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삼성 미국에 반도체 공장 짓는다..19조 투입"-WSJ 본문
삼성전자가 최대 170억달러(약 18조8000억원)를 투입해 미국 애리조나와 텍사스, 또는 뉴욕주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를 인용해 "삼성전자가 새 공장 부지로 애리조나 주도 피닉스와 텍사스 주도 오스틴 인근의 각각 2곳, 뉴욕 제네시 카운티의 대규모 산업단지 등 총 5곳을 후보에 올렸다"고 보도했다.
이 관계자는 "삼성전자의 공장 확장 계획 성사 여부는 미국 연방정부가 어떤 세제 혜택을 제공할지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와 애리조나주 굿이어 시당국이 주고받은 서신에 따르면 삼성은 새로운 공장에서 최대 1900여명을 고용하고, 2022년 10월부터 본격 가동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굿이어 시 정부는 삼성전자 공장 유치를 위해 세금 감면과 인프라(사회기반시설) 업그레이드 등의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의 이번 투자 계획은 미국이 한국과 중국, 대만 등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국내 반도체 생산력을 성장시키기 위한 지원책을 준비하는 가운데 나왔다.
미국은 그간 반도체 공장 건설에 연방 정부 차원의 원조를 제공하진 않았다. 그러나 WSJ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전세계적 대유행으로 세계 공급망이 붕괴되면서 반도체 공급체인에 차질이 빚어졌고, 미국 내 자급자족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며 "예외적 인센티브를 기대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최근 수십년간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반도체 산업이 성장하며 미국 반도체 제조 점유율은 12%대로 추락했다. WSJ은 "미국이 이러한 추세를 반전시키려면 상당한 재정적 지원을 투입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삼성전자와 텍사스, 애리조나, 뉴욕주 관계자들은 논평 요청에 답하지 않았다.
블룸버그 통신은 앞서 삼성이 오스틴에 10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해 반도체 공장을 짓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삼성 미국에 반도체 공장 짓는다..19조 투입"-WSJ (daum.net)
"삼성 미국에 반도체 공장 짓는다..19조 투입"-WSJ
삼성전자가 최대 170억달러(약 18조8000억원)를 투입해 미국 애리조나와 텍사스, 또는 뉴욕주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사
news.v.daum.net
블룸버그 “삼성, 텍사스에 11조 투자해 반도체 라인 증설 검토”
삼성전자가 2023년 가동을 목표로 미국 텍사스 오스틴 반도체 공장에 100억달러(약 11조원) 이상을 투자해 라인을 증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2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2022년까지 주요 장비를 구축하고 2023년부터 최첨단 공정인 3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 이하 반도체를 생산하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블룸버그는 삼성전자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분야 1위인 대만 TSMC를 따라잡기 위해 투자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삼성전자는 현재 오스틴 공장에 14나노급 시스템 반도체를 생산하는 라인을 운영하고 있다. 만약 보도가 사실이라면 여기에 3나노 공정 반도체 라인을 추가한다는 것이다.
반도체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미국 공장의 라인 증설을 검토가 최근 TSMC의 공격적인 행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TSMC는 현재 미국 애리조나주에 초미세공정이 가능한 반도체 공장을 짓고 있다. 최근 실적발표에서는 올해 총 280억달러(약 30조9000억원)의 시설투자를 하겠다고 밝혔다. 파운드리 업계 2위인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마냥 지켜볼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최근 5세대(5G) 통신,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등 차세대 산업이 급부상하면서 파운드리 시장이 초호황을 맞고 있는 상황인 만큼 상대적으로 기술력이 떨어지는 오스틴 공장에 첨단 공정을 도입해 미국 시장 공략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미국 인텔이 반도체 외주생산을 늘리겠다고 밝힌 것도 투자를 부추기고 있는 요소로 꼽힌다. 현재 전세계에서 5나노 이하 반도체 공정이 가능한 파운드리 회사는 삼성전자와 TSMC 두 곳 뿐이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파운드리에서 TSMC와 격차가 상당한 상황에서 삼성전자가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지 않으면 영원히 2등으로 전락할 수 밖에 없다는 전망이 많았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오스틴 공장에 대한 추가투자는 작년부터 계속해왔지만, 아직까지 시기나 규모가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블룸버그 “삼성, 텍사스에 11조 투자해 반도체 라인 증설 검토” - 조선일보 (chosun.com)
블룸버그 “삼성, 텍사스에 11조 투자해 반도체 라인 증설 검토”
www.chosun.com
'-미국 언론- > 한국 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S21 첫날 개통량 12만여대…전작 대비 20%↑ (0) | 2021.01.24 |
---|---|
문대통령 발언·위안부 판결에 기대·반발 교차하는 일본 (0) | 2021.01.24 |
인텔 "반도체 외주 생산 확대"…삼성전자 수주 확대되나 (0) | 2021.01.22 |
글로벌 車업계 반도체 부족에 잇단 감산…국내 업체도 '주시' (0) | 2021.01.22 |
홍콩매체 "바이든 행정부에 미중관계 개선 요구 높아져" (0) | 2021.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