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美 씨넷, 갤Z폴드3·갤Z플립3 방수 테스트 결과 본문
삼성전자가 최근 출시한 3세대 폴더블폰 ‘갤럭시Z폴드3’와 ‘갤럭시Z플립3’는 제품 디자인은 서로다르지만, IPX8의 동일한 방수 등급을 갖췄다. 이는 수심 1.5m 맑은 물에서 최대 30분 동안 버틸 수 있는 수준이다.
스마트폰 방수 기능은 새로운 기능은 아니지만 폴더블폰의 경우 힌지처럼 움직이는 부품이 많이 사용됐기 때문에 일반 스마트폰과 동일한 방수 등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더 까다로운 설계 작업이 필요하다.
두 제품 모두 부식방지 소재와 유지력이 뛰어난 그리즈(방수도포용 윤활제)를 통해 힌지가 부식되지 않도록 보호했다. 또, 물로 인한 메인보드 손상을 막기 위해 고무와 실리콘 소재 단자인 CIPG도 사용했다.
IT매체 씨넷은 삼성 갤럭시Z폴드3와 갤럭시Z플립3의 방수 기능 테스트를 진행, 그 결과를 최근 보도했다
수심 1.5m 담수 테스트
씨넷은 두 제품을 1.5m 맑은 물에 담근 후, 30분이 지난 후 기기를 꺼냈다. 이후 제품을 수건으로 닦고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는 지 확인했다.
씨넷은 카메라 렌즈는 물이 들어간 흔적 없이 깨끗했고 카메라는 정상적으로 작동했으며, 내·외부 디스플레이도 터치에 정상적으로 반응했다고 밝혔다.
지문인식 스캐너, 마이크 등도 정상적으로 작동했지만, 스피커에 물이 약간 남아 있어 높은 볼륨으로 음악을 재생할 때 물방울이 나왔다. 하지만, 기기가 마른 후 정상으로 돌아왔다고 씨넷은 전했다.
씨넷은 테스트 이후 기기가 마른 48시간 후에 모든 검사를 다시 하자 모든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했다고 밝혔다.
수심 3m 수영장물 테스트
삼성전자가 명시한 IPX8 등급의 방수 기능은 맑은 물에서만 가능하지만, 실제 수영장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씨넷은 수심 3m의 염소 처리된 물에 기기를 빠뜨린 후 15분이 지나 꺼내봤다.
그 결과 카메라와 내·외부 디스플레이는 정상 작동했지만, 갤럭시Z폴드3의 경우 지문 인식 스캐너가 정상 작동하지 않았다. 또, 두 제품 모두 스피커 소리는 잘 들리지 않았다
이후 24시간이 지난 후 제품을 다시 테스트하자 최대 스피커 볼륨은 두 전화기 모두 정상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갤럭시Z폴드3의 경우 스피커 볼륨이 이전처럼 선명하지는 않았고 지문 인식 스캐너도 작동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다른 버튼이나 화면 작동, 카메라 실행 등은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씨넷은 이번 테스트가 과학적 테스트는 아니며 누구나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는 없다고 밝히며, 삼성 갤럭시Z폴드3와 갤럭시Z플립3의 방수 기능에 대해 짧은 시간 수영을 해도 괜찮을 수준이라고 평했다
갤럭시Z폴드3·갤럭시Z플립3 물 속에 담갔더니… - ZDNet korea
갤럭시Z폴드3·갤럭시Z플립3 물 속에 담갔더니…
삼성전자가 최근 출시한 3세대 폴더블폰 ‘갤럭시Z폴드3’와 ‘갤럭시Z플립3’는 제품 디자인은 서로다르지만, IPX8의 동일한 방수 등급을 갖췄다. 이는 수심 1.5m 맑은 ...
zdnet.co.kr
폰아레나 "웹 브라우징·3D 게임 시 성능 좋지만, 동영상 시청 시 빨리 닳아"
삼성전자가 최근 출시한 폴더블폰 '갤럭시Z플립3'가 디자인 측면에서 호평을 받으며 흥행 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IT매체 폰아레나가 갤럭시Z플립3의 배터리 테스트를 진행해 최근 공개했다.
갤럭시Z플립3의 배터리 용량은 3,300mAh로 다소 작은 편이다. 배터리 하나는 기기 상단에, 다른 하나는 하단에 자리잡고 있다. 삼성 갤럭시S21의 배터리는 4,000mAh, 갤럭시S21플러스의 배터리 용량은 갤Z플립3보다 훨씬 큰 4,800mAh 배터리를 갖췄다.
폰아레나는 일반적인 사용자의 기기 사용을 테스트 하기 위해 ‘웹 브라우징’ 테스트를 진행했고 동영상을 많이 시청하는 사용자를 위해 ‘유튜브 영상 스트리밍’ 테스트를, CPU보다 GPU에 부담을 많이 주는 특수상황을 테스트하기 위해 3D 게임 플레이 시 배터리 수명을 조사했다.
■ 웹 브라우징
갤럭시Z플립3는 웹 브라우징 테스트에서 괜찮은 성능을 보였다. 배터리 용량이 더 큰 갤럭시S21, 갤럭시S21플러스 보다 오래 사용할 수 있어 웹 브라우징을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한 번 충전하면 하루 종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폰아레나는 전했다.
■ 유튜브 동영상 스트리밍
하지만, 유튜브 영상 스트리밍 테스트 결과는 조금 달랐다. 갤럭시Z플립3는 전작에 비해서는 다소 나아졌지만, 갤럭시S21시리즈 제품보다는 오래 지속되지 않았다. 현재 대부분의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영상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이는 중요한 지표라고 해당 매체는 평했다.
■ 3D 게임
3D 게임 플레이 시 갤럭시Z플립3는 놀라울 정도로 기존 갤럭시S21 시리즈 제품들을 능가하는 점수를 받았다. 또 인스타그램 스토리 등 사용 시 기기가 약간 뜨거워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는데 3D 게임 플레이할 때는 뜨거워지지 않았고 좋은 온도를 유지했다고 해당 매체는 전했다.
갤럭시Z플립3, 배터리 테스트 해봤더니... - ZDNet korea
갤럭시Z플립3, 배터리 테스트 해봤더니...
삼성전자가 최근 출시한 폴더블폰 '갤럭시Z플립3'가 디자인 측면에서 호평을 받으며 흥행 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IT매체 폰아레나가 갤럭시Z플립3의 배...
zdnet.co.kr
갤럭시Z 플립3, 초반 돌풍 비결은 가격·디자인
삼성전자의 3세대 폴더블폰이 공식 출시일 전부터 흥행 기록을 세워가고 있다. 특히 2030 세대를 중심으로 클램셸(조개껍데기) 형태의 폴더블폰 갤럭시 Z 플립3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전작에 비해 저렴한 가격과 세련된 디자인으로 젊은층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는 분석이다.
25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갤럭시 Z 폴드3와 Z 플립3는 지난 17일부터 23일까지 진행된 국내 예약판매에서 92만대의 판매 실적을 거뒀다. 삼성전자의 이전 전략 스마트폰인 갤럭시 노트20의 약 1.3배, 갤럭시 S21의 약 1.8배나 되는 수준이다.
3세대 갤럭시 Z 시리즈는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200만대 이상 팔려 삼성전자의 올 상반기 폴더블폰 판매 실적을 뛰어넘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런 관심은 사전 개통으로 이어졌다. 사전 개통이 시작된 24일 하루 동안에만 27만명이 몰렸다. 이는 삼성전자의 역대 국내 개통 첫 날 기준 가장 많은 수준이다.
특히 Z 플립3가 전체 판매 중 70%를 차지할 정도로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특히 2030 세대와 여성층에서 Z 플립3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젊은층에서 KT에 따르면 Z 플립3 예약자 연령대는 30대 31%, 20대 22%, 40대 21%, 50대 15%의 순이었다. 또 SKT는 Z 플립3 구매자 중 35%가 25~45세 여성이라고 전했다.
가장 큰 흥행 요인은 가격의 문턱을 낮춘 것이다. 삼성전자는 올 하반기 폴더블폰 대중화에 승부를 걸면서 Z 폴드3와 Z플립3의 가격을 전작에 비해 40여만원 낮췄다.
Z 폴드3의 가격은 256GB 내장 메모리 모델이 199만8700원, 512GB 내장 메모리 모델이 209만7700원이다. Z 플립3의 가격은 125만4000원으로 훨씬 낮다. 공시 지원금까지 받으면 실구매가는 60만원대까지 내려갈 수 있다. 기존 바(bar) 형태 프리미엄 스마트폰과 큰 차이가 없어 트랜드에 민감한 젊은 소비자들이 선택 가능한 대안이 됐다는 분석이다.
감각적인 디자인과 휴대성도 Z 플립3가 젊은층에게 어필하고 있는 요소다.
업무·학습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초점이 맞춰진 Z 폴드3와 달리 Z 플립3는 대담한 색상에 세련된 디자인을 갖춘 폴더블폰이라는 점을 특징으로 내세웠다.
Z 폴드3가 팬텀 블랙, 팬텀 그린, 팬텀 실버의 3가지 색상으로 출시된 반면, Z 플립3는 크림, 그린, 라벤더, 팬텀 블랙, 그레이, 핑크, 화이트 등 다양한 색상으로 2030 세대를 공략하고 있다. 또 전작과 달리 투톤 색상을 사용한 것도 소비자들에게 호평을 얻고 있다. KT의 예약판매에서는 크림, 라벤더, 팬텀 블랙, 그린 순으로 고객 반응이 좋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작 대비 4배 커진 커버 디스플레이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전작의 경우 커버디스플레이가 작아 활용도가 높지 았았던 반면 Z 플립3는 최대 8줄까지 알림이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어 스마트폰을 열지 않고 커버디스플레이를 활용하는데 불편함이 크게 줄었다는 평가다. 커버디스플레이 배경화면도 개인의 취향에 맞게 변경할 수 있다.
Z 폴드3와 Z 플립3는 예약판매에서 전작인 갤럭시 Z폴드2의 10배가 넘는 판매 속도를 기록하고 있다. 당초 시장조사업체들은 지난해 전 세계적으로 약 200만대의 폴더블폰을 판매한 삼성전자가 올해는 500만~600만대 가량의 판매 실적을 올릴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공식 출시일인 27일 이전부터 판매가 호조를 보이면서 삼성전자의 3세대 폴더블폰이 예상을 뛰어넘는 흥행을 거둘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Z 플립3 350만~400만대, Z 폴드 250만~300만대를 판매해 전체적으로 600만~700만대의 판매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갤럭시 Z플립3·Z폴드3 내달 日 상륙…中흥행 잇나
삼성전자의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Z 폴드3'와 'Z 플립 3'가 일본 시장에 진출한다. 갤럭시 Z폴드와 플립이 중국시장 공략을 이끌고 있는 가운데 일본 시장에서도 점유율 확대를 이끌 수 있을지 주목받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NTT 도코모, KDDI 등 일본 통신사들과 손잡고 10월 중순 갤럭시 Z폴드 3와 Z 플립 3를 일본에서 출시한다. 일본 통신사들은 8일부터 해당 모델에 대한 예약에 돌입했다.
갤럭시 Z 폴드 3가격의 일본 가격은 NTT 도코모 기준 23만 7600엔(약 252만원)으로 책정됐으며 Z 플립 3는 14만 8896엔(약 158만원)으로 책정됐다. KDDI의 가격은 추후 공개될 예정이다.
갤럭시 Z폴드 3의 일본 출시가 확정되면서 중국에 이어 일본에서도 삼성전자의 점유율을 끌어올릴 수 있을지 주목받고 있다. 갤럭시 Z 폴드 3와 Z 플립 3는 중국에서 삼성전자 스마트폰 부활의 신호탄이 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과 중국 로컬 브랜드 들에 밀리며 1%대에 낮은 점유율을 보여주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8월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37.4%를 기록한 화웨이가 1위를 기록했고 그 뒤를 애플이 20.7%로 이었다. 삼성전자는 1.9%로 8.1%인 샤오미, 6.6%인 비보보다도 한참 밀려있다. 삼성전자는 프리미엄 부문에서는 애플에 밀리고 있고 중저가 부문에서는 중국 현지 브랜드들에 밀리고 있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갤럭시 Z 폴드 3와 Z 플립 3이 공개되고 중국 시장이 그전에는 보여주지 않던 반응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징둥닷컴'과 알리바바의 T몰 등에서 진행된 80만대 규모 사전예약 물량은 수요가 몰리며 일시 품절되기도 했었다. 1일부터 시작된 공식 사전 예약 판매도 100만 건 이상 구매한 것으로 추정되며 정식 출시 전부터 200만대 가량을 판매한 상황이 된 것이다.
이에 점차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는 일본에서도 갤럭시 Z 폴드 3와 Z 플립 3의 출시가 기대를 받고 있다. 일본의 시장조사기관 멀티미디어리서치연구소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지난해 일본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1.1%로 두 자리수 점유율을 기록하는데 성공했다. 2013년 두자릿수 점유율이 무너진 후 7년만의 성과였다. 2020년 일본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위는 46.5%를 점유한 애플이었으면 2위는 12.0%를 기록한 샤프였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A 시리즈 등 보급형 기종을 앞세워 일본 시장을 공략해온 만큼 갤럭시 Z 폴드 3와 Z 플립 3의 출시로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도 견고한 애플의 벽에 도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갤럭시 Z 폴드 3 7.6인치 메인 디스플레이와 6.2인치 서브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형태의 폴더블 스마트폰으로 시리즈 최초로 S-펜을 지원하며 IPX8 방수, 언디 디스플레이 카메라 기술 등 적용됐다. 갤럭시 Z 플립 3 폈을 경우 6.7인치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에는 1.9인치 서브 디스플레이를 장착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했다.
'-미국 언론- > 한국 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과반 3연승'…대구·경북서 51.12% 득표 (0) | 2021.09.11 |
---|---|
尹 측 "박지원 휴대폰 압수수색해 국민 의구심 해소해야" (0) | 2021.09.11 |
이재명, 광주전남에서도 이낙연에 앞서..무등일보 여론조사 (0) | 2021.09.10 |
도요타·GM 공장 멈추고 테슬라 신차 미루고…'車반도체 공급난'에 한숨만 (0) | 2021.09.07 |
대세굳히기 이재명 캠프 “TK·강원서 조기 결정” (0) | 2021.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