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스크랩] 북한 2014년 평양 아시안게임 유치 추진 본문

Guide Ear&Bird's Eye/북한[PRK]

[스크랩] 북한 2014년 평양 아시안게임 유치 추진

CIA Bear 허관(許灌) 2005. 5. 30. 13:16
2014 '南 동계오륜' '北 아시안게임'

북, 평양 유치 위해 한국 상대 광폭 활동

 "2014년 남한은 평창 동계올림픽, 북한은 평양 아시안게임 개최"

 북한이 오는 2014년 아시안 게임의 평양 유치에 나서기로 하고 남측 관계자들과 광범위한 접촉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2014 동계올림픽 평창 유치 성사에 반드시 필요한 북한측의 협조를 구하기가 한층 수월해질 전망이다.
 남북한 간의 이런 이해 관계는 2014 동계오륜의 평창 유치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15일 북한은 아시안게임 유치에 관심이 높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지시로 최근 체육계와 사회, 문화 기관의 고위급 간부들을 망라한 유치 준비단을 발족시켰으며 베이징에서 북측과 접촉한 남측 관계자들도 적극적 지원을 약속한 것으로 전해졌다.
 남한의 모 대기업이 유치 활동부터 재정지원을 약속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적극적 지원 약속까지 얻어낸다면 2014년 평양 아시안게임 개최는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북한으로선 2014 아시안게임 유치를 위해서는 한국과 중국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고 같은 해 동계올림픽 유치를 국가적 과제로 삼고 있는 정부도 북측의 지지가 대회유치에 '필수 요인'인 만큼 양측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져 도로서는 북한의 아시안게임 유치가 '다시 없는 기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도의 경우 평창 동계올림픽을 한반도와 세계 평화·번영에 기여하는 '평화올림픽'으로 개최한다는 대회이념과 비전을 제시하고 있는 만큼 북측의 지지가 절실한 상황이다.
 따라서 양측 정부와 스포츠계가 상호 대회 유치를 위한 협력과 지원을 약속하고 더 나아가 세계 스포츠계에 양 대회 모두 '남북 단일팀' 구성을 제시한다면 명실상부한 IOC 정신에 부합되는 '평화올림픽'의 실현으로 대회 유치에 결정적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개최지 결정도 2014 동계올림픽이 2007년 7월이며 2014 아시안게임은 같은 해 연말쯤에 확정될 예정이어서 시기면에서도 '원-원'전략이 충분히 가능하다.
 문부춘 도 국제스포츠위원회 사무총장은 "북한의 아시안게임 유치는 핵 문제가 유일한 걸림돌이지만 만약 문제가 제대로 해결될 경우 유치 노력은 상당한 탄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호 leeho@kado.net


기사입력일 : 2005-02-15 21:22
출처 : 아시아연방론
글쓴이 : 월계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