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노벨생리의학상 '자가포식' 연구 오스미 요시노리(大隅良典·71) 일본 도쿄공업대 명예교수 본문

Guide Ear&Bird's Eye/21세기 동아시아인 노벨상

노벨생리의학상 '자가포식' 연구 오스미 요시노리(大隅良典·71) 일본 도쿄공업대 명예교수

CIA Bear 허관(許灌) 2016. 10. 3. 20:21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은 일본 학자인 오스미 요시노리(大隅良典·71) 일본 도쿄공업대 명예교수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위원회는 3일(현지시간) 오스미 교수를 2016년 노벨생리의학상 단독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오스미 교수는 세포 내 불필요하거나 퇴화한 단백질, 소기관을 재활용하는 '오토파지'(autophagy·자가포식) 현상을 연구해왔다.

1960년대 세포가 세포막으로 내부 기관을 감싸 파괴하고 이를 소화작용하는 기관인 리소좀으로 이동시킨다는 사실은 확인됐지만, 최근까지 이 현상의 의미에 대해 밝혀진 바가 없었다.

오스미 교수는 1980년대 현미경 관찰로 세포 내에서 오토파지 현상을 발견했으며 이후 연구를 통해 오토파지가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특히 효모균을 이용해서 오토파지에 필수적인 유전자를 밝혀낸 것으로 알려졌다.

오토파지 기전에 이상이 생기면 알츠하이머, 파킨슨 등 신경난치병, 암, 당뇨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오토파지 현상이 발생하는 과정을 밝혀내면 이 같은 신경난치병과 암을 치료할 길이 열릴 전망이다.

노벨위원회는 "오스미 교수의 발견은 세포가 어떻게 세포 내 물질을 재활용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어냈다"며 "그의 발견은 감염에 대한 반응 등 여러 생리 과정에서 오토파지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길을 열었다"고 평가했다.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위원회의 토마스 페를만 총장은 수상자를 발표하면서 "오스미 교수가 이(수상)를 기대하지 못했을 것이다.

매우 매우 기뻐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1945년 후쿠오카에서 태어난 오스미 교수는 일본 도쿄대 조교수와 자연과학연구기구 기초생물학연구소 교수 등을 지냈다.

그는 이날 노벨상 수상자로 결정된 뒤 가진 교도통신과의 통화에서 "매우 영광으로 생각한다"고 첫 소감을 말했다.

이로써 작년 오무라 사토시(大村智) 일본 기타사토(北里)대 특별영예교수에 이어 일본은 2년 연속 노벨생리의학상을 배출했다.

또한 3년 연속 노벨상 수상자를 냈다.

일본은 오스미 교수를 포함해 25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작년까지 일본의 역대 노벨상 수상자는 물리학상 11명, 화학상 7명, 생리의학상 3명, 문학상 2명, 평화상 1명 등으로 총 24명(미국 국적자 2명 포함)이었다.

수상자들에게는 800만 크로네(약 11억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노벨생리의학상은 1905년 이래로 이 부문에서 107번째로 수여되는 것이며 올해 노벨상 가운데 가장 먼저 발표됐다.

노벨생리의학상에 이어 물리학상, 화학상, 평화상, 경제학상, 문학상이 차례로 발표된다.

오스미 요시노리교수의 노벨 의학 , 생리학상 "자가소화작용[autophagy , 自家消化作用]" 구조  규명

 

                                                  

 

 

 

                                                   '오토파지(autophagy·자가포식)'의 연구로 알려진 도쿄 공업대학 오스미 요시노리 명예 교수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10월 3 2016년 노벨 의학 생리학상 기아 상태(飢餓状態)에 빠진 세포 스스로 단백질 먹고 영양원으로 하는 자동 식균작용 "자가소화작용[autophagy , 自家消化作用]" 구조를 규명 도쿄 공업대학교  오스미 요시노리 명예 교수 (71) 수여한다고 발표했다. 생명 활동 필수적인 기본적인 현상 밝혔다. 의학이나 생물학 발전 크게 공헌 한 공적이 평가 되었다.

일본의 노벨상 수상 3 연속으로 25명이다. 의학 생리학상 지난해 무라 사토시 교수에 이어 4명이었다

 

"자가소화작용[autophagy , 自家消化作用]" 그리스어의 "오토(auto)"[自分,自家]와 "파지(phagy)"[먹는다,消化] 조합한 신조어. 영양이 부족한 세포 내에 이중 단백질 둘러싼 자가소화작용[autophagy , 自家消化作用]이라는 소포(小胞) 분해 효소가 들어간 세포 소기관과 융합 단백질 아미노산으로 분해하여 영양원으로 재사용하는 방법 가리킨다.
현상 존재하는 것은 1950년대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분자 수준의 메커니즘 생리학적인 의의는 수수께끼였다.
오스미 교수 1988, 효모에서 단백질 분해 되어 가는 모습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 하는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1993에는 "자가소화작용[autophagy , 自家消化作用]"에 필수적인 14가지 유전자 특정하고 차례 차례로 해명했다.

 

연구 대상 동물 세포로 확대하고 자가소화작용[autophagy , 自家消化作用] 구조 인간 세포 내에 가진 생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세포 내에 침입 세균이나 찌꺼기 제거 등 다양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과 신경 퇴행성 질환 많은 질병 발병 관련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어 분야 연구 급속히 발전시킨 업적 국제적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었다.

시상식 12 10 스톡홀름에서 열린 상금 800 스웨덴 크로나 ( 9500만엔) 주어진다

 

                         연구실에서 현미경 앞에 앉은 자가소화작용[autophagy , 自家消化作用] 연구로 알려진 도쿄 공업 대학 오스미 요시노리 명예 교수

 

                    "자가소화작용[autophagy , 自家消化作用]"라는 구조를 규명 오 스미 요시노리 · 공대 명예 교수 = 7 요코하마시 도쿄 공업 대학 캠퍼스

          2015 3 가드너 국제상(Gairdner Foundation International Award)수상이 결정 문부 과학성에서 기자회견 동경공업대학 오스미 요시노리 명예 교수

노벨상 日오스미 '자가포식' 50년 외길..파킨슨병 치료도 희망

10월 3일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단독 수상자로 결정된 오스미 요시노리(大隅良典·71) 일본 도쿄공업대 명예교수는 '오토파지'(autophagy·자가포식) 현상에 매달려 온 연구자다.

1945년 후쿠오카(福岡) 출신인 그는 1967년 도쿄대 교양학부를 졸업한 뒤 미국 록펠러대에서 유학생활을 하면서 세포 내 손상된 소기관이나 불필요한 단백질 등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는 '오토파지' 현상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후 일본으로 돌아온 그는 1988년 도쿄대 조교수에 이어 아이치(愛知)현의 기초생물학연구소 교수, 도쿄공업대 특임교수 등을 거쳐 2014년부터는 도쿄공업대 명예교수로 재직해 왔다.

오스미 교수가 주력해 온 오토파지는 세포에 핵이 있는 모든 생물이 갖고 있으면서도 세포 내에서 제대로 기능하지 않은 단백질 등을 이상이 발생하기 전에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 세포에 영양이 부족할 경우 단백질을 분해해 새로운 단백질이나 에너지를 만드는 역할을 하는 현상이다.

그는 효모 세포를 이용해 오토파지 현상 규명에 집중해 1993년에 이 현상을 제어하는 유전자를 세계 최초로 발견하는 성과를 이뤘다.

이후 유사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들을 잇따라 발견해 각각의 유전자의 기능을 분석하는 등 오토파지 현상을 규명하는데 힘을 쏟아왔다.

오스미 교수의 이런 연구 성과는 파킨슨병 등의 예방 및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수 있는 것으로 학계에서는 보고 있다. 파킨슨병 등 신경과 관련된 질병에서 오토파지 유전자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기 때문이다.

오스미 교수는 이런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2006년 일본학사원상, 2012년에는 교토상, 2015년에는 게이오의학상, 올해는 윌리상 등 권위있는 상들을 잇따라 수상했다.

그는 3일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로 확정된 뒤 요코하마(橫浜)에 있는 도쿄공업대 연구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나처럼 기초 생물학을 계속해 온 사람이 이런 식으로 평가를 받는 것을 영광으로 생각한다"고 감사의 뜻을 표했다.

그러면서 그는 "젊은 사람들에게는, 과학은 모두 성공하는 것은 아니지만 도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을 전해주고 싶다"고 도전을 강조했다

*자가소화작용[autophagy , 自家消化作用]

세포가 미토콘드리아나 소포체 같은 자기 세포질의 일부를 에워싸는 액포(자기탐식액포, 자식작용포)를 형성하여, 이것을 1차 리소좀에서 공급되는 가수분해효소에 의해서 소화하는 것[효모가 자신의 글리코겐을 소모하는 것처럼 세포가 자기 자신의 대사산물이나 세포질의 일부를 소화하는 현상]

 

오스미 교수는 세포 내 불필요하거나 퇴화한 단백질, 소기관을 재활용하는 '오토파지'(autophagy·자가포식) 현상을 연구해왔다.

1960년대 세포가 세포막으로 내부 기관을 감싸 파괴하고 이를 소화작용하는 기관인 리소좀으로 이동시킨다는 사실은 확인됐지만, 최근까지 이 현상의 의미에 대해 밝혀진 바가 없었다.

오스미 교수는 1980년대 현미경 관찰로 세포 내에서 오토파지 현상을 발견했으며 이후 연구를 통해 오토파지가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특히 효모균을 이용해서 오토파지에 필수적인 유전자를 밝혀낸 것으로 알려졌다.

오토파지 기전에 이상이 생기면 알츠하이머, 파킨슨 등 신경난치병, 암, 당뇨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오토파지 현상이 발생하는 과정을 밝혀내면 이 같은 신경난치병과 암을 치료할 길이 열릴 전망이다.

-혈당이 대변을 하기 전에 측정할때와 한 후 측정할때 혈당의 차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