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지구위에서 유일하게 얼어죽지 않는 동물"극지빙충(極地氷蟲)(사진) 본문

카테고리 없음

지구위에서 유일하게 얼어죽지 않는 동물"극지빙충(極地氷蟲)(사진)

CIA Bear 허관(許灌) 2006. 5. 1. 03:10
지구위에서 유일하게 얼어죽지 않는 동물: 극지빙충(極地?蟲)(사진)

빙충을 발견한 과학자

겨울이 되면 빙충들은 깊은 설산에 집중된다. 그 곳에는 해조나 기타 음식물이 없으며 빙충들은 지하에 숨어 있는다. 빙충이 지하에서 도대체 어떻게 겨울을 지내는지는 아직도 비밀로 남아 있다. 겨울이 되면 빙충들은 멸종되기라도 한 듯이 가뭇없이 종적을 감춘다.

과학가들은 빙충이 적설속에서 동면하지 않는지 의심되어 연구를 진행하기도 했지만 그 종적을 찾지 못하다가, 최근 들어서야 지하 심층에서 빙충을 찾았다. 미국의 두 생물학자들은 일년내내 적설에 뒤덮인 레니크 산중에서 빙충을 찾았다. 그들이 지금까지 찾은 빙충들은 모두 지하 3미터 깊이에 숨어 있었다.

빙충은 지구위에서 유일하게 얼어죽지 않는 생물로 불리우며 과학가들이 상상하는 외계생명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과학가들은 빙충의 이같이 보기 드문 내한 체질로 미루어 볼 때 외계에도 생명이 존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인정했다.

빙충을 찾아 얼음속을 헤치고 있는 과학자들

2005년, 미국우주항공국(NASA)은 빙충 연구프로젝트에 20만달러를 지원했다. NASA는, 빙충은 이같이 열악한 환경에서도 자유로이 생활할 수 있는데 이는 목성이나 기타 외계에도 유사한 외계생물이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표시했다.

미국 "국가지리잡지"도 빙충의 존재에 큰 관심을 돌리고 있다. "국가지리잡지"는, 빙충은 기관이식 면에서의 가치가 외계생명 연구에 비해 현실적의의가 훨씬 크다고 인정했다. 이 잡지는 기관을 이식하는 의학분야에서 빙충의 세포기능을 잘 분석하여 이용한다면 의학발전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다고 표시했다. 빙충세포는 저온하에서도 정상적으로 신진대사를 진행하지만 이식된 기관은 냉장과정에서 에너지를 소모하며 신속히 위축된다. 만약 빙충의 신진대사의 비밀을 밝힌다면 화학과 약물을 사용하여 기관들을 더욱 오래동안 보존할 수 있다는 것이다.

1887년, 미국 시애틀의 유명한 촬영가 크티스가 처음으로 빙충을 발견했다. 하지만 당시 사람들은 그닥 관심을 돌리지 못했다. 최근년래 지구의 온난화로 많은 극지동물이 멸종의 위기에 처하게 되어서야 빙충의 존재가 차츰 연구자들의 시선에 들어섰다. 미국 워싱턴의 한 대학에서 공부하고 있는 생물연구생 빈 리는 빙충을 자기의 졸업논문 과제로 선택했다. 그는 "빙충은 지금 생물학계의 큰 주목을 받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공백이나 다름없다"고 인정했다.

하지만 향후 50년 후이면 지구가 점차 온난화됨에 따라 빙충의 생존 환경인 얼음과 적설이 차츰 소실되고 그때에 가서 빙충은 멸종된 동물로 역사에 기록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