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북한 정치범 수용소 지옥풍경 탈북자들의 북한 인권상황 고발 본문

자유화 민주화운동 세력-탈북민 자료

북한 정치범 수용소 지옥풍경 탈북자들의 북한 인권상황 고발

CIA Bear 허관(許灌) 2012. 6. 23. 20:48

 

공개총살: 18호 북창 정치범 수용소에서 대동강을 사이에 두고 있는 14호 개천 정치범수용소에 몰래 들어가 강냉이를 훔쳐 먹다가 잡힌 수감자을 공개 처형하는 모습입니다

북한의 정치범수용소에 대해서는 1990년대 이후부터 외부 세계에 조금씩 드러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 정부가 파악한 바에 의하면, 2009년 현재 평안남도 개천시를 비롯한 6곳에 정치범 15만4000여 명을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북한 정치범 수용소의 역사

정치범수용소 설립 초기에는 수용소 운영은 사회안전성 안전과가 담당하였고, 개천교화소와 청진에 있는 수성교화소를 정치범 교화소로 개조하여 이곳에 별도로 수용한 것이 정치범 수용소의 출발이라 보면 될 것이다. 초기에는 현재와 비교하면 경비가 삼엄하지 않았고, 허락을 맡으면 외출도 가능했었다고 한다. 그러나, 탈출자가 속출하고 대규모 폭동이 일어나자 경비를 강화하여 오늘날의 정치범수용소가 되었다. 처음에는 수용소가 10곳 정도 되었으나 5곳으로 통합 되었다

 

2.북한 정치범 수용소의 현황

북창관리소는 5만 명 가족이 함께 살지만 개천수용소는 주로 혼자 수감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적법한 절차 없이, 소리 소문 없이 끌려가 처참한 공개처형, 고문, 심각한 영양실조, 하루 12시간 이상의 강제노동이 자행되는 곳이 있다.

2009년 크리스마스에 김정일이 물러날 것과 정치범을 석방할 것을 요구하며 북한을 방문했다가 43일간 수감된 바 있는 로버트 박은 "수용소에는 25만 명 정도의 사람이 수감되어 있고, 2002년 이후 최소 100만 명 가량이 수용소에서 죽었"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또 어떤 탈북자는 수용소 내에 가스실이 있었다고 진술하기도 했다

 

3.식량배급

수감자들에게는 일일 배급량 350g 미만, 염장배추 3줄기, 약간의 소금이 배급되며, 90년대 중 후반 식량난 시기에는 하루 200g만이 배급되었다

 

4.강제노동

탈북자 김혜숙(18호 정치범수용소, 1975~2002년 수감)의 증언에 따르면 북창 관리소의 대부분은 탄광이고 거의 모든 수감자가 탄광에서 노역을 하고 있다. 28년간 북창 관리소에 수감 된 김 씨도 탄광에서 강제 노동에 시달리다 기관지병을 얻었다. 또 철조망으로 사방이 막힌 북한 18호 관리소는 기강도 세고, 함부로 나갈 수도 없는 데다 탄광 사고로 숨지는 사례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녀는 빈번한 공개처형을 통해 수감자들의 공포심을 극대화시키고 무조건적인 복종을 강요하고 있는 수용소 내 통제 시스템을 고발했다 '비둘기 고문', '펌프훈련 고문'(앉고서기 반복), '마구잡이 전신 구타 고문' 등 수감자들이 인간이하의 삶을 살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철저히 통제돼 있어 죄인들은 탈출을 시도할 수조차 없다. 전기 철조망이 4m 이상의 높이러 쳐져 있어서 도주할 엄두도 못낸다. 잡히면 무조건 강제처형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범수용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창 (18호)
청진 (25호)
회령 (22호)
화성 (16호)
개천 (14호)
요덕 (15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범수용소

 

평안남도 개천시 14호 정치범수용소 15,000명 155 km² 종신 수용
함경남도 요덕군 15호 정치범수용소 50,000명 378 km² 일정 기간을 거쳐 심사 후 출소할 수 있는 ‘혁명화 구역’과
사망할 때까지 종신 수용되는 ‘완전통제구역’으로 분리 운영
함경북도 화성군 16호 정치범수용소 10,000명 549 km² 종신 수용
평안남도 북창군 18호 정치범수용소 50,000명 73 km² 유일하게 보위부가 아닌 사회안전부에서 관리
함경북도 회령시 22호 정치범수용소 50,000명 225 km² 종신 수용
함경북도 청진시 25호 정치범수용소 5,000명 0.25 km² 종신 수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