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미국 여객기·헬기 충돌 사고로 피겨 선수 다수 사망 추정...한국계 유망주 포함 본문
미국 여객기·헬기 충돌 사고로 피겨 선수 다수 사망 추정...한국계 유망주 포함
CIA Bear 허관(許灌) 2025. 1. 31. 21:08지난 2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상공에서 발생한 여객기·헬기 충돌 사고로 한국계 16세 피겨스케이팅 선수 두 명과 그들의 모친, 그리고 러시아 출신 코치 두 명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참사는 피겨스케이팅계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미국 보스턴 소재 스케이팅 클럽 소속이었던 스펜서 레인과 지나 한을 포함한 이들 6명은 최근 미국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와 연계된 유망주 훈련 캠프에 참가한 뒤 돌아가는 중이었다.
한국 정부의 재미 영사 업무 담당자에 따르면 사고 여객기에 탑승한 승객 중에는 여자 피겨 유망주로 주목받아온 한국계 지나 한 선수가 포함됐다. 또한 같은 비행기에 탑승했던 10대 남자 피겨 선수 스펜서 레인의 경우, 그의 아버지 더글러스 레인이 아들을 한국에서 미국으로 입양했다고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해당 클럽의 더그 제그히베 최고경영자(CEO)는 30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피겨스케이팅은 서로 긴밀히 연결된 공동체다. 우리 모두가 가족을 잃은 심정이다"고 전했다.
미국 당국은 여객기와 군용 헬기가 충돌한 이번 사고에서 생존자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까지 사고 현장에서 28구의 시신이 수습됐다.
사고가 난 여객기에는 최소 14명의 피겨스케이팅 선수와 관계자가 탑승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 피겨스케이팅 협회는 일부 선수와 코치, 가족들이 해당 항공편에 탑승해 있었다고 확인했으나, 추가적인 탑승자 명단에 대한 BBC의 요청에는 응답하지 않았다.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는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며, 구조대는 포토맥강에서 남아 있는 잔해와 실종자를 찾기 위한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사고 여객기에는 64명, 군용 헬기에는 3명이 탑승한 것으로 파악됐다.
탑승객과 승무원에 대한 정보가 제한적으로 공개된 가운데 델라웨어대학교는 해당 대학의 전직 피겨스케이팅 코치였던 사샤 키르사노프가 이번 사고로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UD 피겨스케이팅 클럽 소속의 젊은 선수 두 명이 사고기에 탑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필라델피아 스케이팅 클럽과 노던 버지니아 스케이팅 클럽 등 여러 단체들도 사고에 대한 깊은 애도를 표했다.
러시아 국영 언론 타스(Tass)에 따르면 소련 국가대표 출신 전직 피겨스케이팅 선수 이나 볼리안스카야도 이번 사고로 숨진 것으로 확인됐다.
제그히베가 운영하는 보스턴 스케이팅 클럽 소속 희생자들은 지나 한과 스펜서 레인, 그들의 모친인 진 한과 크리스틴 레인, 그리고 러시아 출신 코치 예브게니아 슈슈코바와 바딤 나우모프다.
"우리는 충격에 빠졌으며, 어떤 말로도 이 감정을 표현할 수 없습니다."
제그히베는 이번 사고를 "끔찍한 비극"이라고 표현했다.
그리고 그는 "스펜서 레인이 피겨스케이팅의 미래"였다며 "단숨에 정상을 향해 치솟던 천재적인 선수"라고 전했다.
또 다른 코치 엘린 샤른도 "스펜서는 타고난 우아함과 스피드에 대한 뛰어난 감각을 갖고 있었다"며 "그처럼 빠르게 성장하는 선수는 본 적이 없다"고 전했다.
제그히베는 "스펜서와 지나 한은 클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던 리더들이었다"고 말했다.
그리고 그는 지나 한에 대해 "실력 있는 선수이자 늘 친절한 사람이었다"며 "모두가 그녀를 사랑했다"고 말했다.
이들의 코치인 예브게니아 슈슈코바와 바딤 나우모프 부부도 같은 여객기에 타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슈슈코바와 나우모프는 1994년 세계선수권에서 우승한 러시아 출신 페어 선수로, 올림픽에도 출전한 바 있다. 이후 그들은 미국으로 건너와 코치로 활동했다. 제그히베는 "그들은 (피겨 선수들에게) 높은 기준을 요구했지만, 매우 따뜻한 사람들이었다"고 회상했다.
이들은 아들 맥스(24)를 두고 세상을 떠났다. 맥스 역시 부모의 뒤를 이어 피겨스케이팅 선수로 활동 중이다.
![](https://blog.kakaocdn.net/dn/etRJ0W/btsL4J47qjU/vshlK0sVCfXF8DxOVcboGk/img.webp)
올림픽 메달리스트이자 보스턴 스케이팅 클럽 출신인 낸시 케리건은 두 사람에게 애도를 표했다.
"그들만큼 스케이팅을 사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그래서 더욱 가슴이 아픕니다."
케리건은 애도의 뜻을 전하며 "무슨 일이 일어난 건지 아직 실감이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피겨스케이팅계에서는 이번 사고가 1961년 미국 피겨스케이팅 국가대표팀이 프라하 세계선수권 대회로 가던 중 비행기 추락 사고로 선수 18명이 전원 사망한 사건을 떠올리게 한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제그히베는 피겨스케이팅계가 그 사고에서 회복하는 데 수십 년이 걸렸다고 말했다.
그는 "그 사건이 오랫동안 영향을 미쳤다"며 "이렇게 뛰어난 지도자를 잃는 것은 곧 스포츠의 미래를 잃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https://blog.kakaocdn.net/dn/A2iJ4/btsL4z2LSMU/kdHFhDjOE335Lx5xiUAASk/img.webp)
미국 여객기·헬기 충돌 사고로 한국계 10대 유망주 등 피겨스케이팅 선수 14여 명 사망 추정 - BBC News 코리아
미국 여객기·헬기 충돌 사고로 한국계 10대 유망주 등 피겨스케이팅 선수 14여 명 사망 추정 - BBC
사고가 난 여객기에 세계 피겨 선수권 대회 챔피언 출신을 비롯한 전현직 피겨스케이팅 선수와 코치 약 20명이 탑승한 걸로 확인됐다.
www.bbc.com
'세계에서 가장 통제된' 비행 구역에서 어떻게 이런 사고가 발생했나?
지난 29일(현지시간) 밤 미국 워싱턴 DC 근처 공중에서 여객기와 군용 헬기가 충돌한 가운데 항공 업계는 한 전문가가 "세계에서 가장 철저하게 통제된 비행 구역"이라고 묘사한 이곳에서 어떻게 이런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지 이해하고자 애쓰고 있다.
군인 3명이 타고 있던 미 육군 소속 '블랙호크' 헬기와 승객 64명을 태우고 로널드 레이건 워싱턴 내셔널 공항에 착륙하려던 '아메리칸 항공' 소속 여객기가 서로 충돌하며 두 사고기 모두 얼어붙은 포토맥강으로 추락했다.
정확한 충돌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사건 조사를 맡은 '미국 연방교통안전위원회(NTSB)'에 따르면 앞으로 30일 이내에 당국의 예비 보고서가 발표될 예정이다.
BBC의 현지 파트너인 CBS 뉴스에 따르면 30일 잔해에서 블랙박스(비행 데이터 기록 장치)가 발견되었다고 한다. 해당 장치는 정확한 추락 원인 파악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통제된 비행 구역
여러 핵심 정부 기관이 자리한 워싱턴 DC이기에 이곳 상공은 국가 안보 보호를 위해 철저히 통제된다.
우선 상업용 항공기는 펜타곤(미국 국방부 청사), 백악관 및 여러 역사적인 건물 위를 지날 수 없다.
그럼에도 이곳은 항공 교통량이 많은 상공이라는 게 항공 전문 변호사 짐 브래클의 설명이다.
상업용 항공기뿐만 아니라 종종 도시 주변의 주요 장소를 오가며 고위 관료나 정치인을 실어 나르는 전용기, 헬기도 이곳 상공을 오간다.
항공 소송 및 워싱턴 내셔널 공항과 관련한 여러 소송을 맡은 바 있는 브래클 변호사는 "이곳은 (항공기가 드나드는) 경로가 매우 좁아 혼잡하고, 다니는 항공기도 많다. 즉 무척 좁게 제한된 구역에 수많은 항공기가 함께 다니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과거 '미 연방항공청(FAA)'과 (NTS)에서 항공기 사고 조사관으로 근무했던 제프 구제티는 BBC 뉴스아워와의 인터뷰에서 사고 전 헬기가 관제탑과 교신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항공 관제사가 근처 여객기에 대해 헬기 측에 주의를 줬다는 것이다.
"해당 헬기 조종사는 해당 여객기가 시야에 들어왔다며, 거리를 유지하며 벗어나겠다고 답했다. 그리고 그 직후 사고가 발생했다"는 구제티 전 조사관은 "그렇기에 헬기 조종사가 당시 정확히 무엇을 보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헬기 비행 구역
총 5명으로 구성된 NTSB 위원회의 토드 인먼은 워싱턴 DC는 헬기 및 헬기 비행이 허용된 특정 구역으로 인해 "독특한 환경"이라고 언급했다.
인먼 위원은 "수많은 헬기가 DC에 착륙하고, 이러한 헬기 비행과 관련해 시스템이 아주 잘 마련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에 충돌한 헬기의 사고 전 고도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브래클 변호사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두 항공기가 어떻게 같은 비행 구역에 있게 되었는지 의문이 남는다고 지적했다.
"워싱턴 내셔널 공항은 강 바로 위에 있다는 점에서 매우 독특하다"는 브래클 변호사는 "그리고 이 공항에 접근하는 마지막 경로를 가로질러 헬기 경로가 나 있다. (이 헬기 경로는) 200피트 이하 혹은 그 정도 높이"라고 덧붙였다.
즉 항공기와 헬기의 접근 경로가 서로 교차한다는 것이다.
브래클 변호사는 "즉 아주 좁은 공간에서 항공기와 헬기가 거의 거리를 두지 못한 채 지나다니는 것"이라면서 "그렇기에 만약 한 대는 너무 높게 날고, 한 대는 너무 낮게 날면 결국 같은 비행 구역에 2대가 함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여러 항공 시스템이 교차하는 '연결점'
항공 컨설턴트 필립 버터워스-헤이스는 민간, 군용 시스템 및 이곳 공항만의 특수한 절차 등 "다양한 항공 시스템이 교차하는 연결점"에서 발생한 사고라고 설명했다.
"이곳은 3~4가지 항공 시스템이 만나는 지점으로, 사고는 대부분 이러한 경계 지점에서 발생하곤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영국의 항공 전문가인 존 스트릭랜드는 이 구역의 상업용 항공 교통량만으로는 이번 사고의 원인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도심과 가까운 워싱턴 내셔널 공항뿐만 아니라 국제적 관문인 워싱턴 덜레스 국제공항, 조금 더 떨어진 볼티모어 공항도 있다는 것이다.
"(이런 곳에서는) 교통량 흐름을 분리해서 관리해야 합니다. 영국 런던에서 히드로, 스탠스테드, 개트윅, 런던시티 공항 사이 교통 흐름을 관리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DC는 런던이나 뉴욕과 다르지 않습니다... 이곳이라고 무척 특이한 것은 아니라는 뜻입니다."
한편 버터워스-헤이스는 "워싱턴 DC는 세계에서 가장 철저히 통제되는 영공"이라면서 "미국 정부와 민간의 시스템이 모두 존재하는 곳이다. 내셔널 공항은 심지어 미국 내에서 보기 드문 정부 소유 공항"이라고 덧붙였다.
"이 지역에 얼마나 많은 보안 및 민간 안전 기관이 있는지 생각하면 이곳은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비행 구역이자, 가장 안전해야 할 비행 구역입니다."
레이더에 포착된 항공기
미국에서 마지막으로 발생한 여객기 관련 사망 사고는 2009년 2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전문가들과 관계자들은 모든 종류의 비행과 관련해 엄격한 안전 규제가 마련되어 있기에 이런 종류의 사고는 극히 드물다고 강조했다.
한편 CBS 뉴스가 항공 교통 관제 소식통으로부터 입수한 영상에 따르면 관제사가 접근할 수 있는 레이더 시스템에는 사고기로 보이는 두 물체가 선명하게 확인된다.
아울러 BBC 뉴스가 입수한 음성 파일은 사고 전 헬기가 지상의 관제탑과 교신하고 있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듯하다.
관제사는 헬기 조종사에 근처 여객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지, "그 뒤로 지나갈 수 있는지" 묻는다. 그리고 이어지는 음성 파일에서는 충돌 사고가 발생했음을 인지한 관제사들이 비행 중이던 다른 항공기들을 주변의 다른 공항으로 유도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버터워스-헤이스는 이와 같은 공중 충돌 사고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여러 문제가 한꺼번에 맞물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선 군용 헬기가 민간 영공을 비행하기 위해서는 주변 항공기들에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는 트랜스폰더를 장착한 상태여야 한다고 한다.
즉 민간 영공을 지나는 항공기와 헬기는 서로의 위치를 알고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관제탑이 이와 관련해 지시도 내리고, 각기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안전장치도 마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번 사건에서는 서로 다른 두 시스템이 존재했는데,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항공기들은 서로 거리를 유지한 채 비행할 수 있어야 했습니다."
한편 사고 헬기는 제12항공대대 B중대 소속으로, 버지니아 소재 '포트 벨부아' 군사기지를 출발해 훈련하던 중이었다.
'경험이 풍부한' 헬기 승무원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부 장관은 사고 헬기의 승무원들은 "경험이 풍부한" 이들로, 연례 야간 비행 훈련 중이었다고 설명했다.
퇴역한 미 공군 대령인 세드릭 레이튼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군용 헬기가 해당 구역에서 야간 훈련을 벌이는 것은 지극히 정상이라면서, 특히 조종사가 어둠 속에서 비행하는 데 필요한 계기 사용에 능숙한지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했다
레이튼 대령에 따르면 해당 헬기가 속한 부대의 주요 임무는 DC 주변에서의 고위급 관료 수송이지만, 사고 당시에는 훈련 비행 중이었기에 탑승한 관료는 없었다.
레이튼 대령은 해당 부대의 조종사들은 DC의 혼잡한 영공에서 비행하는 데 능숙해야 하며, "이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고자 훈련"을 한다고 덧붙였다.
버터워스-헤이스 또한 오직 숙련된 조종사만이 이렇게 복잡한 영공에서 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시스템이나 장비에 익숙해지기 위한 훈련이었는지, 조종사가 헬기에서 사용한 시스템은 어떤 것이었는지, 안전 시스템은 모두 구비되어 있었는지, 새로운 절차나 경로를 시도하고 있었는지 등 의문을 풀어야 합니다."
미국 여객기-헬기 충돌: ‘세계에서 가장 통제된’ 비행 구역에서 어떻게 이런 사고가 발생했나? - BBC News 코리아
미국 여객기-헬기 충돌: ‘세계에서 가장 통제된’ 비행 구역에서 어떻게 이런 사고가 발생했나?
미국 워싱턴 DC 로널드 레이건 내셔널 공항 인근 상공에선 아메리칸항공 여객기와 훈련 중이던 군 헬기와 충돌한 가운데 세계에서 가장 철저히 통제되는 비행 구역 중 하나인 이곳에서 어떻게
www.bbc.com
'Guide Ear&Bird's Eye59 > 영국 B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탄핵 심판, 홍장원 '체포조 메모' 놓고 치열 공방 (0) | 2025.02.07 |
---|---|
중국에 큰 타격 줬던 트럼프 관세...이번엔 어떨까 (0) | 2025.02.02 |
서부지법 사태, '2030이 절반 이상'... 이들은 누구인가 (0) | 2025.01.31 |
트럼프가 말한 '북한 뉴클리어 파워', 실제 의도는? (0) | 2025.01.26 |
윤 대통령과 마주한 김용현 전 장관... 4차 변론, 어떤 얘기 오갔나 (0)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