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김영삼 前대통령 " 장택상 국무총리 비서관과 민주화추진협의회 공동의장" 본문

대한민국 전직대통령 자료

김영삼 前대통령 " 장택상 국무총리 비서관과 민주화추진협의회 공동의장"

CIA Bear 허관(許灌) 2007. 4. 1. 15:31
    

 


출생지-경남 거제 
생년월일-1927/12/20
  
[학력]   
1947년 경남고졸
1951년 서울대 철학과졸
  
[경력]   
1951년 장택상 국무총리 비서관
1954년 제3대 민의원(경남 거제,자유당)
1960년 제5대 민의원(부산서갑)
1963년 신민당 부산시지부 위원장
1963년 제6대 민의원(부산서,민정당)
1965년 민중당 원내총무,대변인
1967년 제7대 국회의원(부산서,신민당)
1967년 신민당 원내총무
1971년 제8대 국회의원(부산서,신민당)
1973년 제9대 국회의원(부산서·동,신민당)
1974년 신민당 총재,지도위원회 의장
1974년 신민당 정무회의 의장
1976년 신민당 고문
1979년 제10대 국회의원(부산서·동,신민당)
1979년 신민당 총재
1979년 의원직 제명
1980년 1차 가택연금
1981년 민주산악회 결성,고문
1982년 2차 가택연금,단식투쟁(23일간)
1984년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공동의장
1987년 통일민주당 창당준비위원장,통일민주당 총재
1987년 제13대 대통령후보(통일민주당)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부산서,민주당·민자당)
1990년 3당 통합,민주자유당(민자당) 창당,대표최고위원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전국구,민자당)
1992년 민자당 총재
1993년 제14대 대통령
1995년 신한국당 총재
1997년 신한국당 명예총재
1997년 신한국당 탈당

 

*김영삼[金泳三]

1927. 12. 20 경남 거제~.

제14대 대통령을 지낸 정치가.

 

 

9선 의원으로 유명하다.

9선 의원 역임. 1947년 경남고등학교를 나와 1952년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다. 6·25전쟁 당시 학도의용군으로 복무하였으며 1951년 장택상 국무총리의 비서로 정치에 입문했다. 1954년 제3대 민의원선거 당시 거제에서 자유당 후보로 출마하여 최연소 의원으로 당선되면서 의정활동을 시작했다.

1954년 12월 이승만 대통령의 대통령 중임제한 철폐를 위한 '사사오입'(四捨五入) 개헌 파동에 반발하여 자유당을 탈당한 김영삼은 호헌동지회를 결성하여 활동하다가 1955년 민주당 창당에 참여했다. 1960년 4월혁명으로 이승만 정권이 붕괴된 후 실시된 제5대 민의원 선거에서 부산 서구에서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재선됨으로써 정치무대를 부산으로 옮겨 정치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민주당의 장면 정권 하에서 김도연·유진산 등 민주당 구파가 주도한 신민당에 참여하여 활발한 정치활동을 전개하였으나 1961년 5·16군사정변으로 정당이 해산되면서 정치활동이 중단되었다. 1963년 5월 민정이양을 앞두고 창당한 민정당에 참여하여 정치활동을 재개하였으며, 그 해 12월에 실시된 제6대 총선에서 민정당 후보로 부산 서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한일국교정상화 문제를 둘러싸고 논란이 일었던 1965년 5월 당시 민중당 원내총무 겸 대변인을 맡는 등 중견 정치인으로 성장했으며, 1967년 2월 제6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민주당과 신한당이 통합하여 새로 출범한 신민당에서 원내총무를 맡아 3선개헌 반대운동에 앞장섰다.

1970년대 들어 최초로 '40대 기수론'을 제창하고 김대중·이철승과 함께 제7대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에 참여하였다. 1970년 9월 29일 대통령 후보 지명을 위한 임시전당대회에서 유진산 총재의 지원으로 참석 대의원 885표 중 421표를 얻어 382표를 얻은 김대중 후보를 39표 차로 앞섰으나 과반수에 미달되어 2차 투표를 실시한 결과 오히려 1차 투표보다 적은 410표를 얻어 458표를 얻은 김대중 후보에게 패배하였다. 그러나 다음 해에 실시된 제8대 총선과 1973년의 제9대 총선에서 연이어 국회의원에 당선되고 그해 5월 신민당 부총재로 임명되는 등 정치력을 회복했다. 유진산 총재 사망 후 새 지도부 구성을 위한 1974년 8월 22일의 신민당 전당대회에서 당 총재로 선출되었다. 당권 장악을 계기로 유신헌법 개정투쟁을 전개하는 등 선명야당을 표방했다. 신민당은 '헌법개헌심의위원회'를 구성하여 대통령의 권한을 축소하고 입법부와 사법부의 권한을 강화하며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폐지하는 것을 골자로 한 '개헌대강안(改憲大綱案)'을 발표한 후 개헌투쟁을 원내·외에서 활발하게 전개하였다.

그러나 박정희 정권은 유신체제에 대한 국내외의 반대여론과 저항이 고조되자 1975년의 베트남 공산화와 남북한간 긴장고조를 빌미로 총력안보체제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국민의 자유를 초법적으로 억압하는 긴급조치 국면에서 유신정권이 긴급조치 9호를 발동하는 등 극단적인 상황에 이르자 난관을 타개하기 위해 박정희 대통령과 회담하는 등 정치적 유화전략을 구상하기도 했다. 동시에 1975년 8월 23일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필요하다면 야당 총재로서 북경 정부를 방문하여 한반도의 평화정착에 관한 협의를 하겠다"고 밝히면서 "남북대화를 재개하여 우리들 스스로 긴장완화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는 등 한반도 통일과 평화문제로도 활동영역을 넓혔다. 그러나 기자회견 내용이 문제가 되어 다음 해 1월 긴급조치 9호 위반혐의로 불구속 기소되었다.

1976년 9월 신민당 전당대회의 대표최고위원 경선에서 패배하여 이철승에게 당권을 넘겨주었다. 그러나 1978년 12월 12일의 제10대 총선에서 신민당이 민주공화당보다 1.1% 높은 득표율을 거두자 여기에 힘입어 당권회복운동을 전개했다. 김영삼은 선거 결과를 "이철승의 타협적 노선에 대한 지지라기보다는 공화당의 폭정에 대한 국민의 항거"로 규정하면서 당권에 재도전하였다. 1979년 5월 30일 실시된 신민당 전당대회의 총재 경선에서 이철승과 경합한 김영삼은 김대중의 지원으로 총재로 선출되면서 당권을 다시 장악하였다. 이를 계기로 김영삼은 박정희 정권에 대한 반대투쟁을 강력하게 전개하였다.

1979년 YH무역 여성노동자의 신민당사 농성에 대한 경찰 투입으로 정국은 더욱 경색되었다. 김영삼은 이 시기에〈뉴욕 타임스〉와의 회견에서 미국 정부가 박정희 정부에 대한 지지를 철회할 것을 주장했다. 유신정권은 이 발언을 사대주의적 발상으로 매도하면서 김영삼의 국회의원직을 제명하는 강경조치를 취했다. 뿐만 아니라 신민당 3개 지구당 위원장들이 제출한 총재단 직무정지가처분신청이 서울민사지방법원 합의부에서 받아들여져 김영삼은 총재직까지 상실하였다. 김영삼에 대한 의원직 제명과 총재직무 정지가처분은 정국을 극도로 경색시켰으며 유신정권에 대한 국민의 분노를 고조시켰다. 유신정권의 철권통치와 김영삼에 대한 정치적 탄압은 김영삼의 정치적 지지기반인 부산·마산 일원의 반독재 열기를 폭발시킴으로써 부마항쟁을 유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야당·노동·재야·학생 등 유신정권에 대한 전면적인 사회적 저항의 분출과 부마항쟁 등 지속되는 반독재 민주화운동은 유신정권 내부에서 강경파와 온건파가 대립하는 갈등 상황을 유발했으며, 이 갈등은 온건파인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이 강경파인 차지철 청와대 경호실장을 저격하고 박정희 대통령을 살해하는 '10·26사태'로 확산되었다. 유신체제가 붕괴된 이후 정치활동이 일부 허용된 이른바 '서울의 봄'이 도래하자 김대중·김종필 등과 경쟁적으로 정치활동을 전개했으나 신군부에 의해 좌절되고 말았다. 신군부에 의해 가택에 연금되면서 정치활동이 차단된 김영삼은 1983년 광주민주화운동 3주기를 맞아 전두환 정권에 저항하는 방법으로 23일간의 단식을 단행했다. 단식사건은 언론이 철저하게 통제된 당시 상황에서 국내외적으로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으며, 이 사건을 계기로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가 결성되었다. 김영삼은 미국에 체류중인 김대중과 협력하여 민추협을 이끄는 한편 민주산악회를 결성하여 민주화운동의 지도자로 우뚝 섰다.

 

1983년 하반기의 유화국면으로 정치활동에 대한 규제가 일부 완화되자 1985년 2월에 실시된 제12대 총선에 대응하기 위하여 김대중과 공동으로 전두환 정권에 정면으로 반대하는 선명야당인 신한민주당(신민당)을 창립하여 총선에 참가하였다. 신민당은 2·12총선 직전에 급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12대 총선에서 국민들의 압도적인 지지로 제1야당이 되었으며 제2야당인 민주한국당 의원들을 대거 흡수하여 강력한 반독재 전선을 구축하였다. 정국이 전두환 정권과 신민당의 대결구도로 재편된 상황에서 김영삼은 대통령직선제 개헌투쟁을 본격적으로 전개하였다. 그러나 전두환 정권과의 타협을 전제로 한 '조건부 내각제개헌' 방안인 이른바 '이민우 구상'을 계기로 1987년 봄 김대중과 협의하에 신민당을 탈당하여 통일민주당을 창당하였다.

통일민주당 창당, 전두환의 4·13호헌조치에 대한 사회 각계각층의 거센 저항, 박종철고문치사사건의 은폐·축소 조작 등 일련의 사건은 결국 '6월민주항쟁'으로 연결되었으며 전두환 정권의 대국민 항복문서인 '6·29선언'을 강제하게 되었다. 6·29선언으로 김대중이 사면복권되고 대통령직선제를 위한 헌법 개정이 이루어지자 선거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그러나 1987년 12월의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은 김대중과의 후보단일화 협상의 실패로 야권이 분열된 상태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패배하였다. 게다가 대통령 선거 직후 실시된 1988년 4월의 제13대 총선에서 평화민주당에 이어 제2야당으로 전락하면서 정치적 입지가 매우 약화되었다. 이러한 불리한 정치적 조건을 타개하기 위해 1988년 이후 전개된 정계개편 과정에서 3당합당에 참여하였다.

1990년 1월 민주정의당·통일민주당·신민주공화당의 3당이 통합한 의석수 216석의 거대 여당인 민주자유당이 탄생하였으며, 여기서 대표최고위원이 되었다. 민주자유당 안에서 민정계 중심의 정치적 저항과 계파 갈등을 극복하고 5월 19일 치러진 민주자유당 대통령 후보 지명대회에서 대의원 66%의 지지를 얻어 여당의 대통령 후보가 되었으며, 12월 18일 실시된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 42%의 지지를 얻어 민주당의 김대중 후보를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1993년 2월 25일 대통령에 취임한 김영삼은 자신의 정부를 최초의 '문민정부'로 규정하고 '신한국 창조'라는 국정 지표를 바탕으로 광범위한 개혁을 추진하였다. 사정개혁과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등 정치 개혁을 필두로 군내 사조직인 하나회의 제거, 국군보안사의 조직 축소와 명칭 변경, 금융실명제 실시 등 핵심적인 개혁이 시작되었으며, 국민들의 높은 지지를 받았다. 또한 12·12사태와 대통령 비자금 사건에 대한 책임을 물어 전두환·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을 구속수감하였다.

그러나 개혁철학과 개혁방향이 모호한 상태에서 대통령의 결단에만 의존해서 개혁이 진행되면서 개혁의 문제점들이 지속적으로 노출되었다. 그 결과 임기 중 발생한 무수히 많은 사건과 사고들뿐만 아니라 정경유착의 표본인 한보비리사건 및 아들 김현철의 국정개입 등 일련의 사건으로 심각한 정치적 위기에 직면했으며, 설상가상으로 집권 말기에 발생한 외환위기 상황에서 IMF관리체제를 수용함으로써 엄청난 국민적 비판 속에서 임기를 마감했다.

저서로는〈우리가 기댈 언덕은 없다〉,〈40대 기수론〉,〈정치는 길고 권력은 짧다〉,〈민주화의 깃발을 올리며〉,〈나와 조국의 진실〉,〈2000 신한국〉,〈우리 모두는 승리할 것이다〉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