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일본 중의원 본회의, 중국 인권문제 관련 결의 채택 본문
베이징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중의원은 1일 본회의에서 신장위구르자치구와 티베트자치구 등 중국에서의 인권상황에 우려를 나타내는 결의를 찬성다수로 채택했습니다.
자민당과 입헌민주당 등의 국회의원이 제출한 이 결의는 1일 중의원 본회의에서 표결에 부쳐진 결과, 자민 공명 양당과 입헌민주당, 일본유신회, 국민민주당, 일본 공산당 등의 찬성 다수로 채택됐습니다.
결의에서는 중국에서의 인권상황에 대해 “최근 국제사회로부터 신장위구르자치구와 티베트자치구 등의 종교의 자유 침해와 강제수용을 비롯한 심각한 인권상황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중국 정부를 염두에 두고 “힘에 의한 현상 변경을 국제사회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하는 동시에, 국제사회가 납득할 수 있는 형태로 설명책임을 다하도록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결의와 관련해 하야시 외상은 “지금까지 신장위구르의 인권상황 등에 대해서도 일미정상회담과 G7의 장을 포함해, 정부 차원에서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는 등 가치관을 공유하는 국가와 함께 연대하면서 대처해 왔다”면서 “결의의 취지를 바탕으로, 정부 차원에서 계속해서 국제사회와 긴밀히 연대하면서 착실히 대응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중의원 본회의, 중국 인권문제 관련 결의 채택 | NHK WORLD-JAPAN News
중의원 본회의, 중국 인권문제 관련 결의 채택 | NHK WORLD-JAPAN News
베이징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중의원은 1일 본회의에서 신장위구르자치구와 티베트자치구 등 중국에서의 인권상황에 우려를 나타내는 결의를 찬성다수로 채택했습니다.
www3.nhk.or.jp
일본 중의원, 중국 '인권 우려' 결의 채택
일본 중의원이 중국 내 인권 문제를 우려하는 결의안을 1일 채택했습니다.
미국의 하원에 해당하는 중의원의 이번 결의안은 “우리는 인권 상황을 통해 상징적으로 표출되고 있는, 힘에 의한 현 상황의 변화를 국제사회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한다”고 밝혔습니다.
결의안은 또 신장 위구르 자치구, 티벳, 내몽골자치구, 홍콩과 기타 지역을 언급하며 종교의 자유 침해와 구금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강조했습니다.
결의안은 인권 문제는 한 나라 국내 문제의 범주를 넘어서는 전 세계의 이익이 걸려 있는 사안이라며, 일부 사람들은 자신들이 박해를 받고 있다고 주장하고, 다른 나라들이 그런 호소에 대한 화답 차원에서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따라 결의안은 중국 정부에 책임을 요구하고, 일본 정부에는 건설적인 관여를 촉구했습니다.
특히 일본 정부가 중국 내 심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전체적인 그림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를 수집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한편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결의안 채택 직후 기자들과 만나 자유, 민주주의, 법치, 인권 등의 보편적 가치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기시다 총리는 “그와 같은 보편적 가치는 다른 나라들에서도 지켜져야 한다”며, “결의안 내용을 진지하게 간주하고, 인권과 같은 보편적 가치를 준수하기 위한 정책과 외교를 지속적으로 펼쳐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일본 ‘교도통신’은 4일 개막하는 중국 베이징동계올림픽 개막읖 앞두고 중의원이 이 같은 결의안을 채택한 것은 “이례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결의안은 신장과 다른 지역 내 “심각한 인권 문제 상황”이라고 명시했지만 “인권 유린”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거나 중국을 직접적으로 비난하지는 않았다고 분석했습니다.
'교도통신'은 집권 자민당 고위 관계자를 인용해 참의원도 베이징 동계올림픽 폐막 이후 유사한 내용의 결의안을 채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습니다.
VOA 뉴스
'Guide Ear&Bird's Eye24 > 일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RCEP, 일한 관계개선 계기될지 주목 (0) | 2022.02.02 |
---|---|
일본정부, 1일 '사도 광산' 세계문화유산 추천 각의 통과 (0) | 2022.02.01 |
일본 "1월 31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전국에서 60,838명" (0) | 2022.01.31 |
일본 자위대 기지에 미군 무인기 첫 배치 검토 (0) | 2022.01.27 |
일본 정부, 휘발유 가격 상승 억제 위한 대책 적용키로 (0) | 2022.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