19:38
![]() |
마이클 제이 폭스 |
영화 ‘백 투 더 퓨처’의 주인공으로 유명한 영화배우 마이클 제이 폭스 씨는 파키슨 씨 병 환자입니다. 폭스 씨는 최근 미주리주 민주당 상원의원 후보로 나선 클레어 맥커스킬 씨를 지원하기위해 정치광고에 출연했습니다. 폭스 씨는 이 광고에서 언젠가 자신의 병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될 수 있도록 줄기세포 연구를 지지하는 민주당 후보에게 투표해달라고 호소했습니다.
폭스 씨는 줄기세포 연구를 절대적으로 지지한다면서 역시 이를 지지하는 맥카스킬 후보에게 투표해달라고 호소했습니다. 클레어 맥카스킬 후보는 줄기세포 연구를 통해 치료법이 개발될지 모른다는 희망을 함께 나누고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현 미주리주 상원의원인 짐 탤런트 의원은 불행히도 줄기세포 연구확대에 반대하고있으며 사람들에게 희망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과학연구를 불법으로 규정하길 바라고있다고 폭스 씨는 말했습니다.
공화당 소속인 짐 탤런트 의원은 미주리주에서 상원의원으로 재선되기위해 선거운동을 펼치고있습니다. 탤런트 의원은 연구과정에서 인간배아가 살해된다며 생명의 존엄성에 위배되는 행위라면서 연방정부 기금으로 인간배아 줄기세포 연구를 지원하는데 반대하고있습니다.
줄기세포 연구 옹호자들은 신체를 허약하게 만드는 질병에 걸려있는 사람들이나 큰 부상을 당한 사람들의 생명을 구해줄 가능성이 있다며 줄기세포 연구에 찬성하고있습니다.
보수적인 라디오 진행자 러시 림보 씨는 라디오 방송에서 마이클 제이 폭스 씨의 광고와 관련해 폭스 씨를 인신공격해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림보 씨는 마이클 제이 폭스 씨가 몸을 계속 움직이며 떠는 등 증세를 과장하고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폭스 씨가 연기를 하고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폭스 씨는 연기를 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폭스 씨가 광고에서 보여준 모습은 바로 파킨슨 씨 병의 증세였습니다. 림보 씨는 이같은 자신의 발언이 나간 후 청취자들의 항의가 들어오자 곧 사과했습니다.
그러나 또다른 보수 논평가인 션 해너티 씨는 마이클 제이 폭스 씨가 출연한 광고는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해너티 씨는 문제는 연방정부 기금을 배아 줄기세포 연구에 지급하는데 관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주리 주에서 줄기세포 연구는 합법적이란 것입니다. 미주리 주 정부는 줄기세포 연구기금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주립 대학교에서도 연구가 진행되고있는데 이같은 사실이 광고에서 정확히 전달되지않았다는 것입니다.
지난 7월, 미국의 조지 부쉬 대통령은 인간배아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공공기금 확대법안에 대해 취임후 처음으로 거부권을 행사했습니다. 부쉬 대통령이 상하 양원을 통과한 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한 것은 이 법안이 유일한 것입니다. 공화당이 주도하고있는 미국 국회는 몇 표 차이로 부쉬 대통령의 거부권을 번복하지 못했습니다. 미국에서 인간배아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민간투자는 합법입니다. 마이클 제이 폭스 씨와 같이 인간배아 줄기세포 연구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이번 중간선거를 통해 대통령의 거부권을 번복할 수 있는 3분의 2 이상의 의석을 확보하기위해 노력하고있습니다.
*****
Controversy over specific political issues can spawn yet more controversy involving the way those issues are debated. As VOA's Peter Fedynsky reports, a statement by a well-known American radio commentator about a political ad in favor of stem cell research has overshadowed the issue itself.
Hollywood actor Michael J. Fox is campaigning on behalf of politicians who favor stem cell research, which may someday result in a treatment for his advanced case of Parkinson's Disease.
"As you might know, I care deeply about stem cell research,” says Fox in an advertisement. “In Missouri, you can elect Claire McCaskill who shares my hope for cures. Unfortunately, Senator Jim Talent opposes expanding stem cell research. Senator Talent even wanted to criminalize the science that gives us the chance for hope."
Senator Talent, a Republican, is campaigning in Missouri for reelection to the U.S. Senate. He opposes federal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saying it involves killing a human embryo, which violates the sanctity of life. Research advocates argue that it has the potential of saving the lives of people inflicted with debilitating diseases or injuries.
Conservative radio commentator Rush Limbaugh entered the fray by attacking Michael J. Fox personally. "In this commercial, he is exaggerating the effects of the disease. He is moving all around and shaking. And it's purely an act," he said during one of his recent programs.
Except that Fox's movements are not an act, but rather the symptoms of Parkinson's. Limbaugh apologized after members of his audience called to complain. But another conservative commentator, Sean Hannity, says Michael J. Fox's ad is deceiving.
"This is about the federal funding of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said Hannity. “Stem cell research is legal in Missouri, it's being funded and it's going on in state universities, and that's not put in the ad."
The Republican Congress in July fell a few votes shy of overriding President Bush's one and only veto: a measure to expand public funding of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Private funding is legal. Those who favor such research, such as Michael J. Fox, are campaigning for candidates who would help create the two-thirds congressional majority necessary to pass veto-proof legislation.
http://www.voanews.com/korean/2006-10-31-voa11.cfm
*줄기세포 장단점
줄기세포(stem cell) 등장은 난치병 환자들에게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해 주고 있다. 줄기세포란 아직 운명이 결정되지 않은 미숙한 세포로, 외부의 충격이나 손상을 받게 되면 스스로 그 손상부위를 찾아가 스스로를 분화시키는 능력이 있는 세포이며, 21세기의 ‘꿈과 희망의 세포’라 불린다. 줄기세포는 공급원에 따라 배아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 탯줄혈액줄기세포가 있다.
ㆍ탯줄혈액(Umbilical Cord Blood, 제대액) 및 줄기세포의 정의
탯줄혈액이란 신생아를 분만할 때 나오는 탯줄(제대)에 존재하는 혈액을 일컫는다.
탯줄혈액에는 풍부한 조혈모세포가 포함되어 있어 현재는 유일하게 골수이식을 대체할 수 있는 중요한 공급원이다. 제대혈에는 혈액질환을 제외한 다른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는
비조혈모줄기세포도 존재한다.
조혈모 세포만 따지더라도 동량의 골수조혈모세포보다 6배가 더 많이 제대혈에 존재한다. 제대혈의 가장 큰 장점은 항시 사용 준비된 상태로 조직적합성이 완료되어 초저온(-196도)에 냉동보관되어 있으므로 환자 요구 시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데 있다.
줄기세포란 자기 스스로 증식할 수 있어야 하며 특별한 조직세포로 분화 가능한 세포를
총칭하고, 손상 받은 조직을 대체하거나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는 세포이다.
다시 말해 줄기세포는 분화하지 않은 미성숙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면서 스스로를
증식할 수 있어야 하며 외부의 충격이나 상처가 발생하면 줄기세포가 스스로 분화하여
그 부위나 조직을 대체하거나 재생할 수 있는 세포를 말한다.
ㆍ임상에 있어 줄기세포 공급원과 장단점에 대한 비교
환자치료에 있어서 배아줄기세포는 윤리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고, 기형종 또는
기형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아주 높다.
즉, 배아줄기세포는 분화능력이 너무 뛰어나고 안정성이 부족하므로 근육이 발생돼야 할 곳에 연골이 생성될 수도 있다. 기형종이나 기형암 발생을 피하기 위해 특정 조직으로 분화시켜 사용할 경우 면역거부반응이 문제가 된다.
면역거부반응을 피하기 위해 핵전이 기술을 사용하고자 하나, 핵 전이가 완벽하게
이뤄지지 않으므로 복제양 돌리와 같은 기능이 결여된 미완성체가 만들어진다.
반면 탯줄혈액은 안정된 혈액이므로 이 안에 있는 줄기세포 또한 안전하다.
세계적으로 탯줄혈액은 많은 이식사례를 남기고 있지만 기형종 발생에 대한 보고가
전혀 없으며, 획득이 용이하고 윤리적인 문제가 전혀 없기 때문에 미리 조직적합성을
알아 놓은 줄기세포가 있다면 언제든지 환자에 적용할 수 있다.
조직적합성이란 장기나 다른 사람의 세포가 인체 내에 들어왔을 경우 생착 유무를 결정지어 주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이다.
ㆍ탯줄혈액줄기세포로 치료 가능한 질환들의 예
탯줄혈액줄기세포는 줄기세포를 대량으로 저장 및 얻을 수 있다는 획득의 용이성 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성인에 몸안에 존재하는 성체줄기세포보다 미성숙한 전구 줄기세포들이 많아 수 많은 난치병 질환모델에 적합한 공급원이다.
/줄기세포 공급원의 장단점/
|
/탯줄혈액줄기세포를 사용 시 효과가 기대되는 질환/
|
*한국 과학자 "복제동물이 일찍 죽은 원인 발견"
http://kr.chinabroadcast.cn/1/2005/06/10/1@40591.htm
한국 연합통신에 전한데 의하면 한국 과학자들은 얼마전에 해부실험을 통해 복제동물이 일찍 죽은 주요 원인은 이전에 추측했던 폐기능 장애가 아닌 혈액순환 장애에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전한데 의하면 지금까지 약 30%내지 70%의 복제동물이 출생한 1주일내에 숨졌다 과학자들은 이런 복제동물의 사망원인은 가능하게 폐기능 장애로 유발된 호흡곤난일것이라고 추측했지만 그 병리원인을 자세히 밝히지 못했다
한국 경상대학(김진회 낙농학 전공 교수), 한양대학(백승삼 의대교수), 대구천주교대학(대구기톨릭대학, 김태완 교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용만박사의 과학연구인원들로 구성된 연합전문과제팀은 체세포 복제동물이 일찍이 죽은 원인을 연구하였다 그들은 일찍이 죽은 28마리의 복제돼지를 해부하고 이런 돼지들의 사망원인을 찾았다 해부결과에 따르면 7마리는 뇌막염을 앓았고 6마리는 관절염으로 바로 설수 없었으며 6마리는 각기 간과 폐에 피가 응집된 현상을 보였다 또 2마리는 각기 면부 기형이거나 무정자(無精子) 증상을 보였다
그러나 병리분석에 따르면 28마리의 복제돼지의 직접 사망원인은 대부분 심장기능 병리변화로 유발된 혈액순환 장애였다 이 성과는 최신 한 개의 독일 "단백질 체학 " 잡지(단백질 연구분야 세계권위지 "프로테오믹스" 5월호 커버스토리)에 발표되었다
연합전문과제팀 전문가들은 또 사망된 복제돼지에 단백질 무작위 실험을 진행했다 결과 이런 복제돼지 체내에서 보통돼지의 체내에 없는 16종의 단백질을 발견하였다 분석에 따르면 이런 이상한 단백질은 가능하게 심장 기능장애와 피 공급부족을 유발하며 각종 장기의 병리변화를 유발하여 나중에 복제돼지를 일찍이 죽게한다(중국 국제방송 2005년 6월 10일 김호림 번역 편집)
-김진회 경상대 교수팀, 체세포 복제동물 조기 사망원인 규명
체세포 복제동물이 정상동물보다 일찍 죽는 원인은 바로 단백질 이상 발현에 있다는 연구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이는 복제동물의 조기사망 원인을 폐기능 이상에 따른 호흡곤란으로 추정해 온 통설을 깬 것이다
김진회 경상대학교 교수(낙농학 전공)와 백승삼 한양대 교수(의대), 한용만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사, 김태완 대구 가톨릭대 교수가 공동 참여한 연구팀은 단백질 이상 발현에 의한 체세포 복제동물 조기사망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김진회교수팀의 연구 결과는 단백질 연구분야 세계권위지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5월호 커버스토리로 게재됐다
연구팀은 수막염, 간.폐울혈, 관절이상, 무정자증 등 다양한 장기 질환으로 조기 사망한 체세포 복재돼지 28마리의 사인을 조직해부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주로 심장기능 이상으로 말초조직에 혈액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은 데 따른 혈액순환 이상으로 조기 사망했으며 이들 조기사망 복제돼지들에서 정상 돼지에서와 다르게 발현되는 이상 단백질 16개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김진회교수는 "조기 사망 복제돼지들에서만 이상 발현되는 단백질이 조기 사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면서 "단백질의 이상발현이 심장기능 이상과 혈액공급 문제로 이어지고 결국은 각종 장기질환을 유발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발굴한 단백질을 이용하면 복제동물 생산시 장기이상 여부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진단키트로 상용화할 계획이다
보통 체세포 복제방식으로 태어난 동물의 30-70%는 출생 1주일 이내에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체세포 복제방식에 의해 태어난 복제동물이 조기 사망하는 메커니즘을 밝혀낸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앞으로 체세포 복제동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기술 개발에 전기가 마련될 전망이다
-단백질 연구분야와 복제동물 분야에서 새로운 분야을 열러주었다는 평가로 노벨의학상 분야 제기되고 있다
-머리소리함 과학그룹들이 심장마비이나 혈액순환 장애로 중풍성등으로 죽은 경우가 많다 그것도 뇌의 인간복제에 대한 오류로 내다보고 있다 (음향과 뇌통제 판단 그리고 인간의 지적능력 한계:한 분야 연구를 있는 그대로 뇌 복제 가능하다) 머리소리함은 노인층에게는 기억상실을 회생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으며 생명연장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그러나 지적분야에 종사하는 분은 국제적 업무나 사건등이 종결되고 난 후에는 인간적 휴유증이 나타날 수 있다 과학이나 지적능력도 나이에는 한계이다 많은 늙은층 과학자나 지적탐구가들이 책으로 저술하여 후배들을 육성하는 것이 올바른다
'Guide Ear&Bird's Eye > 21세기 동아시아인 노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과학자들 유전자변형 밀과 목화씨 개발, 기아퇴치에 기여 예상 (Eng) (0) | 2007.01.10 |
---|---|
순서도 혁명사관에 대한 정립 (0) | 2006.12.12 |
"北, 핵실험 직후 핵.군사기밀 방첩활동 강화 지시" 대북제재 움직임에 환율.물가도 동반 상승 (0) | 2006.10.29 |
일본정부 중국에 대한 쌀 수출 협상 가속 "일본의 쌀값은 중국의 경제 성장으로 부유층이 늘어나, 품질이 좋은 일본산 쌀이 환영받는 경향" (0) | 2006.10.29 |
[미국신문 헤드라인] 두뇌의 명령 분석해 움직이는 인공 팔 - 대개의 일상업무 가능해 (0) | 2006.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