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한국 총선, 위안부단체 대표 입후보 본문
"2차대전때 일본군 위안부(慰安婦) 숫자는 일본인 출신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조선인(한국인), 그 다음은 중국인등으로 분포돼 있었다 "
한국에서는 다음달 실시되는 총선에,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2015년의 일한합의는 무효라는 운동을 주도해 온 시민단체의 대표가 비례대표 후보로 여당계 정당에서 입후보했습니다.
한국에서는 다음달 15일, 4년에 한번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총선거가 실시될 예정으로 27일 입후보자 등록이 마감됐습니다.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여당계 더불어시민당에서, 위안부였던 여성들을 지원하는 시민단체,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의 윤미향 이사장이 비례명부 상위로 입후보했습니다.
이 단체는 2011년 서울 주재 일본대사관 앞에 위안부문제를 상징하는 소녀상을 설치하고 매주 그 앞에서 항의집회를 열고 있습니다.
또,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2015년의 일한합의는 무효라고 주장해, 일한 합의를 바탕으로 설립된 위안부였던 여성들을 지원하는 재단의 해산을 문재인 정권이 결정하도록 하는 데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한국의 연합뉴스에서는 윤미향 이사장이 당선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어 총선 결과에 따라서는 위안부문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2차대전때 일본군 위안부(慰安婦) 일본인 출신 모습
2차대전때 일본군 위안부(慰安婦) 숫자는 일본인 출신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조선인(한국인), 그 다음은 중국인등으로 분포돼 있었다 일본군은 위안부로 초기에는 일본 국내에서 기녀로 모집하였고 전쟁확대와 위안부 수요 증가로 빈민층 출신 일본인 자녀를 강제로 위안부로 모집했고 상류층 자녀들은 애국심 운동으로 위안부로 자원하게 했다
2차대전 모든 젊은 일본인 여성들이 군대나 군수공장등에 강제동원 됐다
일본 패권 군국주의 군사정부노선이 세계전쟁 원인이었다
그리고 일본 군국주의는 2차대전 때 한국, 중국, 동남아지역 여성들을 강제 동원하여 위안부로 고용했고 각 전쟁 지역사령부 마다 배치돼 위안부 숫자도 70만명에 달했다
2차대전에 강제동원 돼 일본 여성들 모습(사진)
오래된 사진 일본 서적(書籍)이 밝히는 '위안부'의 진실
일본의 「고지엔(広辞苑, 광사원)」'위안부'에 대한 주석에 "전쟁터의 장병을 위안하는 여자"라고 쓰여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위안부'에 대한 정의는 제 2차 세계대전 중에 강요 받고 일본군에 봉사하고 성 노예가 된 여성 일본군의 독점 성 노예라는 것 있다.
이 사진은 일본 서적에 게재 된 '위안부'의 진짜 모습이다
慰安婦,日本軍,写真(위안부 일본군 사진)
일본군 위안부는 일본 여군이다
일본군은 위안부로 초기에는 일본 국내에서 기녀로 모집 하였고 중일전쟁과 2차대전때 징병제 도입과 여성 전쟁동원으로 빈민층 출신 일본인 자녀를 강제로 위안부로 모집했고 상류층 자녀들은 애국심 운동으로 위안부로 자원하게 했다
일본군 위안부는 쥐를 잡는 고양이(비밀경찰)로 활동했고 적국지역에서는 비밀요정(비밀술집) 스파이로 활동했다
그러나 국가사회주의 성향 군국주의 노선 전쟁확대(세계전쟁)와 패전 위기로 일본군 위안부는 군부의 돈 벌이용으로 성 노예나 마약 보급처로 활용돼 전쟁 패망 원인 부패와 기회주의 안식처(위안소)가 되었다
일본정부는 1921년 여성과 아동의 인신매매금지협약에 서명하고 2000년 무력분쟁이 여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여성,평화,안보에 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결의 1325호도 지지한 바있다. 하원은 인간의 안전과 인권,민주적 가치,법의 통치및 안보리 결의 1325호에 대한 지지등 일본의 노력을 치하한다.
군국주의 대일본제국 헌법 전문과 평화주의 입헌군주제 일본국 헌법 전문[민주국가 헌법]
국정(國政, 民國)은 국민의 엄숙한 신탁에 의한 것으로서, 그 권위는 국민에 유래하고(民有), 그 권력은 국민의 대표자가 행사하고(民治), 그 복리는 국민이 향유한다(民享)는 민주주의(민주)국가이다[일본 헌법 전문 일부]
미국 하원 121호 위안부 결의안
랜토스(캘리포니아),로스-레티넨(플로리다)의원의 수정제의를 반영한 하원 121호 결의안
일본 정부는 1930년대부터 2차세계대전 기간 '위안부'로 알려진 젊은 여성들을 제국군에 대한 성적 서비스 목적으로 동원하는 것을 공식 위임했으며 , 일본 정부에 의한 강제 군대매춘 제도인 '위안부'는 집단 강간과 강제유산,수치,그리고 신체 절단과 사망및 궁극적인 자살을 초래한 성적폭행등 잔학성과 규모면에서 전례없는 20세기 최대 규모의 인신매매 가운데 하나이다.
일본학교들에서 사용되고 있는 새로운 교과서들은 위안부 비극과 다른 2차 대전중 일본의 전쟁범죄를 축소하려하고 있다.
일본의 공공및 민간 관계자들은 최근 위안부의 고통에 대한 정부의 진지한 사과를 담은 지난 1993년 고노 요헤이 관방장관의 위안부 관련 담화를 희석하거나 철회하려는 의도를 나타내고 있다.
일본정부는 1921년 여성과 아동의 인신매매금지협약에 서명하고 2000년 무력분쟁이 여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여성,평화,안보에 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결의 1325호도 지지한 바있다.
하원은 인간의 안전과 인권,민주적 가치,법의 통치및 안보리 결의 1325호에 대한 지지등 일본의 노력을 치하한다.
미-일 동맹은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안보이익에 초석이며 지역안정과 번영의 근본이다.
냉전 이후 전략적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미-일 동맹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정치및 경제적 자유와 인권과 민주적 제도에 대한 지지,양국국민과 국제사회의 번영확보등을 포함한 공동의 핵심이익과 가치에 기반하고 있다. 하원은 일본 관리들과 민간인들의 노력으로 1995년 민간차원의 아시아여성기금이 설립된 것을 치하하며 아시아 여성기금은 570만 달러를 모아 일본인들의 속죄를 위안부들에 전달한 후 2007년3월31일 활동을 종료했다.
다음은 미 하원의 공통된 의견이다.
1. 일본 정부는 1930년대부터 제2차 세계대전 종전에 이르기까지 아시아 국가들과 태평양 제도를 식민지화하거나 전시에 점령하는 과정에서 일본 제국주의 군대가 강제로 젊은 여성들을 `위안부'로 알려진 성의 노예로 만든 사실을 확실하고 분명한 태도로 공식 인정하면서 사과하고 역사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
2. 일본 총리가 공식 성명을 통해 사과를 한다면 종전에 발표한 성명의 진실성과 수준에 대해 되풀이되는 의혹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3. 일본 정부는 일본군들이 위안부를 성의 노예로 삼고 인신매매를 한 사실이 결코 없다는 어떠한 주장에 대해서도 분명하고 공개적으로 반박해야 한다.
4. 일본 정부는 국제사회가 제시한 위안부 권고를 따라 현 세대와 미래세대를 대상으로 끔찍한 범죄에 대한 교육을 해야 한다.
일본정부 좌파노선 위안부 입장을 볼 수 있는 자료[일본 공산당]
-일본 공산당 "2단계 민주연합정부론과 미래에 사회주의적 변혁을 목표-
http://blog.daum.net/007nis/15875883
일본 공산당은 과학적 사회주의를 당의 기본 방침으로 한다
일본 공산당은 2단계 혁명이론 NLPDR노선으로 우선 대미 종속과 대기업의 지배에 대한 민주주의 혁명을, 미래에 사회주의적 변혁을 목표로 한다
1단계로는 반미 민족해방과 인민민주주의 혁명이며 2단계로는 노동계급 령도 노농동맹 프롤레타리아 독재체제(인민 민주주의 독재체제) 사회주의 국가 수립이다
1단계 민주주의 혁명(民主主義革命)
2004년 1월 제 2 차 당대회 개정 강령에서 일본 사회가 필요로 하는 변화는 사회주의 혁명(社會主義 革命)이 아니며 "민주주의 혁명(民主主義 革命)과 민주연합정부(民主聯合政府)'의 목표로 내세웠다
대기업 재계와 대미 종속 세력으로부터 일본 국민(日本 國民)의 이익을 대표하는 세력에 권력 이양을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혁명이라고 평가 자본주의의 틀 안에서 가능한 민주적 개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대기업 재계와 대미 종속 세력에서 일본 국민의 이익을 대표하는 세력으로의 권력 이양을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혁명으로 자리매김하고 자본주의의 틀 안에서 가능한 민주적 개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일본 공산당은 현재 일본 사회가 요구하는 변화는 사회주의 혁명이 아니라 다음의 민주주의 혁명이라고 하였다
ㄱ.국가의 독립 · 안보 · 외교 분야(分野)
대미 종속을 타파하고 미일안전보장조약(日米安全保障条約)의 폐기(廃棄)와 비동맹(非同盟)· 중립(中立)의 일본을 실현한다. 미국과 대등 평등(対等平等)
의 우호 조약(友好条約)을 맺는다 등등
ㄴ.헌법(憲法)과 민주주의(民主主義) 분야(分野)
(ㄱ)헌법 전문을 포함한 모든 내용을 지키고, 특히 평화적 민주적 조항(平和的民主的諸条項)의 완전한 이행을 목표로 한다.
(ㄴ)의회 민주주의의 체제 반대 당을 포함한 복수 정당제 선거에서 다수를 얻은 정당 또는 정당 연합이 집권하는 정권 교대(政権交代)는 당연히 견지한다.
(ㄷ)18세 선거권을 실현한다.
(ㄹ)일본 국민의 기본적 인권을 억압하는 모든 시도를 제거한다. 남녀평등(男女平等)의 권리(權利)를 모든 분야에서 옹호하고 지킨다. 종교의 자유를 옹호하고 정교분리(政敎分離)의 원칙에 철저를 도모한다. 등등
ㄷ.경제적 민주주의(経済的民主主義)의 분야(分野)
(ㄱ)장시간 노동과 일방적 해고 규제를 포함해 유럽 주요 자본주의 국가와 국제조약 등의 도달점도 근거로 '규칙 있는 경제사회'를 실현한다.
(ㄴ)대기업(독점 자본)에 대한 다양한 민주적 규제(民主的規制)와 군축(軍縮), 불필요한 공공 사업의 중지, 대기업 · 재벌 우대 세제의 재검토를 재원으로 한 사회보장의 충실 등등.
이상(以上)의 민주주의 혁명(民主主義革命)에 의해 일본은 미국의 사실상의 종속국의 지위에서 벗어나 진정한 주권을 회복하고, 국내적으로도 국민이 처음으로 나라의 주인공이 된다. 또한 일본은 군사적 긴장의 근원임을 멈추고 평화의 견고한 초석으로 바뀐다.
이 민주주의 혁명(民主主義 革命)에 대한 입장 1961년 강령에서는 ""일본의 당면한 혁명은 미국 제국주의와 일본의 독점 자본의 지배, 두 적(敵)에 반대하는 새로운 민주주의 혁명, 인민민주주의 혁명(人民 民主主義 革命)이다"라고 되어 있고, 1994년의 강령까지 거의 동일한 표현을 했다
2004년 강령 개정 당시에는 '다수자 혁명'이나 '의회의 다수를 얻어 혁명의 노선'이라는 설명이 이루어졌다
민주주의 혁명의 과정: 통일전선에 근거한 민주연합정부(民主連合政府) 구상(構想)
일본 공산당은 ‘일본 공산당(日本共産党)과 통일전선(統一戦線)의 세력이 국민 다수의 지지를 얻어 국회에서 안정된 과반수를 차지한다면 통일전선(統一戰線)의 정부(政府) 즉 민주연합(民主聯合) 정부(政府)를 만들 수 있다’는 입장으로 단독 정권(単独政権)이 아닌 통일전선(統一戦線)에 기반한 연합정권(連合政権)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면서 "국회를 명실상부한 최고기관으로 하는 의회제 민주주의 체제(議会制民主主義 体制)
, 반대당(反対党)을 포함한 복수정당제, 선거에서 다수를 얻은 정당 또는 정당연합이 정권을 담당하는 정권교대제(政権交代制, 정권교체)는 당연히 견지한다.
이 '통일전선(統一戦線)'은 역사적으로 1945년의 강령에서는 ‘모든 민주주의 세력의 결집에 의한 인민전선(人民戰線)의 결성’과 ‘올바른 실천적 목표 아래 협동할 수 있는 모든 단체 및 세력과 통일전선(統一戰線)의 결성한다’고 되어 있다
1947년의 강령에서는 ‘광범위한 민주전선’으로 1961년부터 2004년까지 강령에서는 '민족 민주 통일전선(民族民主統一戦線, NLPDR)'으로 표현 되었다
이 '민족민주통일전선 정부(民族民主統一戦線政府)'는 '혁명정부(革命政府)'로 전환한다고 하고 있었지만, 2004년 강령 개정에서는 이 규정은 삭제 되었다.
2단계 사회주의적 변혁(社会主義的変革)
일본 공산당은 즉각 민주주의 혁명 이후 사회주의를 지지하는 국민의 합의를 전제로 국회의 안정된 과반수를 얻어 사회주의를 위한 권력을 만들고 다음의 사회주의적 변혁(社会主義的変革, 사회주의 국가)을 목표로 하고 있다.
ㄱ.자본주의를 극복 사회주의, 공산주의 사회(社會)로의 진전(進展)을 도모(圖謀)
ㄴ.주요 생산 수단의 소유, 관리, 운영을 사회의 손에 옮기는 생산수단(生産手段)의 사회화(社会化)
ㄷ.민주주의와 자유의 성과(成果), 자본주의 시대의 가치 있는 성과(成果)의 모든 것을 받아들여 발전시킨다
ㄹ.사상 신앙의 자유, 반대 정당을 포함한 정치 활동의 자유를 엄격하게 지킨다.
사회주의, 공산주의 사회에서는 "다양한 사상 신조의 자유, 반대 정당을 포함한 정치 활동의 자유는 엄격하게 보장된다."며 일당 독재(一党独裁制)와 지도 정당제(指導政党制)는 채택하지 않는다고 하고 있다.
또한 소련형 사회주의(連型社会主義)의 관료주의·전제(専制)의 잘못은 반복하지 않는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들은 "자유와 민주주의의 선언"에 더 자세히 설명 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주로 이념적인 내용이며 사회주의 공산주의 사회에서 헌법(憲法), 정부(政府), 군비(軍備), 의회(議会), 사유 재산제(私有財産制)의 범위 등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일본 공산당은 이러한 미래 세대가 창조적으로 해결 과제이며, 지금부터 고정적으로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사회주의 사회가 고도로 발전하면 착취와 억압을 모르는 미래 세대는 "원칙적으로 일체의 강제가 없는 국가 권력 자체가 불필요하게 되는 사회, 인간에 의한 인간의 착취도 없고 억압도 전쟁도 없는 진정한 평등 자유로운 인간 관계로 이루어진 공동 사회“에 대한 전망이 열린다고 한다.
또한 이 ‘사회주의적 변혁'은 1961년 강령에서 ’사회주의 혁명‘이라는 표현이었다는 것으로, 1994년에 ’사회주의적 변혁‘이라는 표현으로 되었다. 또한 ’사회주의 사회는 공산주의 사회의 낮은 단계이다‘라고 하는 두 단계 발전론이 마르크스 레닌주의의 정설이었으나 마르크스, 엥겔스 자신은 그런 구별을 하지 않았다고 해서 두 단계 발전론을 그만두고 2004년 강령 개정에서 '사회주의·공산주의 사회'라는 표현으로 변경되었다 .
일본 공산당과 일본 국내외적 정세
1.결당(結党)
1922년 7월 15일, 사카이 도시히코, 야마카와 히토시, 콘도에이조오(近藤栄蔵) 등 8명이 비밀리에 시부야의 다카세 나선 방에 모여 일본 공산당을 설립했다(9월 창립 설도 있다) 이것을 일반적으로는 “제1차 일본 공산당”이라고 불리고 있다.
설립 당시 간부는 노사카 산조, 도쿠다 규이치, 마나부 사노, 나베야마 사다치카, 아카마쓰 카쓰마로 등이다. 코민테른에서 활동하고 있던 가타야마 센(片山潜)의 원조도 결성을 재촉했다.
11월 코민테른에 가입하고 코민테른 일본지부 “일본 공산당”이 되었다. 이때 코민테른에서 "22년 테제(일본 공산당 강령 초안)"가 나타 났지만 일본에서의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결국 초안이 무산되었다.
"강령 초안"은 정치면에서 군주제 폐지나 귀족원 폐지, 18세 이상의 모든 남녀의 보통 선거권 도입, 노동 단결권, 언론 출판. 집회 파업의 자유와 당시의 군대 · 경찰 · 헌병 · 비밀경찰의 폐지 등을 요구했다.
경제면에서는 8시간 노동제 실시, 실업보험을 포함한 사회보장의 충실, 최저 임금제의 실시, 대(大) 토지소유의 몰수와 작은(小)농장의 경작 농민에게 분배, 누진 소득세 등에 의한 세제의 민주화를 요구했다. 또한 외국인들에 대한 간섭 중지를 요구하고 조선 · 중국 · 타이완 · 사할린에서 일본군의 완전 철수를 요구했다
일본 공산당은 "군주제의 폐지“나 ”토지 농민에게 토지분배" 등을 요구했기 때문에 창설 당시부터 치안 경찰법 등의 치안 입법에 의해 부정 활동의 형태를 가지고 행동 할 수 밖에 없었다 .다른 자본주의 국가에서는 기존의 사회 민주주의 정당의 분리라는 형태로 공산당이 결성되어 불법 정당이 된 것과는 달리 일본에서는 반대로 불법 정당인 공산당에서 이탈한 노농파(労農派)등이 합법적인 사회민주주의 정당(社会民主主義政党)을 만들어 나갔다
일본 공산당은 일제 검거 전에 중심 인물이 중국으로 망명하고 주요 간부들이 기소되는 등으로 운동이 어렵게 되었다.
사카이 도시히코(堺利彦)은 당 해산을 주창 결과 1924년에 공산당은 일단 해산했다. 야마카와 히토시(山川均)은 공산주의 운동에서 벗어나 노농파 정당의 결성을 목표로 했다. 아카마쓰 카쓰마로(赤松克麿)는 국가사회주의 등에 전향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 후 1925년에는 보통 선거법과 치안 유지법이 제정 되었다.
2.재결당(再結党)과 2차 전쟁 이전(戦前)의 활동
1926년 한때 당 해산(解党)에 반대했던 아라하타 간손이 사후 처리를 위해 만든 위원회(사무국)를 공산당으로 다시 결성했다 (제2차 일본 공산당). 그 때의 이론적 지도자는 후쿠모토 가즈오이며, 그의 이론은 후쿠모토이즘이라고 했다. 후쿠모토이즘은 레닌의 “무엇을해야 하는가 ”에 의거, "결합(結合) 전(前)의 분리(分離)"를 주창하고 이론적으로 순수한 공산주의자의 당을 만들어내는 것을 내걸었다.
후쿠모토 가즈오가 정치부장으로, 이치카와 쇼이치. 사노 마나부, 도쿠다 규이치, ,와타나베 마사노스케 등이 간부가 되었다.
1927년 코민테른의 지도로 인해 후쿠모토 가즈오는 실각당했고,와타나베 마사노스케(渡辺政之輔) 일본 공산당 대표는 코민테른과 협의하여 "일본 문제에 관한 결의“(27년 테제)를 만들었다. ”27년 테제“는 중국 침략과 전쟁 준비에 반대하는 투쟁을 당의 긴절초미(緊切焦眉, 긴요하게 매우 위급함)의 의무라고 평가했다. 반면 사회 민주주의와의 투쟁을 강조하고 파시즘과 사회 민주주의를 동렬(同列, 같은 위치)에 놓는 '사회 파시즘'론을 채택했다. "27 년 테제”가 제기한 일본의 혁명과 자본주의의 성격을 둘러싸고 노농파(勞農派)와 논쟁이 일어났다.
당시 당 조직은 비합법(非合法)적 당 본체(党本体)와 합법 정당, 노동 단체 등 여러 단체에 들어가 활동하는 합법적 부문의 두 기둥을 가지고 불법 지하 활동을 전개하면서 노농 당과 노동 조합 등의 합법적 활동에 얼굴을 내밀고 활동을 지원했다.
공산당원이었던 노로 에이타로(野呂栄太郎)의 “일본 자본주의 발달사 강좌“등 이론 활동과
코바야시 타키지, 미야모토 유리코 등의 프롤레타리아 문학은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다.
1927년의 제1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도쿠다 규이치(徳田球一)를 비롯한 몇몇 당원들이 노농당(労農党) 후보로 입후보 출마하여 선거 기간에서는 “일본 공산당”을 자칭하여 인쇄를 발행했다. 총선에서 노동농민당(労働農民党, 노농당) 교토부연합회(京都府連合会) 위원장의 야마모토 센지(山本宣治)가 당선됐다. 그는 비공식적으로 공산당의 추천을 받고 처음으로 “일본 공산당계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그러나 1928년 3.15사건에서 치안 유지법에 의해 1600명에 달하는 당원과 지지자들이 일제히 검거 되었고, 1929년 4.26 사건과 계속되는 탄압으로 약 1000명이 검거되어 일본 공산당 수많은 활동가를 잃었다. 또한 같은 해, 야마모토 노부하루는 우익 단체 구성원에게 살해 당했다.
계속되는 탄압으로 간부를 잃은 가운데 )·타나카 키요하루(田中清玄)등이 지도부에 들어갔다.
타나카 키요하루(田中清玄) 등은 혁명이 다가오고 있다고 판단하여 1929년 중반부터 1930 년까지 가와사키 무장 노동절 사건,도쿄시전(東京市電) 쟁의(争議)의 노조 간부 집 습격이나 주차장 방화 미수 등의 폭발 사건을 일으켰다.
1931년 4월 코민테른에서 "31년 정치 테제 초안“이 나왔다. 이 초안은 당분간 일본 혁명의 과제를 사회주의 혁명이라고 하고 있었다.
이 무렵에는 전쟁 반대 투쟁활동에 힘을 넣어 1931년 8월 1일 반전(反戦)의 날에 있어서 비합법적인 집회 시위 행진을 조직했다. 1931년 9월에 발생한 만주사변 때에는 "봉천[奉天, 중국 랴오닝 성(遼寧省) 선양(瀋陽)의 옛 이름] 및 일체(一切, 모든 것)의 점령지에서 즉시 군대를 철수하라" "제국주의 일본과 중국 반동(中国反動)의 일체(一切, 모든 것)군사 행동에 반대하라"고 성명을 냈다. 1932년에는 군함과 병영 안에도 당 조직을 만들어, "군인의 친구(兵士의 友)“ 등의 육해군 군인을 향한 책자를 발행했다.
1932년 5월 코민테른에서 32년 테제가 결정되고, 전쟁의 활동 방침이 결정 되었다. 이 논문은 일본의 지배 구조를 절대주의적 천황제를 주축으로 삼고, 지주적 토지 소유와 독점 자본주의라는 3가지 요소의 결합으로 규정했다.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을 통해 사회주의 혁명에 이르게 하는 두 단계 혁명론의 혁명 노선을 확립했다. 민주주의 혁명의 주요 임무를 천황제 타도, 기생적(寄生的, 스스로의 힘으로 살아가지 못하고 남에게 기대어 살아가는 것) 토지 소유의 폐지, 7시간 노동제의 실현으로 규정하고 핵심 슬로건을 “제국주의 전쟁 및 경찰 천황제 반대의, 쌀과 땅의 자유를 위한 노동자 농민의 정부를 위한 인민혁명”이라고 했다.
1932년 5월, 전협(全協) 활동가였던 마츠바라(松原)가 스파이로 린치(법에 의하지 않는 잔인한 형벌이나 폭력) 되면서 적기(赤旗)에 제명 공고가 게재 되었다.
8월 15일에는 조선인 활동가 윤기협(尹基協)가 간첩 혐의로 사살 되었다. 마츠바라(松原)도 윤기협(尹基協)도, 간첩 혐의는 누명이라는 게 유력하다
소설가 다치바나 다카시(立花隆)는 "스파이 M"을 통해 일본 공산당의 중추를 장악한 당국이 전협도 통제하에 두고자 짜낸 사건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때부터 당 내부에서 간첩사냥이 시작 되었다.
10월 아타미(熱海)에서 전국 대표자회의(全国代表者会議)가 극비리에 소집됐지만 당국에 의해 참가자들이 체포 되었다 (아타미 사건). 10월달 적색(赤色) 갱 사건이 발생하고 있다.
소살가 마츠모토 세이쵸(松本清張)는 "쇼와사발굴(昭和史発掘)"에서 공산당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되는 사건은 당국이 잠입시킨 “스파이 M "이 주도한 것으로 하고 있다. 일본 공산당도 같은 견해이며, 특수 경찰이 공산당을 괴멸시키기 위한 전략으로서 공산당 내부에 협력자를 만들어 내고 공작을 하도록했다고 한다. 경찰 공작원과 협력자가 공산당의 간부가 자신의 일에서 폭력 사건을 일으켜 일본 공산당의 사회적 신용을 실추시키는 것으로 후계 가입을 저지하는 괴멸 작전을 도모했다고 되어 있다. 실제로 간첩이었음을 공판에서 자백하고 치안 유지법 위반 혐의를 부인 한 것도 있었다
또한 1933년 6월 12일 위원장인 사노 마나부, 간부인 나베야마 사다치카(鍋山貞親)가 옥중에서 전향 성명을 냈다 (공동피고 동지에게 고하는 글)
이러한 일련의 사건으로 옥중에서도 당원에 동요가 심하여 대량 전향이 일어났다. 서기장이었던 타나카 키요하루(田中清玄)의 전향, 탈당도 이 시기이다.
투쟁 방침의 중심에 스파이(간첩) 도발자(挑發者, 남을 집적거려 일을 돋우어 일어나게 하는 자)의 당에서 추방이 자리잡았고, 당내의 의심 암귀는 깊어졌고, 결속은 크게 흐트러졌다.
당내 동요는 드디어 치열 해지면서 1935년 3월에 옥외(獄外, 김옥 밖)에서 활동하던 오직 한 중앙위원이었던 다사토미(袴田里見)의 검거에 의해 중앙부가 괴멸, 통일적인 운동은 불가능해졌다.
3.전시 하( 戦時下)의 활동
1936년 프랑스와 스페인에서 '인민전선(人民戦線)'라고 불리는 통일전선정부(統一戦線政府)가 성립하고 코민테른 제7회 대회(1935년)가 인민전선 전술을 결의 하면서 노사카 산조(野坂参三) 등은 "일본 공산주의자들에게 편지“를 발표하고 일본의 인민 전선 운동을 호소했지만, 당 조직은 괴멸하고 현실의 운동이 되지 않았다.
중일 전쟁 때에는 전쟁 반대와 함께 출정 군인(出征兵士) 가족의 생활 보장과 국방 헌금 징수 반대 등 "생활 투쟁“'과의 결합을 도모했다.
그 후에도 간사이(関西)에는 공산당의 재건을 목표로 하는 운동이나 개별 당원에 의한 활동은 존재했지만, 모두 당국에 의해 억압 되었고 1937년 12월부터 1938년에 걸쳐 노농파(労農派)치안 유지법이 적용되고 930명이 검거됐다(인민전선 사건). 또한 국외로 망명했던 노사카 산조(野坂参三)는 연안에서 일본군 포로의 교육 활동을 하였고 전후 공산당 재건 운동에 제공했다. 또한 미야모토 겐지는 재판에서 일본에서 일본 공산당의 활동이 태어나는 것은 필연적 인 것이라고 주장하는 등 법정이나 재판에서 옥중 투쟁을 계속했다.
4.일본의 패전과 합법화
제 2차 세계대전이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으로 종결 된 후, 일본 공산당은 도쿠다 규이치(徳田球一)를 서기장으로 합법정당으로 재건 되었다 [제2차 전쟁 이전 공산당(제2차 공산당)과의 단절 을 중시하는 입장에서 이후 공산당을 전쟁이후 공산당」(제3차 공산당)]이라 칭하기도 있다).
출옥한 간부들의 석방을 기뻐하고 처음에는 연합군을 "해방군"이라고 규정했다[현재는 부인하고 있다]. 1946년 제 22회 총선거에서 5석을 획득하고 처음 제국의회에서 의석을 얻었다.
공산당의 헌법 초안으로 일본국 헌법의 제정 이전 시기에 "일본인민공화국 헌법 초안“을 발표했다. 일본국 헌법 제정 때 표결에서는 ”천황제 존속에 따른 민주화의 불철저함과 내각 총리대신 요시다 시게루의 자위전쟁 부정 발언“ 등을 이유로 반대표를 던졌다
연합군에 해방 된 공산당은 급격하게 그 세력을 확대해 나갔다. 각 지역이나 직장, 학교에서 당원에 의한 세포(현재 '지부')가 조직된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했다. 1947년에는 계급투쟁의 고양에서 "요시다 내각 타도"를 내걸 2.1 총파업이라는 대규모 총파업이 계획되어 있었지만, 전날의 더글러스 맥아더의 중지 명령을 받은 모든 관공서 공동 투쟁위원회의 이이야시로(伊井弥四郎) 의장이 이날 밤 총파업 중단 지령을 라디오 방송을 통해 발표 이로 인해 2.1 파업은 패배 전후 노동 운동의 큰 걸림돌이 되었다.
일본국 헌법 시행으로 실시된 일련의 선거, 제2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제1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제1회 지방 선거에서는 천황제 폐지(天皇制廃止)나 식량 · 탄광 인민 관리(食糧・炭鉱의 人民管理)등을 주장하는 공산당은 급진적이 지나치게 많은 것으로 보이며 당의 의도대로 의석 수는 얻지 못했지만 지방 선거에서는 아오모리 뉴타운 마을을 비롯해 전국 11 개 자치 단체에서 공산당원 수장이 탄생했다.
그 후에도 국민의 생활 곤궁(生活困窮)을 배경으로 활발한 대중 운동을 계속했다
계속해서 당세를 확장하여 카타야마내각(片山内閣내각의 미주(迷走, 본래 정해진 통로 이외의 길로 달리는 일)로 사회당에 실망한 유권자층의 일부를 흡수했기 때문에 1949년 제24회 중의원 총선에서는 기존의 약 9배에 해당하는 35석을 획득했다. 특히 도쿄도 구내의 7개 선거구 모두에서 당선자를 내는 등 대도시와 그 주변뿐만 아니라 농민운동의 활발했던 돗토리 현 젠켄구나 야마나시 현 젠켄 구 등 외에도 니가타 나 이시카와 등 동북 시코쿠 지방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당선자를 냈다.
'-미국 언론- > 일본 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코로나19 확산 중에 총선거 운동 시작돼 (0) | 2020.04.02 |
---|---|
코로나19로 자동차 업계 타격 (0) | 2020.03.31 |
일본 여자 역도 선수, 1년은 길고 힘들다 (0) | 2020.03.25 |
現地報告/サンダース氏を失速させた米国の価値観とは 大統領選民主党候補指名争い (0) | 2020.03.24 |
IOC위원 "도쿄대회 연기 결정됐다" (0) | 2020.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