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금강산 해금강호텔, 철거 막바지…대형 중장비 동원 본문
북한이 현대아산 소유 시설인 해금강호텔을 쉬지 않고 해체하는 정황이 또다시 포착됐습니다. 특정 조치로 단정하기 이르다는 한국 통일부의 설명과 달리 낮은 층수까지 파괴됐는데, 해금강 호텔이 역사 속으로 사라질 날도 머지않아 보입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의 금강산 관광 중단 이후 한동안 조용했던 금강산 고성항 일대는 현재 한국 기업 재산인 해금강호텔의 해체 작업으로 연일 분주한 모습입니다.
이곳을 촬영한 ‘플래닛 랩스(Planet Labs)’의 지난 5일자 위성사진을 살펴보면 해금강 호텔은 이미 가운데 부분을 중심으로 철거가 상당 부분 진행된 듯 움푹 들어간 모습이며, 앞쪽 부두에는 건물 자재로 보이는 검정색 물체들이 쌓여 있습니다.
또 건물에서 내륙쪽으로 약 700m 떨어진 지대는 과거 아무 것도 없는 초원이었지만, 5일 현재 해금강호텔과 비슷한 크기의 건축 폐기물 더미가 자리한 상태입니다.
VOA는 지난달 6일 해금강호텔의 해체 정황이 처음 포착된 이후 지속적으로 위성사진을 통해 관련 동향을 주시해 왔습니다.
그동안 건물이 층별로 해체되는 듯 건물의 각기 다른 색상이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대형 중장비가 등장했다 사라지기는 장면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지난 1일 촬영된 위성사진에선 건물 앞쪽에 자리한 대형 크레인이 연결부위를 건물 옥상 쪽으로 쭉 뻗은 모습을 하고 있었는데 다음날인 2일 크레인은 사라졌고 주변에는 평소보다 많은 건물 자재가 쌓여 있었습니다.
또 3일에는 이들 자재가 다 사라진 듯 건물 앞 지대가 깨끗하게 정돈된 모습이었지만 4일과 5일 다시 자재가 쌓인 점으로 미뤄볼 때 이곳에서 해체 작업이 계속된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앞서 이종주 한국 통일부 대변인은 지난달 18일 정례브리핑에서 VOA의 해금강호텔 해체 보도와 관련해 “면밀히 주시하고 있으나 현 단계에서 북한의 관련한 동향을 특정한 조치로 단정해 판단하기는 이르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통일부의 ‘유보적 입장’과 달리 당시 해금강호텔은 이미 건물 외벽이 사라지고 옥상이 파괴되는 등 철거 정황이 뚜렷했고, 5일 현재는 고층에 대한 해체 작업이 마무리된 모습으로 마치 건물 내부를 ‘도려낸 듯한’ 단계에 이르렀습니다.
위성사진 분석 전문가인 닉 한센 미 스탠포드대 안보협력센터 객원연구원은 5일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호텔이 철거되고 있다”면서 “대형 크레인이 지붕과 내부 자재를 드러내고 있다”고 확인했습니다.
[녹취: 한센 연구원] “The hotel is being demolished. There's a big crane there that's taking pieces of the roof and insides out. I think they're still working on it but they maybe got it down far enough so they don't need that crane anymore.”
이어 “(해체) 작업은 계속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충분히 낮은 층수까지 작업을 하면서 더 이상 크레인은 필요하지 않은 상황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금강산 관광지구의 항구에 위치한 수상 건물인 해금강호텔은 한국 현대아산 소유의 건물로 과거 한국 관광객들이 주로 이용해 왔습니다. 그러나 2008년 금강산 관광이 중단되면서 10년 넘게 방치돼 왔습니다.
앞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019년 10월 금강산을 시찰한 뒤 “보기만 해도 기분이 나빠지는 너절한 남측 시설을 싹 들어내도록 하라”고 지시한 바 있습니다.
또 최근 김정은 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 등이 “한국에 대한 많은 것을 재고할 것”이라고 말하는 등 강도 높은 담화를 잇달아 발표하면서 금강산 남측 시설 철거에 더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
금강산 해금강 호텔 해체 정황…민간 위성사진에 포착

북한이 금강산 해금강 호텔을 해체하고 있는 정황이 위성사진을 통해 확인됐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철거를 명령한 지 약 2년 5개월 만입니다.
금강산 해금강 호텔에서 변화가 처음 포착된 건 지난 6일입니다.
일일 단위 위성사진 서비스 ‘플래닛 랩스(Planet Labs)’가 5일부터 9일 사이에 촬영한 위성사진 자료를 살펴보면 6일부터 해금강 호텔의 오른편, 즉 북쪽 부근의 옥상 부근에 구멍이 뚫리거나 대형 중장비가 올라선 듯 전날과 달리 어두운 색깔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어 다음날인 7일 위성사진에는 이 어두운 색상이 건물의 좀 더 남쪽으로 퍼져 있었으며 8일과 9일에는 건물 중심부까지 내려왔습니다.
이와는 별도로 5일 위성사진에선 호텔 바로 앞 육지 부분의 바닥이 깨끗한 상태라는 점을 알 수 있지만 6일 이후부턴 바닥에 중장비 등이 자리한 듯 대형 물체가 놓인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해금강 호텔에서 위성사진에 포착될 만큼의 큰 변화가 관측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앞서 한국 언론들은 11일 한국 정부와 군 소식통 등을 인용해 북한이 금강산의 한국 측 시설에 대한 철거를 일부 시작한 정황이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당시 보도에는 어떤 시설에 대한 철거 작업이 시작됐는지 언급되지 않았지만 이번 위성사진을 통해 해금강 호텔이 해체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금강산 관광지구의 항구에 위치한 수상 건물인 해금강 호텔은 북한이 소유권을 갖고 있지만 2000년부터 현대아산이 관리 해왔습니다.
앞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2019년 10월 해금강 호텔을 비롯한 금강산 내 여러 시설이 낡았다며 철거 명령을 내렸지만 이후 신종 코로나 사태가 발생하면서 2년 넘게 아무런 움직임이 관측되지 않았습니다.
현재 금강산 관광지구에는 해금강 호텔 외에도 금강산호텔과 외금강호텔, 금강산옥류관 등 현대아산이 보유하거나 북한으로부터 운영권을 넘겨받아 운영해 온 시설들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은 이들에 대해서도 철거를 명령했지만 해금강 호텔 외 시설에 대한 철거 여부는 위성사진의 낮은 화질로 판독이 불가능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
CNN, 북한 해금강호텔 '기구한' 사연 조명…"금강산관광, 남북교류 중추적 역할"

미국의 주요 언론매체가 철거 위기에 놓인 북한 금강산 해금강호텔의 사연을 집중 조명했습니다. 남북교류의 중추적 역할을 했던 금강산 관광시설인 이 호텔이 남북관계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는 겁니다. 이조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CNN’ 방송은 11일, ‘북한에서 녹이 슬어가는 해상 호텔’이란 제목의 보도에서 북한 금강산 해안가에 떠 있는 해금강호텔에 주목했습니다.
이 방송은 해금강호텔이 한때 호주 해안에 떠 있던 전례 없는 호화 호텔이었지만 현재는 남북한을 가르는 제한구역인 비무장지대(DMZ)에서 차로 20분 거리에 있는 북한 측 항구에 황폐하게 자리 잡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호텔은 약 30년 전 화려하게 시작됐지만, 1만 마일의 기이한 여정의 마지막 정거장에서 비극으로 끝날 위기에 놓였다는 겁니다.
이 호텔은 호주의 개발업자가 당시 돈으로 약 4천500만 달러를 들여 7층 구조물로 건조해 세계적으로 유명한 호주의 산호초 천국인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해상에 띄운 세계 최초의 해상 호텔입니다.
호주에서는 ‘포 시즌스 배리어 리프’라는 이름으로 1988년 3월 문을 열었습니다.
그러나 악천후로 바다가 통제불능 상태로 흔들리는 상황이 잦았고 손님이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호텔은 운영 비용을 감당할 수 없어 1년을 버티지 못하고 문을 닫았습니다.
이후 1989년 이 호텔은 베트남에 팔려 ‘사이공호텔’로 이름을 바꿨지만 거의 10년 동안 사이공강에 정박해 있었고, 결국 재정이 고갈돼 8년 만인 1999년 또 문을 닫았습니다.
‘CNN’ 방송은 그러나 한국과의 접경 지역인 금강산으로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북한이 이 호텔을 매입하며 새로운 삶의 터전을 찾았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호텔은 북한에서 해금강호텔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세 번째 모험을 준비해 2000년 10월 문을 열었고, 한국 기업인 현대아산이 금강산 지역의 다른 시설도 운영하며 이 호텔을 관리하게 됐다는 겁니다.
다만, 한국 언론 보도들에 따르면 해금강호텔은 현대아산이 소유하고 직영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CNN’ 방송은 현대아산 박성욱 대변인을 인용해 “금강산 관광은 남북 분단의 아픔을 달래기 위해 이산가족 상봉의 거점으로서 남북 화해를 제고하고 남북교류의 중추적 역할을 했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2008년 한국인 관광객 박왕자 씨가 북한 군인의 총에 맞아 숨지자 한국 정부는 금강산 관광을 중단했고, 해금강호텔도 관광 투어를 중단했습니다.
‘CNN’ 방송은 이후 이 호텔이 계속 운영됐는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지만 여전히 금강산 일대 부두에 정박해 녹이 슬어 가는 모습은 볼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시로 철거가 임박해 불확실한 미래에 직면했다고 밝혔습니다.
미-북 비핵화 협상 교착 상태가 이어지는 가운데, 해빙됐던 남북관계가 다시 얼어붙었던 2019년 10월 김정은 위원장이 금강산 관광지구를 찾아 “남측 시설물들을 싹 들어내고 독자적으로 개발하라”고 지시했기 때문입니다.
김 위원장은 지난 1월 8차 당 대회에서는 독자적인 금강산 개발 계획을 밝혔고, 한국이 운영하던 시설들은 “모두 들어낼 것”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CNN’ 방송은 이런 와중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터지며 북한의 금강산 관광지구 재설계 계획은 보류됐고, 해당 시설 철거 계획의 지속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해금강호텔은 그 사이 “또 다른 하루를 살고 있고 과거의 유산은 여전히 살아있다”고 보도했습니다.
VOA 뉴스 이조은입니다.









'Guide Ear&Bird's Eye22 > 북한[P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의회, 북한 인권유린·종교박해 규탄 결의안 채택 (0) | 2022.04.08 |
---|---|
미 정보 당국자 “김여정 담화, 긴장 조성해 악용하는 북한 정권 수법의 대표적 사례” (0) | 2022.04.08 |
북한 김여정 이틀 만에 또 담화..."한국이 군사 대결 택하면 핵 무력 사용할 것" (0) | 2022.04.05 |
김정은, 완공된 보통강 택지 찾아…“전국 대대적 주택건설” (0) | 2022.04.03 |
북한인권: 유엔, 북한 인권결의안 채택... 한국 또 공동제안국 불참 (0) | 2022.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