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방미 북 대표단, 중국에만 의존할 수 없다" 본문
MC: 북한 외무성의 리근 미국국장을 포함한 북한 대표단이 지난달 뉴욕에서 열린 북한 토론회에서 미국과 북한 간 전략관계의 수립을 희망하며 근본적인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중국에만 의존할 수 없다며 미국, 한국, 일본과 경제적 교류의 개선도 희망했습니다.
미국의 '전미외교정책협의회(NCAFP)'와 '코리아소사이어티'가 지난달 30일 뉴욕에서 주최한 북한 토론회에서 북한 외무성의 리근 미국국장이 이끄는 북한 대표단은 미국과 북한 간 관계의 근본적인 변화를 강조했다고 익명을 요구한 전문가가 4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당시 회의에 참석한 이 전문가는 이날 자유아시아방송과 한 회견에서 미국과 북한 간 관계 개선의 필요성은 이날 전체 논의의 우선순위이자 중점이었다며 북한은 미국과 전략관계의 확립을 희망했다고 전했습니다.
This is a starting point of whole discussion about having a strategic relationship with US. Also, that's only in-depth context.
북한 대표단은 토론회에서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의 방북을 비롯해 미국 국무부가 북한 대표단의 방미를 허용하는 등 최근 미국과 북한 간 관계개선의 긍정적인 신호를 열거하며 앞으로 상호 간의 긴밀한 협력과 조화를 위한 공통 기반(common ground)을 갖기를 희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북한 측 관계자는 이를 위한 미국과 북한의 고위층 간 교류의 필요성도 언급했다고 이 전문가는 전했습니다.
이 전문가는 북한 토론회에서 매우 흥미로웠던 내용으로 북한이 중국에만 너무 의존하는 데 불안함을 느끼는 점을 소개했습니다. 북한 대표단은 미국과 한국, 일본 등과 경제적인 교류의 개선을 희망하고 있다는 점을 느낄 수 있었으며 전적으로 중국에만 의존하고 싶지 않다는 북한 대표단의 말이 매우 흥미로웠다고 소개했습니다,
He said, "We are doing with a lot of foreigners coming here to invest, there are mostly Chinese." The bottom line was, "Look, we do not want to be totally dependent on China...It was very interesting and important. 그가 말했어요. 북한에 많은 외국인이 들어와서 투자하는 데 대부분이 중국인입니다. 다시 말해서 "우리는 전적으로 중국에만 의존하는 것을 원치 않습니다"...이렇게 말했어요. 이것은 매우 흥미롭고 중요한 말입니다.
뉴욕의 북한 토론회에 참석한 뉴욕 사회과학원의 리언 시걸 박사도 북한 대표단은 이날 토론회에서 미국과 관계 개선이 가장 중요한 핵심이었다고 4일 말했습니다. 또 북한 대표단은 미국과 북한 간 양자회담을 원하고 6자회담 틀 안에서 양자회담도 지지한다는 뜻을 밝혔지만 이전과는 다른 관계를 원하는 북한이 정말 돌아올 의지가 있는지는 확실치 않았다고 시걸 박사는 덧붙였습니다.
이 밖에도 북한 대표단은 토론회에서 지난 4월 발사한 장거리 로켓과 관련해 이는 과학의 발전을 위한 인공위성을 발사한 것이라며 정당성을 주장했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결의한 대북 제재가 해제되기를 희망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하지만 미국과 관계가 개선되면 자연스럽게 해제되기 때문에 양자 대화의 전제조건은 아니라는 뜻도 전했다고 이 익명의 전문가는 덧붙였습니다.
시걸 박사는 이날 토론회가 미국과 북한 모두 상호 간의 견해를 나누는 매우 유용한 시간이었으며 미국과 북한의 외교 관계를 비롯해 남북관계, 북일 관계 등 다양한 대화를 나눴다고 전했습니다.
'Guide Ear&Bird's Eye22 > 북한[P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 군부 대중국 광물 수출, 제재로 무기 거래 막힌 때문’ (0) | 2009.11.06 |
---|---|
중국 내 북한 유학생 최근 증가세 (0) | 2009.11.06 |
북한 젊은이들 서울말∙ 한국 배우 옷 유행 (0) | 2009.11.04 |
북한 기아인구 10년째 30%대 상회 (0) | 2009.11.04 |
북한 주민 영양실태 조사 순조롭게 마쳐 (0) | 2009.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