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좌파전선(진보전선)과 민주전선 본문
오늘 한국 머리소리함 주요 인물들이 좌파전선(진보전선)과 민주전선에 대하여 논의해드립니다
민주주의 반대는 공산주의가 아닌 독재주의(전체주의)이며 자본주의 반대는 공산주의입니다
민주전선은 반독재주의(반전체주의)를 의미하며 민주화 세력 모임을 의미합니다 민주화 세력은 자본주의민주주의 혁명 후 자유주의자(자유권 존중=자유민주주의 세력)
와 사회주의자(사회권 존중=사회민주주의 세력) 세력 좌우익연합세력 모임입니다
민주화 세력 적은 독재자나 전체주의자임으로 전제군주, 국가사회주의 세력이나 좌익군정세력입니다 좌익군정은 사회주의 세력 내부 군정분리주의(병정분리주의) 노선으로 인민회의제 정부론(순수 내각책임제 정부론, 내각이 의회 시녀)을 부정하고 인민의회 보다 윗 권력기구 최고지도자 제도(군사위원회나 군사평의회, 국방위원회)를 도입하여 군 통수권자(국방위원회)와 군부가 국가권력을 장악하는 독재주의(전체주의) 노선 국가사회주의 정부 형태입니다
북한정부는 노동당 좌익세력(사회주의 세력-인민의회)이면서 노동당 당군 인민군(국방위원회)이 북한 권력을 장악하는 국가사회주의 노선 좌익군정입니다
좌파전선(진보전선)은 반우파전선(반보수전선)을 의미하며 사회주의 전선을 의미합니다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는 자본주의를 인정하면 사회주의 세력으로 자본주의를 부정하면 공산주의 세력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공산주의자는 개인의 사유재산을 부정하고 공동생산, 공동분배 윈칙으로 인민회의제 정부형태(순수 내각책임제-정부는 의회 시녀)로 의회독재(일당독재) 계급없는 사회 만민(萬民)의 평등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사회주의 전선 내부 자본주의민주주의 혁명 후 사회주의 노선(생존권= 사회권 존중)을 지향하는 세력은 민주전선 세력이고 민주주의를 부정하고 군정분리주의 좌익군정(군사평의회나 국방위원회, 군사위원회) 형태 최고지도자 중심의 권력을 지향하는 세력은 민주전선이 아닌 전체주의(독재주의) 노선 국가사회주의 정부형태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좌익군정이 좌파전선(진보전선)은 될 수 있지만 민주전선이 될 수 없습니다
좌익군정은 대부분 공산주의 세력보다는 사회주의 세력으로 북한 노동당(아랍 사회당)등입니다
군(軍)이 당군이 될 수 없습니다
국가의 군대는 국군으로 국민(인민)의 군대입니다
북한 인민군은 노동당 당군으로 노동당 이익을 위해서 활동하는 군대이며 김일성주의 노선을 추종하는 세습제 좌익군정(김일성, 김정일, 김정은등) 무장력입니다
북한 인민군은 북한 노동당 당군 김일성주의 군대로 세계 각국 김일성주의 세력을 확장하는 무장력입니다
유엔이나 선진국에서는 북한 인민군을 보고 좌익군정 테러단체(김일성주의 무장단체)로 지칭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남북한 협력세력은 민주전선이지 좌파전선(진보전선)이 아닙니다
북한 내부 남북협력과 평화세력은 사회민주주의 세력이며 개혁개방세력(자유화 개방화 세력)입니다
북한 내부 전쟁세력은 좌익군정 세력이며 NLPDR(민족해방 인민민주주의 혁명) 세력 김일성주의 세습제 좌익군정입니다
남한도 전쟁세력은 군정입니다
대북정책에서 좌파전선(진보전선)보다는 민주전선으로 추진돼야 합니다
민주전선은 자유민주세력과 사회민주세력 연합모임이지만 좌파전선(진보전선)은 사회주의 전선으로 세습제 좌익군정 세력도 연합세력으로 포용할 수 있습니다
북한정부는 세습제 좌익군정 국가입니다
세습제 좌익군정은 약점은 민주전선(반독재주의나 반전체주의)입니다
민주전선 무장력은 민주화 세력입니다
유엔이나 세계 각국 대부분 국가들이 민주정부입니다
세계 각국은 자본주의민주주의 혁명 후 자유주의(자유권)와 사회주의(사회권=생존권) 공존(존중) 자유사회정부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자유화 민주화운동 세력-탈북민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주전선 입장에서 남북 평화통일 준비 (0) | 2013.08.03 |
---|---|
오바마 미 대통령, "아시아태평양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미군이 계속 관여해갈 것" (0) | 2013.07.29 |
상반기 한국 입국 탈북자 717명 (0) | 2013.07.22 |
남한과 비교하였을 때 북한 국가기구의 특징은 무엇인가? (0) | 2013.07.15 |
탈북자 20명 라오스에서 한국으로 (0) | 2013.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