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4.9통일열사 37주기 추모제와 인혁당 전시회 본문
공산주의는 자본주의를 부정하지만 사회주의는 자본주의를 인정합니다 자본주의민주주의 혁명 후 자유주의(자유권)와 사회주의(생존권=사회권) 공존(존중) 자유사회정부(선진국)입니다
자본주의 반대 공산주의! 민주주의 반대 독재주의(전체주의)! 반공반독재구국전선으로
반공독재구국전선은 자유주의자와 사회주의자 연합정부입니다
유럽 1989년 혁명은 자유주의자와 사회주의자 연합으로 공산독재정부를 무너뜨렸습니다
북한 초기헌법은 인민민주주의 헌법(회의정부론)이었고 유신헌법과 같은 1970년대 사회주의 헌법이 자주노선 주체사상 즉 국가사회주의 헌법입니다 중국이나 러시아도 인민민주주의 헌법(회의제 정부론)은 민주주의 헌법이라고 인정하지만 사회주의 헌법(국가사회주의 헌법)은 독재헌법으로 인정합니다
유엔에서는 유신헌법이 독재헌법이기 때문에 저항도 합법이며 정당합니다 북한도 1970년이후 사회주의 헌법은 좌익군사정부 독재헌법이기 때문에 저항도 합법이며 국가권력행위를 국제적으로 정당성을 부여하지 않습니다
인민혁명당 사건(People's Revolutionary Party Incident, 人民革命黨 事件) 또는 인혁당 사건(人革黨 事件)은 중앙정보부의 조작에 의해 사회주의 성향이 있는 도예종 등의 인물들이 기소되어 선고 18시간 만에 사형이 집행된 날조사건이다. 1964년의 제1차 사건에서는 반공법, 1974년의 제2차 사건에서는 국가보안법·대통령 긴급조치 4호 위반 등에 따라 기소되었다. 1975년 4월 8일 대법원이 사형을 선고해, 18시간 만에 사형을 집행했다. 인혁당 사건은 국가가 법으로 무고한 국민을 죽인 사법살인 사건이자 박정희 정권 시기에 일어난 인권 탄압의 사례로서 알려져 있다.
2005년 12월 27일 재판부는 인혁당 사건에 대한 재심소를 받아들였다. 2007년 1월 23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3부는 피고인 8명의 대통령 긴급조치 위반, 국가보안법 위반, 내란 예비·음모, 반공법 위반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다. 같은 해 8월 21일 유족들이 국가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청구의 소에서 서울 지방법원은 국가의 불법행위 책임을 인정하고 국가의 소멸시효 완성의 항변을 배척하면서 시국사건상 최대의 배상액수 637억여 원(원금 245여억 원+이자 392여억 원)를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1.제1차 인혁당 사건
제1차 사건은 1964년 8월 14일에 발생했다. 그 날 김형욱 중앙정보부 부장은 도예종, 양춘우 등 혁신계 인사, 언론인, 학생 41명을 검거했다고 발표해, 사건의 ‘전모’를 공표했다. 정보부는 “그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노동당으로부터 지령을 받아, 반(反) 대한민국정부 조직 인민혁명당(인혁당)을 조직해, 각계에서 인사(人士)를 모으면서 국가 사변(事變)을 기획했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실제로 검찰이 재판소에 기소된 인원수는 13명으로, 도예종와 양춘우 이외의 11명에게는 일단 무죄가 선고되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도예종(都禮鐘), 양춘우(楊春遇)와 박현채는 징역 6년의 유죄판결을 받아, 다른 사람들은 징역 1년 집행 유예 3년의 유죄판결을 받았다.그리고 무죄 판결 받은 2사람(우동읍,김배영)은 월북하였다
2.제2차 인혁당 사건
1975년 4월 9일에 발생한 제2차 인혁당 사건은 “인민혁명당 재건위원회 사건”(인혁당 재건위 사건)으로 알려져 있다. 1972년 12월에 있었던 유신 체제 발족과 1973년 8월 8일에 있었던 김대중 납치사건은 박정희 정부에 대한 대한민국 국민의 반발심을 환기하였으며, 1973년 10월부터 데모 등을 통한 박정희 정부 반대 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박정희 정부 반대 운동이 한창이던 1974년에 민청학련 사건이 발생하자, 이 사건을 수사하고 있던 중앙정보부는 1974년 4월 25일에 긴급조치 4호와 국가보안법을 위반한 240명을 체포했다. 그들의 죄상은, “인혁당 재건위원회”를 설립해 인혁당을 재건해, 민청학련의 국가 전복 활동을 지휘한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대다수가 1975년 2월 15일에 사면, 복권되었으며 나머지 38명에 대해서는 1975년 4월 8일 대법원에서 유죄 판결이 내려졌는데 이들 중 도예종, 하재완 등 피고인 8명에게는 사형, 김한덕, 나경일 등 피고인 9명에게는 무기징역, 김종대, 황인성 등 피고인 12명에게는 징역 20년, 전재권, 임구호 등 피고인 8명에게는 징역 15년의 유죄 판결을 선고하였다. 사형 선고를 받은 피고인 8명의 사형 집행은 판결이 내려진 지 불과 18시간 후에 집행되었다.
이로 인하여 대내외적으로 "사법살인"이라는 비판을 받았으며 스위스에 본부를 둔 국제법학자협회는 인혁당 재건위 사건 연루자들의 사형이 집행된 날을 "사법사상 암흑의 날"로 선포하기도 했다.
2002년 9월 12일,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는 인혁당 사건이 중앙정보부의 조작이라는 진상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3.사건 관련자
인혁당 사건으로 사형된 여덟 명은 다음과 같다.
- 서도원(徐道源, 당시53. 전 대구매일신문 기자)
- 김용원(金鏞元, 당시41. 경기여고 교사)
- 이수병(李銖秉, 당시40. 일어학원 강사)
- 우홍선(禹洪善, 당시46. 한국골든스템프사 상무)
- 송상진(宋相振, 당시48. 양봉업)
- 여정남(呂正男, 당시32. 전 경북대 학생회장)
- 하재완(河在琓, 당시44. 건축업)
- 도예종(都禮鍾, 당시52. 삼화토건 회장)
이들에게 사형을 판결한 대법원 판사들은 다음과 같다.
- 민복기(閔復基) 대법원장
- 민문기(閔文基) 대법원 판사
- 안병수(安秉洙) 대법원 판사
- 양병호(梁炳皓) 대법원 판사
- 한환진(韓桓鎭) 대법원 판사
- 주재황(朱宰璜) 대법원 판사
- 임항준(任恒準) 대법원 판사
- 이일규(李一珪) 대법원 판사
이 중에서 이일규 판사만 소수의견을 냈다.
4.진상 규명과 그 이후
5.보수 세력의 반응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
한편 박정희의 딸인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는 2004년 8월 및 2005년 12월 공개적으로 국가정보원의 인혁당 관련 발표는 가치가 없고 모함이며 진실성이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였다.
안병직 서울대 교수
안병직 교수는 2011년 5월 26일에 출간한 책 《보수가 이끌다-한국 민주주의 기원과 미래》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안 교수는 1964년 8월 수사기관이 발표한 1차 인민혁명당 사건을 4·19 이후 최초의 좌익운동으로 평가했다. 안 교수는 1962년 대학원에 진학해 빨치산 출신의 인혁당 가담자인 박현채를 만나 교육을 받았다. 마르크스, 레닌, 마오쩌둥의 저술을 탐독했고 한용운과 신채호의 사상에 따라 결국은 민족주의를 중심축으로 하는 사회주의자가 됐다. 인혁당의 조직 목적은 당시 활발하게 전개되던 학생운동을 지도하는 것이었는데 어느 정도 성공했다고 그는 평가했다. 당시 학생운동은 서울대 문리대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었는데, 인혁당이 박범진 전 의원 등을 중심으로 이들 운동단체에 하부조직을 심는 데 성공했다는 것이다. 안 교수는 지난해 박 전 의원이 인혁당의 실재에 대해 증언한 것을 상기시키며 인혁당은 남한에서 자발적으로 생긴 공산혁명을 위한 조직이었다고 증언했다.
– “안병직 교수 증언록을 통해 본 '5대 시국사건'”, 《동아일보》, 2011년 5월 25일 작성
*우흥선(가명 우동읍)
동지는 ’31년 경남 울주에서 출생하여 6.25에 학도병으로 참가한 후 육군 대위로 예편하였다. 그리고 4.19 이후 통일민주청년동맹 중앙위원장, 민자통 조직위 간사로 활동하던 중 5.16 이후 수배되었다. 그리고 ’64년 1차 인혁당 사건으로 구속되어 집행유예로 석방된 이후에도 유신반대 민주와 민족통일을 위하여 투쟁하시다 유신독재권력에 의해 인민혁명당재건위 사건으로 사형을 당하였다.
’75년 4월 9일 이날은 국제 법학자협회에 의해 ‘사법 사상 암흑의 날’로 규정된 날이다. 이른바 인민혁명당(인혁당) 재건위 사건 관련자로 조작된 8명이 유신정권의 철저한 조작으로 사법 살해된 날이다.
출생 | 1930년~1975년 (당시 44세) |
---|---|
사망일 | 1975-04-09 |
약력 | 1931년 경남 울주군 언양면 동부리 출생 6·25 당시 고교생으로 학도의용군으로 참전 1958년 육군대위 예편 1960년 4·19 이후 통일민주청년동맹 중앙위원장, 민자통 조직위 간사 역임 5·16 이후 수배 1964년 1차 인혁당사건으로 구속(1년형, 집행유예로 석방) 1974년 4월 한국골든스탬프사 상무이사 1974년 4월 이른바 ‘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 사건’으로 구속 1975년 4월 8일 대법원에서 사형확정(대통령 긴급조치 위반, 국가보안법 위반, 내란예비음모, 반공법 위반) 1975년 4월 9일 사형집행 |
요약 | 인민혁명당재건위 사건으로 사 |
묘역 | 파주 금촌 평화공원묘지에 안장 |
|
서도원(52. 전 대구 매일신문 기자), 도예종(51. 삼화토건 회장), 하재완(43. 양조장 경영), 이수병(37. 삼락 일어학원 강사), 김용원(39. 경기여고 교사), 우홍선(45. 한국골든스템프 상무), 송상진(46. 양봉업), 여정남(31. 전 경북대학생회장). 대부분 소위 TK(대구, 경북) 지역에서 활동하던 진보적 지식인들이었다[인혁당 사건으로 사형 집행 당한 사람들 사진]
'-平和大忍, 信望愛. > 韓中日 동북아역사(한자언어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이명박 대통령 독도방문 주권 선고, 일본 이에 항의-독도 역사자료 첨부 (0) | 2012.08.12 |
---|---|
"영원히 계승해야 할 민주정신"… '군사독재' 몰아낸 6·10 민주항쟁 (0) | 2012.06.10 |
10월 유신과 제4공화국-국가사회주의 노선 유신(維新) (0) | 2012.04.01 |
통일주체국민회의 [統一主體國民會議]과 유신정부[維新政府]-우리 역사상 가장 폭압한 정부 (0) | 2012.04.01 |
“김재규는 두 가지를 착각했다” (0) | 2012.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