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한국전쟁 문제 풀이"<아동복지교사 교육자료> 본문
6.25사변(한국전쟁)과유엔군사령부(United Nations Command)
1.유엔군 사령부 연혁
1950년 6월 25일 비가 내리는 평화로운 새벽의 정적을 송두리째 뒤흔드는 야포와 자동화기의 굉음과 함께 북한 인민군의 남침이 시작되었다. 침략군은 이내 38선을 넘어 반 무방비 상태의 대한민국 경찰군을 밀어내며 수도 서울로 향하고 있었습니다.
이틀 후 유엔은 북한군의 침략 저지를 위한 회원국의 단결과 원조를 요청하였습니다. 유엔 안보이사회는 결의안을 통해 미합중국을 결의안 내용의 실행과 한국 내 유엔군 작전 지휘를 담당할 집행국가로 선정하였습니다. (유엔안보이사회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러시아>, 중국<자유중국, 장개석정부>등 5국 중 소련<러시아>만이 기권하고 모든 국가들이 한국전쟁 참전 동의했습니다 유엔군 참전은 유엔안보리 모든 회원 국가들이 동의를 해야 합니다 한국전쟁때 소련이 반대보다는 투표 참가를 거부하고 기권을 하였기 때문에 유엔군 16개국이 한국전쟁에 참전할 수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당시 미 대통령 해리 트루먼은 자유 세계에 대한 위협을 인지하고, 공산세력이 자유국가를 짓밟는 행위를 더 이상 용납할 수 없음을 천명하였습니다. 당시 미 육군 극동사령부 총사령관이었던 맥아더 장군은 북한의 침략을 격퇴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강구하라는 명령에 따라 미 공군 및 해군을 투입하고 7월 24일 일본 도쿄에서 유엔 사령부 총 사령본부를 설치하였습니다.
(1)유엔의 호소
한편, 유엔은 모든 회원국에 보내는 호소문을 통해 대한민국 정부의 항전 노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군사 및 기타 원조 제공을 촉구한 상태였습니다. 이에 따라 미 보병 24사단 21 보병연대가 유엔 지상군으로는 처음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습니다. 이른바 "스미스 특수임무 부대"로 명명된 이들은 일본 내 주둔지로부터 공수된 병력으로 7월 5일 오산에서 북쪽으로 수 킬로미터 떨어진 지역으로 투입되었습니다.
한-미 양국의 군대는 우세한 전력의 북한군을 상대로 점차 남쪽으로 후퇴하는 가운데, 유엔 사령부는 지연작전을 펼치고 있었습니다. 즉, 수적으로나 장비 측면에서 열세인 가운데 유엔의 다른 회원국이 약속한 지원을 기다리며 조금씩 후퇴하면서 시간을 벌고 있었던 것입니다.
1950년 8월 29일, 영국 제 27여단이 부산에 도착, 한국군 및 미군으로 구성되어 있던 유엔 사령부에 합류하였으며 곧 대구 서쪽의 낙동강 지역으로 이동하였습니다.
이를 기점으로 호주, 벨기에, 캐나다, 콜롬비아, 이디오피아, 프랑스, 그리스,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뉴질랜드, 필리핀, 태국, 터키가 자국 병력을 파병하였고, 남아프리카 연합은 공군병력을, 덴마크, 인도, 노르웨이, 스웨덴은 의무부대를 지원하였고, 당시 비회원국이던 이탈리아는 병원을 제공하기도 했습니다.
(2)자유세계의 자유를 수호하다
3년 간의 한국전쟁을 통해 연합군에 소속된 장병들은 유엔 사령부의 일원으로서 목숨을 바쳐 싸웠습니다. 그들은 한국인들의 자유를 위해 싸웠고 침략행위 저지를 위한 유엔의 의지를 확인시켰습니다.
한국 땅의 혹서기와 혹한기를 견뎌내면서 영국, 이디오피아, 한국, 태국, 터키, 미국 등을 비롯한 연합국 출신의 젊은이들은 북한과 중국 인민군의 인해전술에 맞서 진정한 영웅의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한국전쟁이야말로 현대 전쟁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순간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중국 공산정부는 유엔가입도 하지 않는 비합법단체로 북한 인민군을 도와 주었습니다 중국도 1960년대 말 유엔에 가입하여 유엔안보리 회원국이 되었으며 중.미, 중.일수교로 친미 실용주의 등소평정부가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노태우정부 때 한.중수교 당시 중국정부는 한국전쟁 개입을 공식적으로 사과했습니다 지금 중국 호금도정부는 공산정부가 아닌 자본주의를 인정하면서 주석 임기 4년 중임제 수평적 권력교체를 인정하는 사회정부입니다)
피의 능선, 장진호, 함흥, 단장의 능선, 화천호, 철의 삼각지, 펀치볼, 부산 등은 한국의 자유 수호를 위해 치열한 전투가 펼쳐진 격전지들입니다. 연합군의 용맹스런 장병들이 흘린 피는 불모고지의 흙먼지와 한강과 임진강의 흐르는 강물도 붉게 물들였습니다.
1953년 7월 27일 드디어 총성은 멈췄습니다. 판문점에서 체결된 휴전협정은 전투의 종결과 함께 정치적 타협의 기회를 제공하였습니다. 비록 전투는 끝났으나 군대는 그대로 남아있었습니다. 양측은 휴전선으로부터 2,000미터씩 물러나 비무장지대(DMZ)를 사이에 두고
다시 시작될지 모르는 전쟁에 대비해야만 했습니다.
(3)자유의 대가
부산항 부근에 위치한 당곡 평야에는 한국전쟁의 기억을 되새기게 하는 수많은 흔적들이 남아있습니다. 빛 바랜 터키와 이스라엘의 '초승달과 별'과 '다윗의 별' 문양 옆에 세워진 하얀 십자가들은 33,629 명의 미군과 수많은 한국 병사들, 717명의 터키 병사들, 그리고 1,109 명의 영국군이 치열한 전투 속에서 산화해 간 흔적인 것입니다. 이 곳은 한국의 자유를 수호하기 위해 죽어간 12 개국 병사들의 시신이 묻혀있는 영광의 장소이기도 합니다.
휴전협정과 함께 유엔 사령부 회원국들은 전쟁으로 피폐한 한국의 경제를 재건하는 데 힘을 쏟기 시작했습니다. 도시와 농촌을 온통 폐허로 만들어버린 전후 한국의 재건과 복구를 돕는 일은 수년의 시간이 걸리는 거대한 작업이었습니다.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 체결 당시 유엔 연합군의 병력은 932,964 명으로 최대규모를 이루었다. 각국별 병력사항은 다음과 같다.
한국 - 590,911 (아직도 한국군 GOP근무자는 대부분이 유엔군 소속)
콜롬비아 - 1,068
미 합중국 - 302,483
벨기에 - 900
영국 - 14,198
남아프리카 - 826
캐나다 - 6,146
네덜란드 - 819
터키 - 5,455
룩셈부르크 - 44
호주 - 2,282
필리핀 - 1,496
뉴질랜드 - 1,389
태국 - 1,294
이디오피아 - 1,271
그리스 - 1,263
프랑스 - 1,119
2.유엔묘지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6.25참전 유엔군 전사자 묘지--
부산광역시 남구(南區) 대연동(大淵洞)에 있는 6.25참전 유엔군 전사자의 묘지입니다 1951년 국제연합(UN) 총회에서 설립안이 채택되어 참전 16개국 1만 1,000명이 안장되었는데 유해를 본국으로 이장하기도 하여 11개국 2,300여구가 남아 있습니다
1955년 이후 UN에서 관리해 오다가 1974년부터 이곳에 유해를 남기고 있는 참전국과 한국이 공동관리하고 있습니다 참전국 국민에게 널리 알려져 해마다 많은 내외국인이 방문, 참배하고 있습니다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23호입니다
*문제풀이
1.한국전쟁은 언제 일어났습니까? (1) 1948년 7월 17일 (2) 1950년 6월 25일 (3)1951년 6월 25일 (4)1945년 8월 15일
2.아랫 문항 중 틀린 것은?
(1)한국등 12개국 유엔군이 한국전쟁에 참전했습니다 (2)소련은 한국전쟁 때 유엔안보리 투표에서 기권을 했습니다 그리고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자유중국)등이 찬성했습니다 유엔은 안보리 5개국 중 어느 나라도 반대하지 않아서 한국전쟁 참전을 승인하게 되었습니다 (3)박헌영등 남한출신 남로당은 전국 각지에서 폭동과 투쟁으로 남침을 요구했으며 1950년 6월 25일 김일성의 지시로 전면전 남침을 했습니다 (4)한국전쟁 때 1950년 7월 24일 서울 에 유엔사령부 총본부를 설치했습니다
3.아랫 문항에서 틀린 것은?
(1)한국전쟁 당시 대통령은 이승만 전대통령입니다 이승만전대통령은 하버드대학교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 역임, 태평양전쟁때 미국 CIA 미국의 소리 요원으로 연합군 일원으로 참가 했습니다
(2)박정희전대통령은 초등학교 교사와 육사출신으로 1945년 여운형선생의 건국동맹에 참가했으며 1945년 광복군 제3지대 중대장을 역임했습니다 그리고 한국 전쟁때는 육군본부 정보 제1과장을 역임했습니다
(3)김영삼전대통령은 한국전쟁 때 당시 학도의용군으로 복무하면서 육군정훈요원으로 활동했습니다 그리고 1960년 9월 2명의 무장공비에 의해 모친 박부연 여사가 살해되었습니다
(4)김대중전대통령은 한국전쟁 때 해상방위대 전남지구 부대장을 역임했으며 공산군과 싸웠습니다
*정답
1.(2) 1950년 6월 25일 새벽
2.(4) 한국전쟁 때 1950년 7월 24일 일본 도쿄(동경)에 유엔사령부 총본부를 설치했습니다(주일미군 주축)
3.틀린 문항이 없음
'[NATO 모델] > UNICEF(유엔아동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에 관한" 문제풀이<아동복지교사 교육자료> (0) | 2007.06.24 |
---|---|
"미국 부시 대통령에 관한 " 문제풀이<아동복지교사 교육자료> (0) | 2007.06.24 |
중국, 미성년자 노동 공장 적발 (0) | 2007.06.15 |
아동교사 출신 로라 미국 영부인의 유럽방문때 아동과 함께 한 주요 사진 (0) | 2007.06.13 |
독서방법 (0) | 2007.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