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존 맥폴: 우주를 여는 임무를 수행하는 장애인 우주비행사 본문

핵.잠수함.미사일.전자 지능 뇌 자료/우주개발 자료

존 맥폴: 우주를 여는 임무를 수행하는 장애인 우주비행사

CIA bear 허관(許灌) 2024. 5. 13. 19:03

모든 훈련된 우주비행사들은 거대한 원심분리기에서 회전을 해야 한다

전 패럴림픽 선수 존 맥폴은 유럽우주국과 함께 우주에서 신체적 장애가 있는 사람이 생활하고 일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는 획기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BBC 뉴스는 그의 훈련 과정을 취재했다.

이는 모든 잠재적인 우주비행사들도 겪어야 하는 시험이다. 그러나 특별이 겁이 많거나 폐허증이 있는 이들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크랭크와 함께 문이 닫히면서, 존 맥폴은 사이즈가 함장칸처럼 작은 금속 상자 안의 어둠 속으로 갇혔다.

거대한 원심분리기 안에 앉은 그는 매우 극단적인 중력력과 더 극단적인 G-포스를 모방하기 위해 빙빙 돌려렸다.

"스핀이 빨라지면 G 부하가 높아집니다" 존은 설명했다.

"오늘은 G 6배에 달하는 약 6G로 갈 예정입니다. 그러니 중력이 느껴지는 소유즈 캡슐으로 대기권에 들어가면 어떨지를 재현하는 거예요."

이 기계는 우주 비행사들이 이륙하는 동안 느낄 수 있는 극도의 중력을 모방한다

이 테스트는 유럽우주국과의 존의 훈련 프로그램의 일부다.

그는 2022년 유럽우주국의 첫 번째 신체적 장애가 있는 우주비행사 후보로 선정되어 안전하게 우주로 갈 수 있는지 조사하는 획기적인 연구에 참여하게 되었다.

존은 절단자로, 19세 때 오토바이 사고로 오른쪽 다리의 아랫부분을 잃었다.

그는 평소에 보통 하이테크 보청기를 착용한다. 그러나 그는 상체에 대한 원심분리기의 영향을 테스트하기 위해 그것을 벗어 놓았다.

ESA 비행 외과의사 메이브리트 커이퍼스가 그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원심분리기가 탑승하는 절단자는 존이 처음입니다" 그는 설명했다.

"우주비행사는 사실상 등에 누워 있는 자세로 앉아 있기 때문에, 이는 혈류에 영향을 미칩니다. 다리에도 마찬가지로요. 그게 어떻게 그에게 영향을 미칠지 궁금했어요. 그러나 아주 잘 됐습니다."

존은 달리기 위해 특별한 의족을 착용한다

존은 정형외과 의사로서의 경력을 잠시 중단하고 우주비행사 훈련의 미지로의 도약을 시작했다.

그는 영국에서 독일 쾰른의 유럽 우주인 센터로 이사했다.

존에게 우주 비행은 보장되지는 않지만, 이 연구는 그것이 가능하게 하려면 무엇을 적응시키는지를 알려줄 것이다. 바로 우주선, 우주복 또는 그의 다양한 보청 다리 같은 것들이다.

오늘 그는 자신의 러닝 블레이드를 평가하고 있다.

존 맥폴이 2008년 중국 장애인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스포츠는 그의 삶의 큰 부분이다. 존은 메달을 수상한 패럴림픽 스프린터다. 우주에서 건강을 유지하는 것은 근육 질량과 뼈 밀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존은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 무중력 상태를 재현하는 특수 안중력 트레드밀을 사용하고 있다. 공기 주머니가 약간 들어 앉아 그를 가볍게 만들어 준다.

그는 자신의 체중이 그의 블레이드를 땅에 밀어 넣고, 그것을 압축해 다시 튀어오르게 하여 앞으로 나아가는 자연스러운 탄력을 준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트레드밀은 그를 그의 몸무게의 약 80% 정도로 가볍게 만들기 때문에 그의 블레이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블레이드가 너무 뻣뻣한 것을 느꼈습니다" 그는 설명했다. "저는 더 가벼우니까 블레이드에 덜 힘을 주고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래서 덜 휘어지고, 그 결과 탄력도 덜 얻습니다."

포물선 비행은 존에게 그의 의족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볼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그는 또한 지난해 무중력을 처음 경험한 파라볼릭 비행에서 그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보청 다리를 다시 조정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사실 존은 ISS에서 여러 보청 다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런닝을 위한 보청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보청기의 대체품 그리고 발사와 귀환을 위해 스페이스 슈트 안에 착용해야 할 기계적인 것들 말입니다" 그는 설명했다.

ESA는 이와 같은 프로젝트를 진행한 최초의 우주 기관이다.

지금까지 존은 장애 때문에 우주 비행사가 될 수 없었다. 그러나 유럽 우주인 센터장인 프랭크 더 윈은 이를 바꾸고 싶다.

"우리는 많은 훌륭한 재능을 가진 사람들, 즉 존과 같은 장애인들의 가능성을 봤습니다" 그는 말했다.

"왜 이런 임무와 같은 훌륭한 임무를 위해 이러한 재능을 활용하지 못해야 할까요?"

존의 가족은 독일로 유학을 떠났다

독일로의 이사는 그의 아내 소니아에도 큰 변화다. 그녀는 전 올림픽 체조 선수로, 그들의 세 자녀 핀과 이슬라 및 임미와 함께 한다.

저녁 식사 때 그들은 아버지의 새로운 직업에 대해 이야기한다. 핀은 자신의 아버지가 "검고 큰 공허함"으로 보내질 수도 있다는 것을 믿을 수가 없었다.

소니아는 아버지의 새로운 직업이 그에게 100% 적합하다고 말했다.

"우리 가족들에게는 모든 기회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녀는 말했다. "그리고 나에게 이것은 기회였고 그가 보상을 받았으면 좋겠습니다. 결국 우주로 가서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거죠."

다시 원심분리기로 돌아와서, 그것은 멈추고 문이 열린다. 존은 엄지손가락을 들어 올렸다.

"정말 좋았어요"라고 그는 미소 지으며 말했다.

"그리고 알아요? 실제로 전 과정 동안 제 오른쪽 다리를 전혀 느끼지 못했어요. 아마도 그것이 전체 과정 중 가장 편안한 부분이었을 거예요. 그것은 이 비행 연구에 대해 알아가는 것이 정말 좋습니다."

존은 이 프로젝트의 절반 가량을 마쳤으며 지금까지 임무를 방해하는 걸림돌을 찾지 못했다.

그리고 매번 우주를 맛볼 때마다 존에게는 옳은 선택을 한 것이 확인되고 있다. 왜냐하면 이것이 사람들의 인식을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나는 그것이 사람들이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그들의 지식과 시야를 확장시킬 것으로 생각합니다"라고 그는 강조했다.

"하지만 나는 그들이 나를 단지 존으로 보게 되기를 바랍니다. 왜냐하면 나는 그냥 존이고, 나는 우주비행사가 되길 원하고 있으며 우연히도 신체적 장애가 있습니다. 이것이 우리가 전달하려는 메시지입니다."

장애에 대한 공간을 열어주는 임무를 수행하는 장애인 우주비행사 - BBC News 코리아

 

장애에 대한 공간을 열어주는 임무를 수행하는 장애인 우주비행사 - BBC News 코리아

존 맥폴은 신체 장애가 있는 사람이 우주로 가는 것이 가능한지 연구하고 있다.

www.bbc.com