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SCI-FOCUS:북한 핵무기, 진짜? 가짜? [제 514 호/2006-10-23] 본문

수소핵폭탄(핵탄두) 실험과 KN-08

SCI-FOCUS:북한 핵무기, 진짜? 가짜? [제 514 호/2006-10-23]

CIA Bear 허관(許灌) 2006. 11. 1. 03:18
북한 핵무기, 진짜? 가짜? [제 514 호/2006-10-23]
지난 10월 9일 실시한 북한 핵실험에 전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이 방사능 물질을 탐지해 지난 13일 북한 핵실험 사실을 보도한 것에 이어, 러시아도 지난 18일 북한 지역 대기에서 방사능 물질을 탐지했다고 발표했다.

원자폭탄은 제2차 세계대전 도중 미국의 ‘맨하튼 프로젝트’에 의해서 처음 만들어졌다. 아인슈타인의 질량방정식(E=mC2)으로 물체의 질량이 엄청난 에너지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이 알려진 후 과학자들은 이 공식을 사용해 무기를 만들었다. 언뜻 원자폭탄 제조가 쉬울 것 같지만 세계에서 손가락 안에 드는 국가만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실상은 매우 어렵다. 원자폭탄에 우리가 모르는 어떤 원리와 기술이 숨어있기 때문일까?

우라늄이나 플루토늄 등의 방사능 물질은 자연 상태에서 스스로 질량을 잃으며 에너지를 방출한다. 여러 질량수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구분하기 위해 우라늄235, 플루토늄239 등 질량수를 붙여 부른다. 이들은 중성자를 흡수해서 원자핵이 2개 이상으로 쪼개지며 중성자와 에너지를 방출하는 ‘핵분열반응’을 일으키는 성질을 갖고 있다.

일단 핵분열이 시작되면 다량의 중성자가 튀어나온다. 이 중성자가 주변에 있는 다른 우라늄235, 플루토늄239를 때려 핵분열이 연쇄적으로 일어난다. 핵분열이 일어날 때 질량 차이만큼 에너지가 방출되는데 아주 작은 질량도 엄청난 에너지로 바뀐다. 이론적으로 1g의 질량이 90조J(줄, 에너지의 단위)의 에너지를 내는데, 히로시마에 떨어진 원자폭탄에서 폭발 시 발생한 질량 차이가 수g에 불과하다고 하니 그 위력을 짐작할 수 있다.

이런 원자폭탄을 만들기 위해서는 재료가 되는 농축 우라늄235나 플루토늄239를 일정량 이상 확보해야 한다. 처음 기폭을 통해 생긴 중성자의 속도는 대단히 빨라 우라늄(혹은 플루토늄)이 충분하지 않으면 원자핵과 충돌하지 못한 중성자가 순식간에 사라져 연쇄핵분열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예전에 원자폭탄을 만들기 위한 최소량은 93.5%로 농축된 우라늄235이 52㎏, 혹은 93.5%로 농축된 플루토늄239이 11㎏이었다. 그런데 기술이 발달하면서 이 수치는 줄어들었다. ‘베릴륨 중성자 반사장치’를 사용할 경우 최소량은 우라늄 15㎏, 플루토늄 6.1㎏으로 줄어든다.

그럼 우라늄과 플루토늄은 어떻게 농축할까? 천연우라늄 광석에는 우라늄238(99.3%)과 핵폭탄 원료로 쓰는 우라늄235(0.7%)이 섞여있다. 따라서 원자폭탄을 만들려면 우라늄235를 농축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원심분리기를 사용해 무게 차이가 나는 우라늄238과 우라늄235를 분리하는 원심분리법이다. 전문가에 따르면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최소량인 15㎏의 우라늄235를 얻으려면 100여개의 원심분리기를 5년간 풀가동해야 한다고 한다.

플루토늄239는 이보다 쉽게 얻을 수 있다. 원자로의 폐연료봉을 재처리하는 ‘퓨렉스법’이라는 공정으로 얻는다. 핵연료봉을 잘게 잘라 질산으로 연료부분을 녹인 후 인산트리부틸이라는 용매로 플루토늄을 추출한다. 원자력센터 강정민 박사는 “북한이 보유하고 있는 폐연료봉 8000개는 재처리시설을 통해 133일이면 22.5~27㎏의 플루토늄239를 만들 수 있다”고 했다.

농축 우라늄이나 플루토늄을 확보한 것만으로 원자폭탄이 되는 것은 아니다. 원자폭탄을 만들려면 이들이 동시에 연쇄반응을 일으켜 터지도록 설계해야 한다. 기폭장치와 연료의 배치 등의 설계가 원자폭탄을 만드는 핵심기술이다. 특히 플루토늄탄은 플루토늄 자체에서 중성자가 다량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이를 제어하는 기술이 필요해 우라늄탄보다 만들기 어렵다. 또 수차례의 핵실험을 거치면서 정교한 보정이 있어야 제조가 가능하다고 한다.

원자폭탄의 소형화도 중요한 과정이다. 폭탄은 일반적으로 장거리탄도미사일에 장착돼 목표지점까지 날아가는데 작게 만들어야 미사일에 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원자폭탄이 작아질수록 동시에 기폭하기가 더 까다로워 만들기 어렵다고 한다. 전문가들은 “북한에는 아직 이런 기술이 있다고 보기 힘들다”며 “이번 북한 핵실험의 위력은 TNT 500톤 정도로 설계에 문제가 있어 일부만 터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그렇다면 북한이 핵실험을 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미국 정보당국은 2003년 이미 북한이 핵연료봉을 재처리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표한 바 있다. 핵연료봉을 질산용액으로 녹일 때 ‘크립톤85’라는 기체가 발생하는데 이를 탐지하는데 성공했다. 이는 북한이 핵무기 원료를 만들고 있다는 뜻으로 북한 핵실험의 가능성을 포착한 것이다.

그리고 지난 10월 9일 북한 핵실험이 있었다. 그 징후를 가장 먼저 밝힌 것은 지진파 분석을 통해서다. 지하 핵시설에서 원자폭탄이 터졌을 경우 그 폭발력으로 지반이 흔들리기 때문에 지진파가 검출된다. 폭탄으로 인한 지진파는 자연적으로 발생한 지진파에 비해 아주 짧은 시간에 큰 강도로 나타난다는 특성이 있다.

지진파 자료로는 ‘폭발이 일어났다’는 사실과 ‘어느 지점에서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폭발이 일어난 지점은 서로 다른 세 곳 이상의 관측소의 값을 종합해서 얻어진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몇 번의 보정을 거쳐 핵실험 위치를 북위 41.275도, 동경 129.095도로 함북 길주군 만탑산 근처라고 발표했다.

이번 폭발이 ‘핵’에 의한 것이었음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대기 중에 퍼진 방사능 물질을 확인해야 한다. 핵실험이 있을 때는 크세논(Xe-135)과 크립톤(Kr-85), 세슘(Cs-137) 등의 방사능 물질이 방출되는데, 이들은 자연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 물질이다.

미공군은 WC-135C, WC-135W 정찰기를 한대씩 보유하고 있는데, 이들을 북한 상공에 띄워 방사능물질을 검출하고 있다. 이 정찰기의 날개 근처에 있는 대기 샘플 채취 필터로 대기권의 방사능과 미세먼지 등을 탐지할 수 있다.

핵실험 장소 근처 상공에서 공기를 채집해 영하 50도 이하로 낮춘 다음 특수 필터에 통과시키면 공기를 구성하는 주요 기체들은 빠져나가고 무거운 크세논과 크립톤만 달라붙는다. 크세논과 크립톤의 비율을 보면 터뜨린 원자폭탄이 우라늄탄인지 플루토늄탄인지 알 수 있다. 크세논과 크립톤의 비율이 11:1이면 플루토늄탄이고, 5:1이면 우라늄탄이다. 이번 핵실험이 어떤 종류의 원자폭탄인지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이번 사건으로 원자폭탄에 대한 관심이 높다. 핵은 막대한 에너지로도 쓰이지만 동시에 대량살상 무기가 되기도 한다. 맨하튼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과학자가 일생동안 큰 짐을 안고 살았던 것을 안다면 북한의 핵실험에 참여하는 과학자도 자신의 연구가 어떤 결과를 낳을지 살필 수 있었으면 좋겠다. (글 : 김정훈 과학전문 기자)

제가 어디서 듣기로 중성자탄과 원자탄은 다른걸로 알고있는데...
원자탄은 그냥 폭탄이고(무진장 센)중성자탄은 주변의 생명체만 죽이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벽같은 걸 뚫고) 진짜인가요?

 

| 미래과학자 | 2006-10-24

 

먼저 좋은 의견에 감사합니다.

중성자탄은 원자폭탄에서 핵폭발, 핵폭풍, 낙진은 최소화하는 대신 방출되는 중성자와 방사선(감마선)은 그대로 둔 것입니다.

따라서 폭발력이 약해 시설물 파괴는 최소화하고, 방사선으로 생명체만 죽입니다. 어떤 의미에선 원자폭탄보다 더 잔인한 무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77년 미국에서 생산되기 시작했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과학의 숲을 보는 즐거움
KISTI 과학향기

 

아래 이미 올린 글에 이어서 좀 더 퍼왔습니다.
------------------
조선은 이미 오래 전에 아프리카에서 원자폭탄 실험을 여러번 했고, 최근 98년에는 파키스탄에서 플로토늄 실험을 했습니다.
------------------
북한의 핵을 얕보아서는 안 될 것 같습니다.
| CJH | 2006-10-24

 

핵, 핵 하는데... 무서운건 알았지만,
일반적인 상식보다 자세한 정보 알려 주셔서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원리를 알고나니 북한 핵실험이 어느정도 수준에 도달된 것 같구요.
앞으로 핵이 뜨면, 무능화 시키는 전자파가 개발되어야 하지 않을지...
앞으로도 좋은정보 많이많이 기대하겠습니다. 수고하셔요 ~~

 

북한의 핵무기는 우리가 알고있는 것과는 좀 다른 것 같습니다. 어떤 [펌글]에서 보고 깜짝 놀랐었는데, 그 중 한 대목입니다.
---------------------
이번 조선에서 실시한 핵실험은 일반대중들이 알고 있는 통상적인 '원폭실험'이 아니라 '중성자탄 실험'입니다.
아메리슘이라는 물질인데, 이 물질을 가지고서 소총핵무기를 개발한 것이죠.
--------------------
섣불리 평가하여 얕보았다가는 큰 일 나겠습니다.
| CJH | 2006-10-23

 

| 여몽도

| 과학향기 | 2006-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